실제 환경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학습과제로 제시하여 학습한 내용과 실제 세계를 연결하도록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객관주의 수업의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
1.
교수매체
2.
시청각매체
3.
실물매체
4.
디지털매체
정답 : [
1
] 정답률 : 92%
3.
피아제(J. Piaget)는 인지발달이론에서 “인간은 적응을 위해 새로운 경험과 도식을 서로 조정한다”라고 하였다. 다음의 예와 피아제가 제시한 적응의 유형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탈중심화, 중심화
2.
조절, 동화
3.
중심화, 탈중심화
4.
동화, 조절
정답 : [
2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가) 조절 - 새로운 자극이나 정보를 기존의 도식으로 이해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도식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도식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나) 동화 - 새로운 자극(정보)가 주어졌을 때, 아동이 기존의 도식에 맞게 해석하여 수용하는 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크허스트(H. Parkhurst)는 달톤플랜(Dalton plan)에서 학생과 교사가 계약을 맺는 계약학습을 제시하였다.
2.
아들러(M. J. Adler)는 파이데이아 제안서(Paideia proposal)에서 학생들이 동일한 교육목표를 가지는 교육과정을 주장하였다.
3.
허친스(R. M. Hutchins)는 듀이(J. Dewey)와 함께 진보주의교육협회를 설립하고 진보주의 교육운동을 전개하였다.
4.
킬패트릭(W. H. Kilpatrick)은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계획하고 활동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학습법(project method)을 제시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3. 허친스는 아들러와 함께 항존주의 항존주의는 진보주의에 대해 전면비판 [해설작성자 : 44세엄마는 합격]
5.
교실생활의 군집성, 상찬, 권력구조 등이 학생들의 행동과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면서,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을 제시한 인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