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2차원 또는 3차원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주는 그래픽 기법은?
1.
모델링(Modeling)
2.
애니메이션(Animation)
3.
리터칭(Retouching)
4.
렌더링(Rendering)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모델링(Modeling):렌더링을 하기 전에 수행되는 작업으로, 물체의 형상을 3차원 그래픽으로 어떻게 표현할것인지를 정함.
애니메이션(Animation):정지화면을 필름의 프레임 안에 한 장 찍고 조금씩 움직여가며 한 장 찍고를 반복하며 촬영한 영상을 빠르게 넘겨보게 되면 한 장 한 장 정지된 화면에 잔상이 남게 되고, 마치 움직이는 듯한 느낌의 착각이 들게 된다
리터칭(Retouching):기존의 이미지를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 수정하는 작업
렌더링(Rendering):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과정중 하나로 물체의 모형에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을 더해 주는 작업 [해설작성자 : 강태공]
디더링 :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 모핑 : 2개의 이미지를 부드럽게 연결하여 변환 통합하는 것으로, 컴퓨터 그래픽, 영화 등에서 많이 응용함 필터링 : 이미 작성된 그림을 필터기능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꿔주는 작업 안티앨리어싱 : 이미지의 가장자리가 톱니모양으로 표현되는 계단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경계선을 부드럽게 해주는 필터링 기술 [해설작성자 : 빡공이 답이다]
디더링: 제한된 색 모델링: 3차원 그래픽 렌더링: 명암과 색상을 입혀 사실감 표현 안티앨리어싱: 계단현상을 제거 모핑: 부드럽게 변환 인터레이싱: 점차 뚜렷하게 표현 메조틴트: 무수히 많은 점과 선으로 이미지 만들기 [해설작성자 : 민주냥]
<문제 해설> 프록시 서버의 기능은 1)방화벽 기능 2) 캐시 기능 두가지로 구분된다. [해설작성자 : 강데몬]
프록시 서버는 PC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을 하는 서버로 방화벽 기능과 캐시 기능을 갖는 서버이다. 방화벽 기능으로는 외부와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해주고, 캐시 기능으로는 많은 접속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에 저장해두었다가 전송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이소현]
방화벽/프록시 서버 - 방화벽(firewall) : 보안이 필요한 네트워크의 통로를 단일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외부의 불법 침입으로부터 내부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는 시스템, 역추적 기능 있음. 내부로부터의 불법 해킹은 막지 못함 - 프록시(proxy)서버 : pc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계자 역할 하는 서버, 1) 방화벽 기능 2) 캐시기능이 있음 1) 방화벽 기능 : 컴퓨터 시스템에 방화벽 설치해서 외부와 통신 가능하도록 (HTTP,FTP,GOPHER프로토콜 지원함) 2) 캐시 기능 : 많은 요청이 발생하는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요청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전송 [해설작성자 : 구름맘 ]
오류신고가 있어서 관리자가 몇자 적어 봤습니다. 너무 길어서.. 여기 적은걸 옮겨 놨습니다. 궁금 하신 분들은
스마트 그리드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T)을 접목해 에너지 네트워크와 통신 네트워크가 합쳐진 지능형 전력망으로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전기사용 관련 정보를 주고받음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망 사업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마트그리드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해설작성자 : 쀼쮸]
<문제 해설> 프로토콜은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들 간에 정보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규약 1. 통신망에 흐르는 패킷 수를 조절하는 등의 흐름 제어 기능이 있어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 유지 2.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송수신기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기화 기능 3. 데이터의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 검출 [해설작성자 : 오렌지주스]
4.PnP(플러그엔플레이) - 컴퓨터 시스템에 하드웨어를 설치했을 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 주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메리]
<문제 해설> 1. 선점형 멀티태스킹: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시간을 제어하여 응용프로그램 실행중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자원을 반환하는 멀티태스킹 운영 방식 [해설작성자 : 콩두부메주]
[추가 해설]
2.GUI: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3.PnP: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추가할 때 별도의 물리적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설치만 하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9월덜 시험]
개체 연결 및 삽입.현재 편집 중인 응용소프트웨어로 다른 응용소프트웨어에서 작성한 그림이나 표, 차트, 비디오 등과 같은 데이터를 곧바로 끌어오는 기능을 말한다. OLE는 특히 윈도의 멀티태스킹(다중작업)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통해 각각의 소프트웨어 특성에 맞는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OLE (매일경제, 매경닷컴) [해설작성자 : 쀼쮸]
유니코드 : 각 나라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가 유니코드(unicode)다. 유니코드는 사용중인 운영체제,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코드 값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코드다. 언어와 상관없이 모든 문자를 16비트로 표현하므로 최대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유니코드 (컴퓨터 개론, 2013. 3. 10., 김종훈, 김종진) [해설작성자 : 쀼쮸]
[관리자 입니다. ASCII는 7비트 아니냐는 오류신고가 간혹 있습니다. 네, 맞습니다. ASCII는 7비트 맞구요. 보기 2번에서 말하는건 그냥 ASCII가 아닌 "확장" ASCII를 말합니다. 따라서 "확장" ASCII는 8비트가 맞습니다.]
다음 중 컴퓨터 보조 기억장치로 사용되는 SSD(Solid State Driv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속으로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으며,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
2.
HDD와 같이 바로 덮어쓰기를 할 수 있으며, 읽기/쓰기 성능이 비슷하다.
3.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한다.
4.
소음이 없고 발열이 낮으나 HDD에 비해 외부 충격에 약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SSD는 발열, 소음, 전력 소모가 적으며 하드디스크(HDD)에 비해 외부 충격에 강하다.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는 장치는 DVD이다. [해설작성자 : 골이따분해]
베드섹터는 디스크 관련 용어 입니다. 베드 셀이 SSD 관련 용어입니다.
섹터란 디스크를 동심원으로 나눈 트랙을 다시 구간 별로 나눈것을 말하며 SSD는 디스크로 구성된 것이 아니므로 베드 섹터란 용어는 사용할수 없습니다.
당연히 SSD는 베드섹터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추가해설] 베드섹터 = 디스크 관련 용어, Bad Sector. 불량 섹터로도 불린다. 하드 디스크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어떤 섹터가 손상을 입어 제대로 판독할 수 없는 현상 또는 해당 섹터를 말한다. 일부 배드섹터는 증식도 하기에 하드 디스크의 입장에서는 암세포 같은 존재. [해설작성자 : 쀼쮸]
<문제 해설> 외부인터럽트 : 입•출력장치, 타이밍장치, 전원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 내부인터럽트 :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사용할 때 발생. [해설작성자 : ㅎㅎ]
인터럽트 : 프로그램 실행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처리한 후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외부 인터럽트: 입출력장치, 타이밍 장치, 전원 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발생 내부 인터럽트: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 사용시 발생하며 트랩이라고도 부름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프로그램 처리 중 명령의 요청에 의해 발생 [해설작성자 : keke]
다음 중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NTFS 파일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FAT32 파일 시스템과 비교하여 성능 및 안전성이 우수하다.
2.
하드 디스크 논리 파티션의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3.
비교적 큰 오버헤드가 있기 때문에 약 400MB 이하의 볼륨에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4.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유지하고 제한된 계정을 지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윈도우 7의 경우 최대 볼륨 크기는 256TB,파일 크기는 볼륨 크기에 의해서 제한한다 [해설작성자 : 이번주 토요일 시험]
Windows 10의 경우, MBR 파티션과 GPT 파티션을 지원합니다. MBR 파티션은 하나의 디스크 파티션 크기를 최대 약 2TB로 제한합니다. GPT 파티션의 경우에는, 최대 디스크 및 파티션을 9.4ZB(제타 바이트)까지 허용한다고 확인됩니다. ※ 출처 : wikipedia GUID 파티션 테이블 참조
이론상으로, GPT 파티션이라면 최대 용량은 9.4ZB까지 인식이 되어야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답변입니다.]
<문제 해설> - 피벗테이블 보고서의 삽입 위치는 기존 워크시트에서 B20 셀에 위치해 있습니다. - 사원번호를 선택하여 (범위잡고 선택) 직접 그룹화를 한 상태입니다. - 사원번호2 부분이 행 레이블이구요, 행 레이블 영역에 필터 조건이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깔대기 모양이 있음)
- A그룹하고 B그룹은 자동 생성된 이름이 아닙니다. 그룹화를 진행을 하면 그룹1, 그룹2, .. 이렇게 이름이 나오게 되는데 그룹화 한 후 직접 A그룹, B그룹 으로 입력을 해서 바꾼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중 함수를 이용하는 중첩 부분합을 작성하려면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매번'새로운 값으로 대치' 항목을 선택해야 한다.
2.
부분합을 제거하면 부분합과 함께 목록에 삽입된 윤곽 및 페이지 나누기도 제거된다.
3.
세부 정보가 있는 행 아래에 요약 행을 지정하려면 '데이터 아래에 요약 표시'항목을 선택한다.
4.
중첩 부분합은 이미 작성된 부분합 그룹 내에 새로운 부분합 그룹을 추가하는 것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중첩 부분합을 작성하려면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매번'새로운 값으로 대치' 항목을 해제해야함. → '새로운 값으로 대치'항목 선택 시 중첩이 안되고, 새로 입력한 값으로 덮어씌어짐(즉, 하나의 부분합만 나타남) [해설작성자 : 아아아아아]
부분합 : 많은 양의 데이터 목록을 그룹별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계산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도구
[추가 해설]
부분합의 경우 작업하기 전에 반드시 먼저 정렬을 지정해줘야 합니다. (오름차순, 내림차순, 사용자지정 3개 중 하나 선택해서 먼저 정렬)
정렬를 먼저 했으면 그 다음에 데이터 탭 -> 윤곽선 -> 부분합 으로 들어가서 부분합을 실행을 해서 작업을 하면 되는데요. 하나의 부분합만 나타낼때는 새로운 값 대치 체크가 되어있는 상태에서 작업하면 되지만 두 개 이상으로 중첩하여 부분합을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새로운 값으로 대치 체크된거 눌러서 해제를 해야합니다. 새로운 값으로 대치 체크된 것을 매번 해제를 해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의 [B2] 셀에 표시 형식을 '$#,##0;($#,##0)'으로 설정하였을 때 표시되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32,767
2.
-$32,767
3.
($32,767)
4.
(-$32,767)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셀서식이 양수 ; 음수 ; 0 ; 텍스트 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수에는 $#,##0 이 들어갔으며 음수에는 ($#,##0) 이 들어갔습니다.
또한 #,##0 이 서식은 천단위 구분 기호 (3자리마다 쉼표 표시) 표시입니다.
B2셀에 -32767이 입력되어 있는데요. -32767은 음수이기 때문에 ($#,##0) 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결과값은 ($32,767) 이 됩니다. (정답은 3번)
B2셀에 -32767 이 입력이 된 상태에서 (-$32,767)로 표시를 할려면 음수 부분 서식 입력할 때 (-$#,##0) 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B2셀에 -32767 이 입력이 된 상태에서 -$32,767로 표시를 할려면 음수 부분 서식 입력할 때 -$#,##0 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B2셀에 -32767 이 입력이 된 상태에서 $32,767로 표시를 할려면 음수 부분 서식 입력할 때 $#,##0 으로 입력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사용자 지정 서식 코드> : <Ctrl>+<1> => 셀서식 =>사용자 지정
(1) 조건 지정 •양수, 음수, 0값, 텍스트 순으로 한 번에 4가지의 표시 형식을 지정할 수 있으며, 각 구역은 세미콜론(;)으로 구분함 •조건이 없을 때는 양수, 음수, 0, 텍스트 순으로 표 시 형식이 지정되지만, 조건이 있을 때는 조건이 지정된 순으로 표시 형식을 나타냄 •조건이나 글꼴색을 지정할 때는 대괄호([ ]) 안에 입력함 •형식 : #,### ; [빨강](#,###) ; 0.00 ; @ “님” <양수> <—-음수—> <0값> <텍스트> •셀에 입력된 자료를 숨기려면 표시형식은 지정하지 않고 ‘;;;’와 같이 각 구역을 구분하는 세미콜론(;) 만 지정함 [해설작성자 : 김찰떡]
동일한 문자를 여러 개의 셀에 입력하려면 셀에 문자를 입력한 후 채우기 핸들을 드래그한다.
2.
숫자 데이터의 경우 두 개의 셀을 선택하고 채우기 핸들을 선택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두 값의 차이만큼 증가/감소하며 자동 입력된다.
3.
일정 범위 내에 동일한 데이터를 한 번에 입력하려면 범위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입력한 후 바로 이어서 <Shift>+<Enter>키를 누른다.
4.
사용자 지정 연속 데이터 채우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 지정 목록에는 텍스트나 텍스트/숫자 조합만 포함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일정 범위 내에 동일한 데이터를 한 번에 입력을 알려면 범위를 지정하고 나서 데이터를 입력한 후 바로 이어서 <Ctrl>+<Enter>키를 눌러주어야 합니다. <Ctrl>+<Enter>키를 눌러주면 지정한 범위안에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사용자 지정 연속 데이터 채우기 목록 편집은 엑셀 옵션 > 고급 > 사용자 지정 목록 편집에서 가능 [해설작성자 : 쀼쮸]
<Shift>+<Enter> 키를 누르면 윗 행으로 셀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해설작성자 : 박경훈짱]
- 날짜 데이터는 슬래시(/), 하이픈(-)으로 연, 월, 일을 구분하여 입력합니다. - 수식에서 날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할 때에는 큰따옴표("")로 묶어서 입력합니다. - 오늘 날짜(현재 시스템 날짜) 를 입력할려면 단축키 Ctrl + ; 를 눌러서 입력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Ctrl>+<Shift>+<;>입력시 현재 시간이 표시됨 <Ctrl>+<;>입력시 현재 날짜가 표시됨 <Ctrl>+<Alt>+<;>는 아무것도 해당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 문제는 정답이 없어 보입니다. 상공회의소에 문의를 해놓은 상태이고요. 정답을 적자면 ActiveWorkbook.Close 가 보기에 있어야 할지 싶은데요... 연락이 오면 바로 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해설작성자 : 컴도사 초이 최우성]
컴도사 초이 최우성님의 이의 제기 내용에 찬성합니다. 다만 해당 문제의 4개 보기중 고른다면 3번을 선택해야 합니다. 통합 문서가 여러개 열려있다고 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답을 찾으면 된다... 라고 할 것 같네요.
[추가해설] ③ Workbooks.Close → ‘열려있는 모든 통합문서 닫기(엑셀 종료 X ) 현재 문제에서는 통합문서가 여러 개라는 별도지시가 없기 때문에 통합문서가 1개라는 가정하에 풀어야 할듯합니다. → ①, ④번 형태가 더 맞을 수 있지만 오류로 ③번이 가장 맞는 답이 됩니다. <참고 정리> ① ActiveWorkbook.Quit → ActiveWorkbook.Close 로 수정하면 정답 가능 ④ ActiveWindows.Close → ActiveWindow.Close(WindowsS에서 맨뒤 s제외) 로 수정하면 정답 가능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RANK($F2,$F$2:$F$10) <- 이 부분이 총점에 대해서 순위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즉, 일반 그냥 RANK 함수 이용을 해서 수식을 구한 것입니다.
그리고 SUM 함수 수식은 배열수식을 이용해서 사용한 것입니다.
※ SUM 함수 단독 배열수식 =SUM((조건)*범위)
* (곱하기)는 AND를 의미합니다.
=SUM(($F$2:$F$10=$F2) * ($B$2:$B$10>$B2))
이 부분을 해석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2:$F$10=$F2 <-- F2:F10 범위 (총점 범위) 에서 F2 셀 (총점) 하고 같은지 물어봅니다. $B$2:$B$10>$B2 <-- $B$2:$B$10 범위 (국어점수 범위) 에서 B2 (국어점수) 하고 물어보는 부분인데 $B$2:$B$10 범위가 B2 셀보다 크냐라고 물어보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배열수식에서 * (곱하기)는 AND를 의미하며 ($F$2:$F$10=$F2) 이 부분과 ($B$2:$B$10>$B2) 이 부분을 서로 AND 조건으로 연결을 해준 것입니다. 조건에 모두 다 부합을 하면 더해주는거죠.
전체적으로 수식을 해석하면 {=RANK($F2,$F$2:$F$10) + SUM(($F$2:$F$10=$F2) * ($B$2:$B$10>$B2))}
RANK 함수로 이용해서 총점에 대한 순위를 구해서 나온 결과값과 SUM 함수(배열수식)로 이용해서 구한 값을 서로 더해서 순위를 구해준 것입니다. 홍길동은 국어 점수가 92점이니 1등 이대한은 국어 점수가 90점으로 2등, 한민국은 80점이니까 3등, 이나래는 70점이니 4등.. 이런식으로 나온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배열수식 1.조건1개일때 배열수식이용하여 개수 구하는 식 -{=SUM((조건)*1)} -{=SUM(IF(조건),1))} -{=COUNT(IF(조건,1))}
2." 합계 구하는 식 -{=SUM((조건)*(합계구할범위))} -{=SUM(IF(조건,합계구할범위))}
3.{=AVERAGE(IF(조건,평균구할범위))}
이때 IF 있으면 (,) /없으면 (*) [해설작성자 : 합격하게해줘라 낼모레시험]
※ 조건의 개수에 따라 조건을 지정하는 부분만 아래와 같이 늘어납니다. •방법1 : {=SUM( (조건1) * (조건2) * 1 )} •방법2 : {=SUM( IF(조건1, IF(조건2, 1 ) ) )} •방법3 : {=COUNT( IF(조건1, IF(조건2, 1) ) )} [해설작성자 : 김찰떡]
[추가 해설] 3번 문항 추가 해설입니다.
=RANK($F2,$F$2:$F$10) : 총점의 순위 -> 한민국, 이대한, 이나래 = 2라는 동일 값 가짐
SUM(($F$2:$F$10=$F2) : 총점의 동일 여부 파악 -> 한민국, 이대한, 이나래 = 2라는 동일 값 가지므로 추출됨(False일 경우, 값이 0이 되고 곱하기로 이어진 이 수식은 결과 값을 가지지 못함. True일 경우 값은 1이다.)
($B$2:$B$10>$B2) : 총점 동일한 자들의 국어 점수 내에서의 순위, 국어 점수 열에서 해당하는 셀의 점수가 얼마나 큰지(SUM 계산 수식이 *, 즉 AND로 연결되므로 앞의 수식이 성립한 셀에 한해 이 수식이 적용된다.) -> 예 : 한민국의 경우 한민국, 이대한, 이나래 > 한민국 = 80, 90, 70 > 80 = False, True, False로 True 값이 한 개, 따라서 한민국의 경우 이 수식에서 결과 값 1을 가짐
결과적으로 한민국의 경우, =RANK($F2,$F$2:$F$10) -> 2 +SUM(($F$2:$F$10=$F3) -> 1 *($B$2:$B$10>$B3) -> 1 = 3이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나래의 경우, =RANK($F2,$F$2:$F$10) -> 2 +SUM(($F$2:$F$10=$F5) -> 1 *($B$2:$B$10>$B5) -> 2 (true, true, false) = 4가 된다. [해설작성자 : 혜니혜니]
<문제 해설> =ABS(INT(-3/2)) -3을 2로 나누면 결과는 -1.5가 나오구요, 이것을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가장 작은 정수값으로 취해주는 함수인 INT 함수를 씌우게 되면 INT(-1.5) 이렇게 되므로 결과값은 -2가 나옵니다. 즉, INT(-3/2) 이 수식의 결과가 -2가 나옵니다. 음수인 경우는 숫자가 큰 것이 더 작으니까요. 그리고 절대값을 취해주는 함수인 ABS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양수값으로 바뀌므로 2가 됩니다.
=MOD(-3,2) mod함수가 나머지를 구해주는 함수인데 MOD함수의 경우 구하는 공식이 따로 있습니다. Mod(n,d)를 수식으로 표현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식 : = n - d * INT(n/d)
요것이 나머지를 구하는 공식입니다. 공식대로 숫자를 대입해 보겠습니다.
※ 공식 (숫자대입) = -3 - (2) * INT(-3/2) = 1
이게 어떻게 해서 연산이 되는거냐면 연산자 우선 순위에 의해서 (2) * INT(-3/2) 요게 먼저 계산됩니다. (곱하기 먼저 계산)
int 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내주는 함수인데요. -3를 2로 나누게 되면 -1.5가 나옵니다.
근데 int 함수를 씌워서 INT(-3/2) 이렇게 써버리면 결과는 -2 로 표시됩니다. -2가 -1.5 보다 더 작은값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산 결과가 (2) * (-2) 이렇게 되는거고 2하고 -2를 곱하면 -4가 되며 -3 - (-4) 를 수행하게 됩니다. -(-4) 이 경우는 빼기가 두 개가 있으니까 양수 4로 바뀌므로 -3 + 4 이렇게 수행하니까 결과는 1이 출력됩니다.
=ROUNDUP(RAND(), 0) - RAND 함수의 경우 0보다 크거나 같고 1보다 작은 균등하게 분포된 난수를 구하며 재계산 할때마다 바뀝니다. RAND()를 사용하면 0.xxxx.. 이렇게 나오고 이것을 ROUNDUP 함수로 이용해 소수 첫째 자리에서 올림하여 정수로 나타내니까 결과는 1이 나옵니다.
=FACT(1.9) -FACT 함수는 =FACT(number) 이렇게 구성되어 있고 number 의 계승값을 구해서 나타냅니다. 1.9의 계승값을 구하면 결과는 1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문제 해설> ※ 리본 메뉴 최소화 하는 방법 - 엑셀 창 오른쪽 위에 있는 '리본 메뉴 최소화 단추를 클릭하면 되고 다시 단추 클릭하면 되돌아옵니다. - 리본 메뉴 최소화를 할려면 단축키 ctrl + F1 을 누릅니다. 원래 상태로 되돌려면 다시 단축키 ctrl + F1 을 누릅니다. - 리본 메뉴의 활성 탭 이름을 더블 클릭합니다. 다시 되돌려면 다시 활성 탭 이름을 더블 클릭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Alt>+<F1> : 현재 범위의 데이터에 대한 차트 생성 [해설작성자 : 오늘시험인디]
<문제 해설> 분산형 차트:데이터에서 경향이나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원인,결과를 보여주는데 이용/여러 종류의 데이터 값을 비교 도넛형 차트:다양한 데이터 계열을 비교 가능 영역형 차트:시간에 따라 변화한 합계값과 추세를 알아보는데 이용 [해설작성자 : 9월 28일 시험]
④ 주식형 차트는 주식의 거래량,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고가-저가-종가(계열 3개), 차트종류에 따라 시가-고가-저가-종가(계열 4개) 또는 거래량-시가-고가-저가-종가(계열 5개의 순서에 따라 작성, 현재 데이터는 계열이 2개(A사, B사)이므로 최소한 3개의 계열이 필요한 주식형 차트 자체를 만들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다음 중 아래의 <수정 전> 차트를 <수정 후> 차트로 변경하기 위한 작업으로 옳은 것은?
1.
차트의 종류를 누적 세로 막대형으로 바꾼다.
2.
세로 (값) 축의 표시 단위를 '10000000'으로 설정한다.
3.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축 옵션 '값을 거꾸로'를 선택한다.
4.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축 옵션 '로그 눈금간격'의 기준을 '10'으로 설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수정 후 상태를 보시면 세로(값) 축이 로그 눈금간격 기준을 10으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세로(값) 축 을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 축 서식 으로 들어가서 축 서식 대화상자에서 로그 눈금 간격(L) 에 기준 값을 10으로 입력해주면 됩니다. 1, 10, 100, 1000, .. 이렇게 해서 지수단위로 눈금이 변해 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인쇄 및 미리 보기 할 대상을 선택 영역, 활성 시트, 전체 통합 문서 중 선택할 수 있다.
3.
페이지 여백 표시는 가능하나 페이지 여백의 변경은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만 설정할 수 있다.
4.
용지 방향을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바꿔가며 미리 보기 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인쇄 미리보기' 상태에서 '페이지 설정'을 클릭하면 여백, 머릿글/ 바닥글 등은 설정이 가능하지만 '시트'탭의 인쇄영역, 반복할 행, 반복할 열은 설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이젠 합격해야지..]
③ 기본적인 페이지 여백 표시는 [인쇄 미리 보기]에서 ‘마지막 사용자 지정 여백 설정’, ‘기본(보통 여백)’, ‘넓게’, ‘좁게’ 4가지 여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숫자를 직접 입력하여 여백을 변경하려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의 [여백]탭에서만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페이지 여백 변경은 페이지 설정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인쇄 미리보기]에서도 가능합니다! '인쇄 미리보기' 창에서 우측 하단의 '여백 표시'를 누르면 직접 눈금을 드래그하여 옮기면서 머릿글/바닥글 여백도 수정할 수 있고요. 추가적으로 열 너비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행 높이는 수정이 불가능합니다. '페이지 설정'에서 가능한 것은 숫자를 입력해서 여백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컴활합격할사람]
다음 중 아래의 이벤트 프로시저에서 [Command1] 단추를 클릭했을 때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1.
[사원정보] 테이블이 열리고, 가장 마지막 행의 새 레코드에 포커스가 표시된다.
2.
[사원정보] 폼이 열리고, 첫 번째 레코드의 가장 왼쪽 컨트롤에 포커스가 표시된다.
3.
[사원정보] 폼이 열리고, 마지막 레코드의 가장 왼쪽 컨트롤에 포커스가 표시된다.
4.
[사원정보] 폼이 열리고, 새 레코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비워진 폼이 표시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OpenForm "사원정보" 사원정보 폼이 열림
GoToRecord = 새로운 레코드를 입력할수 있게 비워진 폼을 표시 [해설작성자 : Rhaskai]
DoCmd.OpenForm "사원정보" → 사원정보 폼 열기 DoCmd.GoToRecord는 특정 레코드로 이동하는 매크로 함수이며, acNewRec은 새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도록 마지막 빈 레코드 첫 번째(가장 왼쪽) 컨트롤로 포커스 이동하는 기능이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컴활 인강 정익종]
<문제 해설> 데이터 중복이 되게 되면 제어가 분산되어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추가 해설] ④ 데이터 베이스는 중복을 최소화하여 무결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데이터가 중복되면 제어가 분산되어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 정규화는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논리적 단계에 영향을 줌)하며, 중복되는 값을 일정한 규칙에 의해 추출하여 보다 단순한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테이블로 데이터를 분리하는 작업으로서 중복을 최소화 하는 것이지 완전히 데이터 중복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17/03/04 출제)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정익종 컴활 인강]
다음 중 보고서의 그룹 바닥글 구역에 '=COUNT(*)'를 입력했을 때 출력되는 결과로 옳은 것은?
1.
Null 필드를 포함한 그룹별 레코드 개수
2.
Null 필드를 포함한 전체 레코드 개수
3.
Null 필드를 제외한 그룹별 레코드 개수
4.
Null 필드를 제외한 전체 레코드 개수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COUNT 함수는 공백을 제외, 숫자가 입력된 항목의 갯수를 세어주는 함수인데 정답이 1번으로 되어 있네요. 그룹 바닥글에 쓰면 그룹별 레코드 갯수이므로 정답은 3번입니다.
[관리자 입니다. 위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어서 관리자가 직접 설명합니다. 액세스는 엑셀 함수와는 조금 다릅니다.
위에서 특정한 count(성명) 과 같이 필드명을 적어서 count 함수를 사용한것이 아니며 *이라는 와일드 카드를 사용했습니다.
메뉴얼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보면
1. Count 함수는 별표 (*) 와일드 카드 문자가 아닌 경우 Null 필드가 있는 레코드 개수를 계산 하지 않습니다.
2. 별표 (*)를 사용 하는 경우 Count 는 Null 필드가 포함 된 레코드를 포함 하 여 총 레코드 수를 계산 합니다.
2의 설명과 같이 와일드 카드를 사용하면 다른 오류 신고 주장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냅니다.
* 와일트 카드 특정 필드를 지정한 것이 아닌 모든 필드를 가르키므로
완전한 하나의 필드의 데이터는 레코드가 되므로
count(*)은 단순히 레코드 갯수를 세는것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추가 해설] ① 액세스에서 COUNT함수는 숫자, 문자 구분없이 개수를 카운트 한다. 그룹 바닥글에 COUNT(*) : * 사용한 경우 NULL을 포함한 그룹별 개수를 표시한다. 그룹 바닥글에 COUNT(필드명) : 필드명을 사용한 경우 해당 필드에 NULL이 포함된 경우 NULL을 제외한 그룹별 개수를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다음 중 요약 데이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합계, 평균 등의 집계 함수를 계산한 다음 데이터시트의 측면과 위쪽에 두 세트의 값으로 그룹화하는 쿼리 유형은?
1.
선택 쿼리
2.
크로스탭 쿼리
3.
통합 쿼리
4.
업데이트 쿼리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엑셀의 피벗 테이블과 유사하며, 합계나 평균 등 집계 합수를 계산하고 데이터시트의 왼쪽(행 머리글은 3개까지)과, 위쪽(열 머리글은 1개만)에 두 세트로 그룹화하는 것은 '크로스탭 쿼리'를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갈데까지가자]
1. 선택쿼리 :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쿼리, 테이블에서 지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 표시, 레코드를 그룹으로 묶어서 계산가능 3. 통합 쿼리: 성격이 유사한 2개의 테이블이나 쿼리의 내용을 합쳐서 하나의 테이블을 만들기 위한 쿼리, 같은 레코드는 한번만 기록하며 두 테이블의 열(필드)의 개수가 다르면 통합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알라뷰오보기]
4. 업데이트 쿼리 : 테이블의 필드값을 변경하는 쿼리 ex) UPDATE 사원 SET 급여=급여*1.2 WHERE 직급='관리자' -> [사원] 테이블에서 '직급'이 '관리자'인 '사원'의 '급여'를 20%씩 인상 [해설작성자 : 1트만에 합격]
<문제 해설> 조인(JOIN): 다수의 테이블에 따로 있는 정보를 한 테이블에서 보기 위해 연결시킬 때 사용
-내부 조인(INNER JOIN): 두 테이블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레코드(행)만 포함한다. -외부 조인(OUTER JOIN): 두 테이블에 공통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레코드(행)도 포함한다. -LEFT JOIN: 두 테이블 중 첫번째 테이블의 레코드는 모두 포함하고, 두번째 테이블의 레코드는 JOIN된 레코드만 포함한다. -RIGHT JOIN: 두 테이블 중 첫번째 테이블의 레코드는 JOIN된 레코드만 포함하고, 두번째 테이블의 레코드는 모두 포함한다. -CROSS JOIN: 두 테이블 간에 가능한 모든 행들의 조합을 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