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객실의 형태계획에 있어 2인용 일반객실의 유효폭(a)과 길이(b)가 다음 그림과 같을 때 가장 많이 적용되는 b / a의 치수비율은?
1.
0.6~1.2
2.
0.8~1.6
3.
1.5~2.0
4.
2.0~2.5
정답 : [
2
] 정답률 : 62%
10.
사무소건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렌터블비(rentable ratio)란 임대면적과 연면적의 비율을 말하며, 값이 높을수록 수익성이 크다.
2.
오피스 랜드스케이프(office landscape)계획의 단점은 프라이버시가 결여되기 쉽다.
3.
중심코어(center core)는 고층 및 초고층보다 중층 및 저층에 주로 사용된다.
4.
사무소의 깊이는 외측에 면할 경우 일반적으로 층고의 2.0~2.4배 정도가 적당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중심코어형은 대규모 중저층은 편심.외코어에 쓰임. 편심코어는 단일용도 건물에 쓰임 [해설작성자 : 8854]
11.
병원건축에서 클로즈드 시스템(closed system)의 외래진료부 계획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자의 이용이 편리하도록 1층 또는 2층 이하에 둔다.
2.
부속 진료시설을 인접하게 한다.
3.
전체병원에 대한 외래부의 면적비율은 10~15퍼센트 정도로 한다.
4.
외래부 중앙주사실은 가급적 정면출입구에서 먼 곳에 배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12.
근린주구 및 집합주거단지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단지 내 전 면적에 대한 인구밀도를 총 밀도라고 하며, 단지 내 주택건축용지에 관한 인구밀도를 호수밀도라 한다.
2.
페리(C.A.Perry)의 근린주구이론은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한 곳을 필요로 하는 인구가 적당하며, 지역의 반지름이 약 400미터인 단위를 잡고 있다.
3.
근린주구 생활권의 주택지의 단위로는 인보구(隣保區), 근린분구(近隣分區), 근린주구(近隣住區)가 있다.
4.
공동주택의 16층 이상 또는 지하 3층 이하의 층으로부터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통하는 직통계단은 특별피난계단으로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호수밀도가아닌 순밀도다. [해설작성자 : 8854]
13.
건축의 형태구성원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일성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단조로워지기 쉬우므로 적절한 변화성이 주어져야 하며 이러한 변화성은 무질서한 변화가 아니라 통일성의 테두리 속에서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2.
균형을 얻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대칭을 통한 것으로 시각구성에서 대칭기법은 비대칭기법보다 균형의 상태를 만드는 것이 구성적으로 더 역동적인 경우가 많다.
3.
리듬에는 반복(repetition), 점증(gradation), 억양(accentuation) 등이 있다.
4.
질감에 대한 고려는 실내계획에서 특히 중요한데, 이는 인간의 신체가 일상적으로 접촉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역동성은 비대칭 [해설작성자 : 8854]
14.
건축물에 설치되는 장애인 관련시설 및 설비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휠체어 사용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접근로의 유효폭은 1.2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장애인전용주차구역의 크기는 주차대수 1대에 대하여 폭 3.3미터 이상, 길이 5미터 이상이 바람직하다.
3.
대변기는 양변기를 사용하고, 대변기 좌대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4미터 이상 0.45미터 이하로 한다.
4.
장애인주차장은 엘리베이터가 있는 입구 부근에 장애인전용 주차공간을 설치하고 엘리베이터가 없는 주차장은 1층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경사로가 설치된 출입구에서는 되도록 먼 곳에 설치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15.
건축용어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척도조정(modular coordination MC)은 건축물의 재료나 부품 에서부터 설계ㆍ시공에 이르기까지 건축생산 전반에 걸쳐 치수의 유기적인 연계성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2.
LCC(life cycle cost)란 건축물의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건축물 완공단계까지 건축물의 제작에 소요되는 총비용을 말한다.
3.
POE(post occupancy evaluation)는 건축물이 완공되어 거주 후 사용자들의 반응을 진단 및 연구하는 과정을 말한다.
4.
인텔리전트 빌딩시스템(intelligent building system)이란 인간 공학(ergonomics)에 바탕을 둔 건물자동화(building automation), 사무자동화(office automation), 정보통신(telecommunication) 기능 등이 적용된 것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lcc는 설계부터 철거.유지관리까지 총비용 [해설작성자 : 8854]
16.
열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량 m[kg], 비열 c [kcal/kg℃]의 물체의 온도를 1℃C 높이는데에는 mc [kcal/℃]의 열량이 필요하며, 이 열량을 그 물체의 열용량이라고 한다.
2.
난방도일(heating degree day)은 1년 중 난방을 하는 일수이다.
3.
상대습도는 그 상태 수증기의 분압과 그 온도에 있어서 포화수증기압과의 비이다.
4.
물체는 상태가 변화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일정한 양의 열을 흡수하는데 이때의 열량을 잠열량이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난방기간 내외온도차이의 합을 난방도일이라 말한다. [해설작성자 : 8854]
17.
급수관의 관경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구 연결관의 관경에 의한 결정
2.
균등표에 의한 관경 결정
3.
배수부하단위에 의한 관경 결정
4.
마찰저항선도에 의한 관경 결정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급수부하단위에 의한 관경 결정 ※배수부하단위는 배수관경에 산정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