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변의 길이가 600mm인 정사각형 기둥이 고정하중 1,700 kN과 활하중 1,300 kN을 지지할 때 이 기둥에 대한 정사각형 독립기초의 최소 크기[m2]는? (단, 기초 무게 및 상재하중은 고정하중과 활하중의 10%로 가정하며 허용지내력 qa는 300 kN/m2이다)
1.
9
2.
11
3.
13
4.
15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허용지내력도>=P/A * 알파 이 식을 이용해 구해보면 A>=(1700+1300)*1.1/300 따라서 A>=11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1.
건축구조기준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층간변위각:층간변위를 층 높이로 나눈 값
2.
지진구역:동일한 지진위험도에 따라 분류한 지역
3.
형상비:건축물 높이 H를 바닥면 평균길이 √BD로 나눈 비율(B:건물폭, D:건물깊이)
4.
가스트영향계수:언덕 및 산 경사지의 정점 부근에서 풍속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정점 부근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계수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번은 지형계수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리니]
12.
철근콘크리트 보의 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균일단면을 가지는 탄성보의 처짐은 보 단면의 이차모멘트에 반비례한다.
2.
장기처짐은 압축철근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3.
하중작용에 의한 순간처짐은 부재강성에 대한 균열과 철근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성처짐공식을 사용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4.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 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평지붕구조의 활하중 L에 의한 순간처짐한계는 ℓ/180이다. (ℓ:보의 경간)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장기처짐은 압축철근비와 반비례 입니다. [해설작성자 : 밥익힘]
13.
콘크리트구조에 사용되는 강재 및 철근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조립을 위해 교차되는 철근은 용접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책임기술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용접할 수 있다.
2.
보강용 철근은 이형철근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나선철근이나 강선으로 원형철근을 사용할 수 있다.
3.
철근, 철선 및 용접철망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400MPa를 초과하는 경우, fy값은 변형률 0.003에 상응하는 응력값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4.
상단과 하단에 2단 이상으로 철근이 배치된 경우 상하철근은 동일 연직면 내에 배치되어야 하고, 이 때 상하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철근,철선 및 용접철망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400mpa를 초과하여 항복마루가 없는 경우,fy값은 변형률 0.0035에 상응하는 응력의 값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4.
조적식 구조의 경험적 설계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횡안정성을 위해 전단벽이 요구되는 각 방향에 대하여 해당 방향으로 배치된 전단벽길이의 합계가 건물의 장변길이의 50%이상이어야 한다.
2.
조적벽이 횡력에 저항하는 경우에는 전체높이가 13 m, 처마높이가 9m 이하이어야 경험적 설계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횡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적전단벽의 공칭두께는 최소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4.
횡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 전단벽들은 횡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횡안전성 확보를 위해 사용된 전단벽들은 횡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5.
강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재의 용접성은 탄소량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다.
2.
강재의 인장시험 시 네킹현상으로 인해 변형도는 증가하지만 응력은 오히려 줄어든다.
3.
푸아송비는 인장이나 압축을 받는 부재의 하중 작용방향의 변형도에 대한 직교방향 변형도 비의 절댓값으로 정의되며, 강재의 경우 0.3이다.
4.
인성은 항복점 이상의 응력을 받는 금속재료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파괴되지 않고 변형을 계속하는 성질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는 연성에 대한 설명이고 인성은 재료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밥익힘]
16.
시간이력해석에서 설계지진파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이력해석은 지반조건에 상응하는 지반운동기록을 최소한 2개 이상 이용하여 수행한다.
2.
3차원해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지반운동은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2성분의 쌍으로 구성된다.
3.
계측된 지반운동을 구할 수 없는 경우에는 필요한 수만큼 적절한 모의 지반운동의 쌍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지반운동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직교하는 2성분에 대해서 동일한 배율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시간이력해석 - 지반운동기록 최소한 3개이상 [해설작성자 : 타로꾸기]
17.
강구조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러그 슬롯용접에서 유효단면에 평행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의 0.6배를 사용한다.
2.
모살용접에서 용접선에 평행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의 0.6배를 사용한다.
3.
완전용입용접에서 유효단면에 직교압축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를 사용한다.
4.
부분용입용접에서 유효단면에 직교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항복강도를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부분용입용접에서 유효단면에 직교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경우, 용접모재의 공칭강도는 용접모재 인장강도의 0.6배를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가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