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처짐은 균열환산단면해석에 기초하여 2개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모멘트-처짐 관계나 유효단면2차 모멘트를 적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2.
구조설계에서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집중을 고려하여야 한다.
3.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에 따라 비균열등급과 부분균열등급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4.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6.
강구조의 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두께의 12배 이하 또한 150 mm 이하로 한다.
2.
접합부의 설계강도는 45 kN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연결재, 새그로드 또는 띠장은 제외한다.
3.
전단접합 시에 용접과 볼트의 병용이 허용되지 않는다.
4.
일반볼트는 영구적인 구조물에는 사용하지 못하고 가체결용으로만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7.
목구조에서 부재 접합 시의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음ㆍ맞춤 부위는 가능한 한 응력이 작은 곳으로 한다.
2.
맞춤면은 정확히 가공하여 빈틈없이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3.
이음ㆍ맞춤의 단면은 작용하는 외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한다.
4.
경사못박기에서 못은 부재와 약 45°의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경사 못 박기는 부재와 약 30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따봉도치]
8.
그림과 같이 평판두께가 13 mm인 2개의 강판을 하중(P)방향과 평행하게 필릿용접으로 겹침이음하고자 한다. 용접부의 설계강도를 산정하는 데 필요한 용접재의 유효면적과 가장 가까운 값(mm2)은? (단, 필릿용접부에 작용하는 하중은 단부하중이 아니며, 이음면은 직각이다)
1.
700
2.
1,200
3.
1,400
4.
2,400
정답 : [
3
] 정답률 : 78%
9.
강구조의 휨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축휨을 받는 2축대칭 H형강의 콤팩트 부재에서 비지지 길이가 소성한계비지지길이 이하인 경우에는 횡좌굴강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2.
속이 꽉 찬 직사각형 단면의 경우 강축에 대한 소성단면계수는 탄성단면계수의 1.25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