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력볼트는 용접과 조합하여 하중을 부담시킬 수 없고, 고장력볼트와 용접을 병용할 경우 고장력볼트에 전체하중을 부담시킨다.
4.
고장력볼트 마찰접합에서 하중이 접합부의 단부를 향할 때는 적절한 설계지압강도를 갖도록 검토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9%
9.
길이가 L이고 변형이 구속되지 않은 트러스 부재가 온도변화 △T에 의해 일어나는 축방향 변형률(ϵ)은? (단, 트러스 부재의 재료는 열팽창계수 α인 등방성 균질재료로 온도변화에 따라 선형변형한다)
1.
ϵ=α(△T)
2.
ϵ=α(△T)√L
3.
ϵ=α(△)TL
4.
ϵα(△T)L2
정답 : [
1
] 정답률 : 52%
10.
그림과 같이 AB구간과 BC구간의 단면이 상이한 캔틸레버 보에서 B점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자유단인 C점의 처짐은? (단, AB구간과 BC구간의 휨강성은 각각 2EI와 EI이며 자중을 포함한 기타 하중의 영향은 무시한다)
1.
PL3/3EI
2.
2PL3/3EI
3.
5PL3/6EI
4.
5PL3/12EI
정답 : [
4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단면이 상이하여 휨강성이 2배가 되었기에 하중P는 상대적으로 1/2이 된다. 공식:Pa^2/6EI * (3l-a) 에 적용해보면 P/2*L^2/6EI * (6L-L) =5PL^3/12EI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1.
항복점 이상의 응력을 받는 금속재료가 소성변형을 일으켜 파괴 되지 않고 변형을 계속하는 성질은?
1.
연성
2.
취성
3.
탄성
4.
강성
정답 : [
1
] 정답률 : 86%
12.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내진설계에서 밑면전단력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2.
건축물 중요도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3.
건축물 고유주기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4.
유효건물중량이 작을수록 밑면전단력은 감소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건축물 중요도계수가 클수록 밑면전단력은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카시오]
13.
설계지진 시 큰 횡변위가 발생되도록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사이에 설치하는 수평적으로 유연하고 수직적으로 강한 구조요소는?
1.
능동질량감쇠기
2.
동조질량감쇠기
3.
점탄성감쇠기
4.
면진장치
정답 : [
4
] 정답률 : 80%
14.
보통모멘트골조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철근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스트럿-타이모델에 따라 설계하지 않은 일반적인 보 부재로, 전단철근에 의한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강도의 2배 이하이며, d는 보의 유효깊이이다)
1.
용접이형철망을 사용한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600MPa를 초과할 수 없다.
2.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근의 간격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인 경우 d/2 이하 또한 6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종방향 철근을 구부려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때는 그 경사길이의 중앙 3/4만이 전단철근으로서 유효하다.
4.
경사스터럽과 굽힘철근은 부재의 중간 높이에서 반력점 방향으로 주인장철근까지 연장된 30°선과 한 번 이상 교차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경사스터럽과 굽힘철근은 부재의 중간 높이에서 반력점 방향으로 주인장철근까지 연장된 45º선과 한 번 이상 교차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카시오]
15.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구조세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선단부는 지지층에 확실히 도달시켜야한다.
2.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근은 4개이상 또한 설계단면적의 0.25% 이상으로 하고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으로 보강하여야 한다.
3.
저부의 단면을 확대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의 측면경사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이 30°를 초과할 경우, 전단력에 대해검토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4.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을 배치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2.0배 이상 또한 말뚝머리 지름에 1,000 mm를 더한 값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30도 초과가 아닌 이하여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차에코푼스키]
16.
강구조 H형단면 부재에서 플랜지에 수직이며 웨브에 대하여 대칭인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 플랜지와 웨브에 대하여 검토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단, 한쪽의 플랜지에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이다)
1.
웨브크리플링강도
2.
웨브횡좌굴강도
3.
블록전단강도
4.
플랜지국부휨강도
정답 : [
3
] 정답률 : 62%
17.
기초구조 및 지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2개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하나의 기초판을 통해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초는 연속기초이다.
2.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반의 최대저항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이다.
3.
직접기초에 따른 기초판 또는 말뚝기초에서 선단과 지반 간에 작용하는 압력은 지내력이다.
4.
지지층에 근입된 말뚝의 주위 지반이 침하하는 경우 말뚝 주면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은 부마찰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2개의 기둥으로부터의 응력을 하나의 기초판을 통해 지반 또는 지정에 전달하도록 하는 기초는 복합기초이다. 2.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지반의 최대저항력은 지반의 극한지지력이다. 3.직접기초에 따른 기초판 또는 말뚝기초에서 선단과 지반간에 작용하는 압력은 접지압이다. [해설작성자 : 카시오]
18.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인장을 받는 6가닥의 D25 주철근이 모두 한곳에서 정착된다고 가정할 때, 주철근의 직선 정착길이 산정을 위한 c값(철근간격 또는 피복두께에 관련된 치수)은? (단, D25 주철근은 최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D10 스터럽의 굽힘부 내면반지름과 마디는 고려하지 않으며, D10, D25 철근 직경은 각각 10 mm, 25 mm로 계산한다)
1.
25.0mm
2.
37.5mm
3.
50.0mm
4.
62.5mm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c값은 철근중심에서 피복표면까지의 최단거리와 정착철근 또는 철선의 중심간 배근간격의 1/2 중 작은 값을 의미 1)40+5=45mm 2){500-2(40+10+12.5)}/5 * 1/2 =37.5mm 이 중 작은 값인 37.5mm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9.
콘크리트구조에서 용접철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냉간신선 공정을 통하여 가공되므로 연신율이 감소되어 큰 연성이 필요한 부위에 사용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2.
인장을 받는 용접이형철망은 정착길이 내에 교차철선이 없을 경우 철망계수를 1.5로 한다.
3.
겹침이음길이 사이에 교차철선이 없는 인장을 받는 용접이형 철망의 겹침이음은 이형철선 겹침이음길이의 1.3배로 한다.
4.
뚜렷한 항복점이 없는 경우, 인장변형률 0.002일 때의 응력을 항복강도로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4%
20.
그림과 같이 양단고정보에 등분포하중(w)과 집중하중(P)이 작용할 때, 고정단 휨모멘트(MA, MB)와 중앙부 휨모멘트(MC)의 절댓값 비는? (단, 부재의 휨강성은 EI로 동일하며, 자중을 포함한 기타 하중의 영향은 무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