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새가 있는 골조에서 기둥과 보, 도리, 토대와의 맞춤은 압축력, 인장력 및 전단력에 대하여 철물류 또는 구조내력상 안전한 방법으로 긴결한다.
4.
가새는 일반적으로 구조 내에서 압축강도에 의하여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9.
강구조 인장재의 설계인장강도 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재의 세장비는 가급적 3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2.
인장재 설계 시 고려하는 대표적 한계상태는 총단면의 항복 한계상태와 유효순단면적의 파단한계상태로 구성된다.
3.
유효순단면적은 볼트구멍에 의한 단면 손실을 고려한 총단면적으로 한다.
4.
끼움판을 사용한 2개 이상의 형강으로 구성된 조립인장재는 개재의 세장비가 가급적 300을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10.
말뚝의 재료에 따른 구조세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나무말뚝을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지름의 2.0배이상 또한 600mm 이상으로 한다.
2.
기성콘크리트말뚝을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지름의3.0배 이상 또한 650mm 이상으로 한다.
3.
강재말뚝을 타설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의 지름 또는 폭의 2.5배 이상 또한 750mm 이상으로 한다.
4.
매입말뚝을 배치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지름의 2.0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11.
목구조의 구조적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육안등급구조재의 섬유방향압축응력은 인장응력보다 크다.
2.
육안등급구조재의 설계허용응력은 기준허용응력에 부피계수를 곱하여 보정한다.
3.
목재는 생재에서 완전건조상태까지의 섬유직각방향수축률이 약 12~15%를 나타낸다.
4.
응력과 변형의 산정은 탄소성변형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2.육안등급구조재의 설계허용응력은 기준허용응력에 적용 가능한 모든 보정계수를 곱하여 보정한다. 3.목재는 생재에서 완전건조상태까지의 섬유직각방향수축률이 6~7%를 나타낸다. 4.응력과 변형의 산정은 탄성해석을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2.
슬럼프시험(slump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빈 콘크리트를 3회로 나누어 넣고 매회 다짐막대로 20회 다진다.
2.
상부직경 150 mm, 하부직경 250 mm, 높이 300 mm의 철제 형틀을 평평한 수밀판 위에 놓고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