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용 강재의 접합 시 두 모재의 접합부에 입상의 용제, 즉 플럭스를 놓고 그 플럭스 속에서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열로 용접하는 방법은?
1.
피복아크용접(Shielded metal arc welding)
2.
서브머지드아크용접(Submerged arc welding)
3.
가스실드아크용접(Gas shield arc welding)
4.
금속아크용접(Metal arc welding)
정답 : [
2
] 정답률 : 59%
18.
그림과 같이 압축력을 받는 기둥의 오일러 좌굴하중에 가장 가까운 값[MN]은? (단, 압축부재의 휨강성 EI는 1MNㆍm2으로 한다)
1.
4π2
2.
3π2
3.
2π2
4.
1π2
정답 : [
3
] 정답률 : 50%
19.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의 정착 및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이형철근의 기본정착길이는 철근의 공칭지름과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에 비례한다.
2.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적용 가능한 모든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여야 한다. 다만, 이 때 구한 압축이형철근의 정착길이는 항상 200 mm 이상이어야 한다.
3.
휨부재에서 서로 직접 접촉되지 않게 겹침이음된 철근은 횡방향으로 소요 겹침이음길이의 1/5 또는 150mm 중 작은 값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4.
인장이형철근의 B급 겹침이음길이는 인장이형철근 정착길이의 1.3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15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20.
건축구조기준(KBC 2009)에서 규정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전단 철근의 형태와 간격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는 부재의 유효깊이(mm),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MPa), bw는 플랜지가 있는 부재의 복부 폭(mm), h는 부재 전체의 두께 또는 깊이(mm)를 의미한다)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보강에서 부재축에 직각으로 배치된 전단철근의 간격은 0.75 h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6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는 400MPa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다만, 용접형 철망을 사용할 경우 전단철근의 설계기준항복 강도는 550MPa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
전단철근에 의한 공칭전단강도(Vs)가 (√fck /3) bwd를 초과하는 철근콘크리트부재 경우에는 스터럽의 최대간격을 d/2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철근콘크리트부재의 경우 주인장철근에 30° 이상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을 전단철근으로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