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외 참고 127.0.0.0 ~ 127.255.255.255 Loop Back 주소 127.0.0.1 Localhost 255.255.255.255 브로드캐스트 주소 224.0.0.0 ~ 239.255.255.255 멀티캐스트 주소 [해설작성자 : 방구석일진]
6.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웹페이지를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식별자가 아닌 것은?
1.
Protocol
2.
Sequence Number
3.
Host
4.
Path
정답 : [
2
] 정답률 : 66%
7.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과 TCP/I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OSI 참조 모델은 국제 표준 기구인 ISO가 만든 모델이며, 서로 다른 컴퓨터 간의 기능을 여러 계층으로 구분하여 계층마다 표준화된 서비스와 프로토콜을 규정하였다.
2.
OSI 참조 모델은 Layer 1인 최상위의 응용 계층부터 Layer 7인 최하위의 물리 계층까지 7개 계층으로 구성된다.
3.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발견하는 역할을 한다.
4.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여러 링크를 경유하여 패킷을 포워드 할 수 있으며, 이때 IP 주소와 같은 논리 주소가 이용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OSI 참조 모델은 Layer 1인 최상위의 응용 계층부터 Layer 7인 최하위의 물리 계층까지 7개 계층으로 구성된다. ❌ (틀림)
OSI 7 계층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됩니다. (L7)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L6)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L5) 세션 계층 (Session Layer) (L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L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L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L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물리 계층(L1)이 최하위 계층이며, 응용 계층(L7)이 최상위 계층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HTTPS가 사용될 때 통신 간에 암호화되는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요청되는 문서의 URL
2.
IP 헤더의 TTL 필드
3.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들
4.
탐색엔진
정답 : [
1
] 정답률 : 57%
9.
HTTP 메시지의 header 정보를 조작하여 서버가 header 정보를 완전히 수신할 때까지 연결을 유지하도록 하여 서버의 가용량을 소비시킴으로써 다른 사용자의 정상적인 서비스를 방해하는 공격은?
1.
Slowloris 공격
2.
HTTP CC 공격
3.
HTTP GET Flooding 공격
4.
Slow HTTP POST 공격
정답 : [
1
] 정답률 : 51%
10.
다음 ㉠~㉣에 들어갈 용어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순서대로 ㉠, ㉡, ㉢, ㉣)
1.
VPN, PPTP, L2TP, L2F
2.
VPN, PPTP, L2F, L2TP
3.
PPTP, VPN, L2TP, L2F
4.
PPTP, VPN, L2F, L2TP
정답 : [
2
] 정답률 : 80%
11.
데이터링크의 효율성을 위해서 다수의 디바이스가 단일 링크를 공유하여 전송해 주는 기술은?
1.
변조
2.
부호화
3.
암호화
4.
다중화
정답 : [
4
] 정답률 : 80%
12.
부인 봉쇄(non-repudiation) 기능을 제공하는 기법은?
1.
디지털 서명
2.
트래픽 패딩
3.
접근 제어
4.
CRC
정답 : [
1
] 정답률 : 76%
13.
공중 무선랜의 공격에 대한 대응 기법이 아닌 것은?
1.
폐쇄 시스템 운영
2.
MAC 주소 인증
3.
SSID 설정을 통한 접속 제한
4.
WEP/WPA 키 크래킹
정답 : [
4
] 정답률 : 61%
14.
방화벽 내에서 내부 사설 IP 주소를 가진 클라이언트가 외부로 접속하는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ㄴ → ㄷ → ㄱ → ㄹ
2.
ㄴ → ㄹ → ㄱ → ㄷ
3.
ㄷ → ㄱ → ㄴ → ㄹ
4.
ㄷ → ㄹ → ㄴ → ㄱ
정답 : [
1
] 정답률 : 67%
15.
스니핑을 수행하는 스니퍼(sniffer)를 탐지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로컬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주소로 위장하여 ping(ICMP Echo Request)을 보냈을 때, ICMP Echo Reply를 받으면 해당 호스트는 스니퍼임을 추측할 수 있다.
2.
FIN 패킷을 보냈을 때, RST 패킷을 받으면 해당 호스트는 스니퍼임을 추측할 수 있다.
3.
특정 호스트에서 promiscuous mode의 설정 여부를 확인하면 스니퍼임을 추측할 수 있다.
4.
ARP 트래픽을 모니터링하는 ARP watch를 이용하여 스니퍼임을 추측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16.
IPSe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Sec을 침입차단시스템이나 라우터에서 구현할 경우 경계를 통과하는 모든 트래픽에 적용할 수 있는 강한 보안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회사나 작업그룹 사이의 트래픽 보안을 위해 특별한 처리를 할 필요가 없다.
2.
IPSec은 전송계층(TCP와 UDP)의 아래에 있으며 응용 프로그램에는 투명하다. 침입차단시스템이나 라우터에서 IPSec이 작동되고 있을 때는 서버 시스템과 사용자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바꿀 필요가 없다.
3.
만약 외부로부터의 모든 트래픽이 IP를 사용해야만 한다면 침입차단시스템에서의 IPSec은 우회하는 트래픽을 차단할 수 없으며, 개별적인 사용자가 보안이 필요하다면 IPSec은 그 사용자에게 보안을 제공할 수 없다.
4.
IPSec은 종단 사용자에게 투명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번거롭게 사용자에게 보안 메커니즘을 훈련시키거나, 개별 기반으로 키를 발급하거나, 사용자가 근무를 그만두고 떠날 때 키를 취소할 필요가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만약 외부로부터의 모든 트래픽이 IP를 사용해야만 한다면 침입차단시스템에서의 IPSec은 모든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개별적인 사용자가 보안이 필요하다면 IPSec은 그 사용자에게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산 합격 제발]
17.
전송계층에 적용되는 SSL(또는 TLS) 보안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uthentication Header 프로토콜은 발신지 호스트를 인증하고 페이로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2.
Alert 프로토콜은 암호화 또는 암호화/인증의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캡슐화 헤드와 트레일러로 구성된다.
3.
Change Cipher Spec 프로토콜은 연결에서 사용될 암호화 그룹을 갱신하는 프로토콜이다.
4.
Handshake 프로토콜은 응용데이터가 전송된 후에 사용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상호인증, 그리고 암호와 MAC 알고리즘을 협상하지만, 보안 프로토콜로 송신되는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암호화 키들은 협상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AH는 IPSec에서 사용 2. alert 프로토콜: 오류전달 4. Handshake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서버 사이 세션 설정, 암호화 키도 협상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8.
TCP session hijacking 공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 공격 기법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2.
이 공격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사용되는 TCP의 sequence number를 이용한 공격이다.
3.
이 공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ARP 스푸핑과 같은 추가적인 공격 기술이 필요하다.
4.
세션 성립은 일반적으로 인증 성립을 의미하며, 인증이 성립된 후에는 이 공격을 막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19.
네트워크 공격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비스 거부 공격은 대상 시스템의 서비스를 중단시키기 위해 공격하는 기법이다.
2.
중간자 공격(man-in-the middle attack)은 두 컴퓨터의 통신 중간에 위치하는 공격 기법이다.
3.
DDoS 공격은 일반적으로 공격을 증폭시키는 중간자가 사용되는 공격 기법이다.
4.
CSRF 공격은 메일 서버를 요청하지 않은 이메일로 공격하는 기법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20.
203.230.15.0과 같은 IPv4의 C 클래스 네트워크를 30개의 서브넷으로 나누고, 각각의 서브넷에는 5개의 호스트를 연결하려고 한다. 30개의 서브넷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서브넷 마스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