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경로 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 뒤쪽으로 전파의 일부가 휘어져서 전파되는 현상은?
1.
전파의 회절
2.
전파의 감쇄
3.
전파의 굴절
4.
전파의 편파
정답 : [
1
] 정답률 : 100%
3.
반송파를 삽입하는 진폭 변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송파를 삽입하지 않는 방식에 비해 수신기가 복잡하다.
2.
변조지수가 1보다 작으면 비동기식 복조가 가능하다.
3.
전력 효율이 낮은 전송방식이다.
4.
SSB 방식에 비해 대역 효율이 낮다.
정답 : [
1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반송파를 삽입하는 진폭 변조는 DSC-LC를 말함 - 반송파를 삽입하므로 수신측에서 비동기검파가 가능하다. - 동기 검파에 비해 복잡하지 않음 - 변조지수= 변조신호의 진폭/ 반송파의 진폭, 1보다 작으면 포락선 검파기를 이용하여 비동기식 복조가 가능하다. - 반송파 성분이 같이 전송되므로 전력효율이 낮다. - SSB에 비해 2배의 대역을 필요로 하므로 대역효율이 낮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디지털 변조 방식 가운데 대역 효율이 가장 높은 방식은?
1.
BPSK
2.
QPSK
3.
16-QAM
4.
32-ary orthogonal FSK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대역 효율= 한번에 전송하는 비트수 = log2M (M은 진수) ASK나 PSK는 반송파만을 사용하므로 대역폭이 같이 M이 증가할수록 대역효율도 증가한다. M진 FSK는 각 심볼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배정하여 변조하므로 M이 증가할수록 대역폭이 더 필요하게 되어 대역 효율은 나빠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최대 초당 2,400[baud] 심볼률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5,000[bps] 디지털 음성을 보내고자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심볼 상태 수는?
1.
2
2.
4
3.
8
4.
16
정답 : [
3
] 정답률 : 56%
6.
수신기에서 1[MHz]의 주기적인 신호가 2.7[MHz] 정현파를 출력하는 국부 발진기와 혼합된 후, 600[kHz]의 차단주파수를 갖는 저역통과필터(LPF)를 통과한다. 이러한 수신기의 저역통과필터(LPF) 출력에 나타나는 신호의 주파수[kHz]는?
1.
300
2.
400
3.
500
4.
550
정답 : [
1
] 정답률 : 50%
7.
길이가 7.5[cm]인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로 수신할 때, 수신감도가 가장 우수한 신호는? (단, 전파의 속도는 3×108[m/s]이다)
1.
s(t) = 7.5 cos (2×108πt)
2.
s(t) = 7.5 cos (4×108πt)
3.
s(t) = 15 cos (2×109πt)
4.
s(t) = 15 cos (4×109πt)
정답 : [
4
] 정답률 : 71%
8.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안테나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수의 송수신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률을 높일 수 있다.
2.
송수신 다이버시티를 기대하기 힘들다.
3.
송수신 안테나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도 있으며 한 사용자에 모두 할당할 수도 있다.
4.
무선통신 시 다중경로 페이딩과 같은 현상으로 인한 전송률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100%
9.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OFDM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중경로에 효율적인 전송방식이다.
2.
CP(Cyclic Prefix)의 삽입으로 대역폭 효율이 증가한다.
3.
단일주파수망이 가능하여 방송용에도 장점으로 작용한다.
4.
협대역 간섭이 일부 부반송파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협대역 간섭에 강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10.
위성통신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궤도 위성과 비교하였을 때, 정지궤도 위성은 지상 기지국에서 동일한 수신 전력을 얻기 위하여 보다 큰 송신 출력이 요구된다.
2.
저궤도 위성 시스템의 경우, 지상 기지국에서 위성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3.
정지궤도 위성의 경우, 3개의 위성으로 지구 대부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4.
다원접속(Multiple access)이라 함은 하나의 기지국이 여러 대의 위성에 동시 접속하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다원 접속이란 하나의 위성에 여러 개의 기지국이 동시에 접속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다원접속이란 여러 개의 지구국이 하나의 위성에 동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행하는 것으로, 다원 접속 방식에는 FDMA, TDMA, CDMA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