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浩然之氣 호연지기 :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勞心焦思 노심초사 : 마음으로 애를 쓰며 속을 태움 乾坤一擲 건곤일척 : 온 힘을 기울여 마지막 승부를 겨룸 焦眉之急 초미지급 : 눈썹이 타게 될 만틈 위급한 상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 글의 () 안에 들어갈 문헌은?
1.
東國正韻
2.
洪武正韻
3.
訓蒙字會
4.
四聲通解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동국정운 : 조선 세종 30년에 신숙주 최항 성삼문 박팽년 이개 등의 집현전 학자들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운서. 중국의 운서인 홍무정운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새로운 채계로 정리한 최초의 음운서 2.홍무정운 : 중국 태조 홍무가 펴낸 운서. 동국정운을 짓는 데 참고 자료가 되었다. 3.훈몽자회 : 조선 중종 22년 최세진이 지은 한자 학습서 4.사성통해 : 최세진이 엮은 운서. 홍무정운을 바탕으로 하고 사성통고의 결점을 보완하여 펴낸 책. 한자의 고음 금음 정음 속음을 한글로 적고 뜻을 표기. [해설작성자 : 국어 한국사 컬레버]
8.
문장 성분 간의 호응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지난해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적발한 과장 광고의 사례는 300건이 훨씬 넘는다.
2.
유리 건물은 은폐 공간을 최소화하여 각종 사고 예방과 업무의 생산성도 높이고 있다.
3.
어제의 세상과 오늘의 세상이 다르듯이 어제의 말과 오늘의 말도 다르다.
4.
한국인에게 있어서 대장암은 위암이나 폐암 등과 같이 발병률이 높은 암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각종 사고를 예방하고, 업무의 생산성도 높이고 있다. 각종 사고 예방률과 업무의 생산성도 높이고 있다.
9.
다음 글의 서술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단어의 의미를 풀어서 밝히고 있다.
2.
근거를 제시하여 주장을 정당화하고 있다.
3.
시간적 순서를 뒤바꾸어 사건을 서술하고 있다.
4.
사물을 그림을 그리듯이 표현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개천물 눈부시게 빛나고. 제방 개나리 샛노랗다. 양털같이 부드러운 마른 풀 괴물 모양 회색 건물 굴뚝 노란 연기 불길모양 너울 등... 사물을 그림그리듯 묘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글의 “실의(失意)의 무진행” 당시에 '박군'은 몇 살이었으며, 현재 내 나이는 몇 살인가?(순서대로 박군의 나이, 내 나이)
1.
25, 29
2.
29, 33
3.
29, 29
4.
25, 33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마지막 문단으로 나의 나이는 29+4 = 33로 유추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박군의 나이는 어디서도 볼 수 없는데. 대화속에서 4년전 이야기가 또 나와서 혼선을 줍니다. 이야기 속의 '나'가 실의의 빠져 무진으로 내려간 시기도 4년전의 4년 전이므로 박군의 나이는 25세입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4년전 실의의 무진행에 대해 얘기 후(과거회상?) 박군과의 대화는 4년 후인 현재의 대화 입니다. 그러므로 현재 박군의 나이가 29살이므로 4년전의 박군의 나이는 25살 [해설작성자 : 설명이..]
11.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비극의 현대적 의의
2.
비극을 즐기는 이유
3.
비극의 기원과 역사
4.
비극에 반영된 삶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첫문단에 비극을 즐긴다. 이후 유명인들의 작품을 꺼내가며 비극을 즐길 수 있는 이유를 설명.
12.
다음 시의 중심 소재가 된 객관적 사물은?
1.
바람
2.
초승달
3.
샛별
4.
소나무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눈썹 = 초승달.
13.
다음 시에 나타나는 죽음에 대한 작가의 세계관은?
1.
인간의 죽음은 신성한 것이다.
2.
인간이 죽음 후에 도달할 최고의 정신적 경지는 해탈이다.
3.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은 죽음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한다.
4.
죽음은 새로운 세계로의 여행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바람,죽음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일상의 고달픔과 질곡을 벗어나 정신의 가벼움과 투명함을 성취하는 동시에 영원한 이상 세계인 무인도에 도달하여 무한한 자연에로 귀환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작품.
풍장을 통해 죽음을 단지 자연의 일부로 보고 담담히 받아들이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