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어머니가 바구니를 들다 -> 의미가 통하므로 들다 또한 본용언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다음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여행자는 작은 장승 두 개를 지나 10리만 더 가면 '역(驛)'이 나온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2.
'원(院)'을 운영하는 승려는 나라에서 요구하는 각종 잡역에서 빠졌을 것이다.
3.
외국에서 사신이 오면 관리들은 '역(驛)'에서 그들을 맞이하거나 보냈을 것이다.
4.
민간인 여행자들도 자유롭게 '원(院)'에서 숙식을 해결했을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민간인 여행자들은 여염집 대문 앞에서 "지나가는 나그네인데,~~
1. 10리길마자 장승. 30리길에 큰 장승. 큰장승에는 역,원 설치. ->장승 2개 = 20리길+10리길 2. 원주는 승려 향리 지방 관리 등, 각종 잡역 제외. 3.역이 국가의 명령이나 공문서 중요한 군사 정보의 전달 사신 왕래에 따른 영송과 접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글의 서술 방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단호한 어조로 상대의 오만함을 지적하고 있다.
2.
역사적 사례를 들어 상대의 미묘한 심리를 언급하고 있다.
3.
상대가 행한 일을 나열하며 부당한 처사였음을 지적하고 있다.
4.
상대가 처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만족할 줄 모르고 오히려 ~~ 3.가는곳마다 사람을 죽이고 ~~ 4.갑자기 부는 회오리바람, 쏟아지는 폭우, 줄 붙은 초막 위 제비집, 등 상대의 처지를 비유적으로 표현하여 반성 촉구.
2.초나라나 오나라가 언급되었다고 해서 역사적 사례를 들은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밑줄 친 어휘의 뜻풀이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그는 속이 매우 슬겁다. -슬겁다 : 마음씨가 너그럽고 미덥다.
2.
그는 해거름에 가겠다고 말했다. -해거름 : 해가 서쪽으로 넘어갈 때.
3.
그는 길섶에 핀 코스모스를 보았다. -길섶 : 시골 마을의 좁은 골목길.
4.
그는 책장을 데면데면 넘긴다. -데면데면 : 성질이 꼼꼼하지 않아 행동이 신중하거나 조심스럽지 않은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