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컴퓨터 게임이나 컴퓨터 기반 훈련과 같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행 상황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용어는?
1.
선형 콘텐츠
2.
비선형 콘텐츠
3.
VR 콘텐츠
4.
4D 콘텐츠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선형 콘텐츠: 탐색 제어 없이 진행.예)영화 화면 표현 비선형 콘텐츠: 하이퍼미디어 콘텐츠로도 알려짐. [해설작성자 : 1년에1자격증]
디지털화: 다양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함 쌍방향성: 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일방적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의견을 통한 상호 작용에 의해 데이터가 전달됨 비선형성: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됨 정보의 통합성: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애니메이션 등의 여러미디어를 통합하여 처리함 [해설작성자 : 배캐배캐]
선형 콘텐츠: 콘텐츠가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관계없이 정해진 순서대로 내용을 소비하는 형태입니다. 예: 영화, 드라마. 비선형 콘텐츠: 사용자가 상호작용을 통해 콘텐츠의 흐름을 변경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예: 컴퓨터 게임, 인터랙티브 훈련. VR 콘텐츠: 가상 현실 콘텐츠로, 몰입감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만 반드시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한 진행을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4D 콘텐츠: 3D 영상에 시간적 요소나 물리적 효과(예: 진동, 바람 등)를 추가한 형태로, 상호작용을 통한 제어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
3.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행위
4.
키보드의 키 입력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
정답 : [
3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1. 스니핑 2. 스푸핑 3.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4. 키로거 [해설작성자 : reontea]
1. 스니핑-네트워크 주변을 돌아다니는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내는 행위 2. 스푸핑-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 3. ddos-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대량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버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는 행위 4. 키로거-키보드의 키 입력 시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 정보를 빼내는 행위 5. 피싱-이메일등을 이용해 가짜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후 아이디 등을 빼내는 기법 6. 파밍-브라우저가 가짜 사이트로 접속하는 기법 7. 스파이웨이-사용자 동의 없이 사용자 정보를 수집, 사생활을 침해하는 행위 8. 스미싱-휴대폰을 공격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피싱의 한 형태 [해설작성자 : 기모찌]
<문제 해설> 프로토콜 기능 : ① 흐름 제어 ② 동기화 ③ 에러 제어(검출) 기능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탑플러스 정익종 컴활 인강]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들 간에 정보 교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통신 규약 (규칙, 약속이라 생각하기!)
- 통신망에 흐르는 패킷 수를 조절하는 등의 흐름제어(Flow Control) 기능이 있어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 -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송,수신기가 같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기화(synchronization) 기능을 수행한다. - 데이터의 전송 도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검출한다. [해설작성자 : 개미는뜐뜐]
다음 중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인 'Tracert'의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2.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다.
3.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4번의 내용은 netstat 이다. [해설작성자 : 운빨셤]
ping테스트를 통해서 해당 호스트의 ip주소를 알고 있다면 현재 내가 접속한 네트워크환경에서부터 접속하고자하는 호스트의 목적지 ip까지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줌. [해설작성자 : 1년에1자격증]
Tracert -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로, IP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장비의 수)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음 - 특정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를 알아볼 수 있음 - 인터넷 속도가 느릴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알아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개미는 뜐뜐]
IPv4와 IPv6의 차이점 IPv4는 8비트씩 4부분으로 총 32비트로 구성되고 각 부분은 10진수로 표현되며, 점(.)으로 구분한다. IPv6은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로 구성되고 각 부분은 16진수로 표현되며 콜론(:)으로 구분한다. [해설작성자 : 포챠코사랑]
<문제 해설> 객체 지향 언어 종류 : C++, 자바 등이 있으며 상속성, 캡슐화, 추상화, 다형성 등 특징을 지원하며 코드의 재사용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참고 정리> ※ 객체 지향 언어와 절차적 프로그램(구조적 프로그램)으로 구분 ▶ 절차적 프로그램(구조적 프로그램) : 순차적인 처리 중요시 - Basic은 대표적인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절차적 프로그램에 해당 - 자바는 인터프리터 방식이지만 컴파일 과정을 거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래밍 기법. 객체라는 단위를 이용하여 현실세계에 가까운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하므로, 이해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프로그램 개발 가능. 유지보수가 쉽고 재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수 있음. [해설작성자 : 또또니]
<문제 해설> 3.에러 검출 코드 중 해밍코드(Hamming Code)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hj84725]
아스키(ASCII) 코드는 표준 ASCII(7비트, 128개 문자), 확장 ASCII(8비트, 256문자)로 구분된다. ③번에서 오류 검출 및 교정(정정)까지 할 수 있는 코드는 해밍코드에 대한 설명이며, 아스키(ASCII) 코드는 1비트 패리티비트를 사용하여 통신용에서 오류를 검출만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다음 중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주기억장치나 주변장치들을 공유하여 신뢰성과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은?
1.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3.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4.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 한 대의 시스템을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방식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 '한대의 CPU'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 한대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CPU'를 설치하여 프로그램을 처리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 두 개의 동일한 시스템을 구동시켜 한쪽을 삭제함으로써 한 번 더 예비로 사용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예찬아 공부하자]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과 다중 처리 시스템의 구별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 CPU 1개사용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2개 이상의 CPU 사용 [해설작성자 : 20토츠레반]
<문제 해설>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 번에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3수맨]
[추가 해설] 연산장치에는 가산기, 보수기, 누산기, 데이터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컴활재수생]
연산장치 : 가산기-덧셈, 보수기-보수하여 뺄셈, 누산기- 연산결과 일시 기억, 상태레지스터-상태정보기억 제어장치 : 프로그램카운터-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 번지(주소)를 기억 명령 레지스터 : 명령어의 내용 기억 해독기 : 명령어 해독 부호기: 제어신호 생성 [해설작성자 : 한나]
④ DPI(Dots Per Inch) : 1인치에 표시할 수 있는 점의 수(해상도 단위) <※ 참고 정리> ① CPS(Character Per Second) : 초당 인쇄되는 문자수(인쇄 속도 단위) ② BPS(Bits Per Second) : 초당 전송되는 비트(전송 속도 단위) ③ PPM(Paper Per Minute) :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인쇄 속도 단위)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다음 중 BIOS(Basic Input Output System)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IOS는 메인보드 상에 위치한 EPROM, 혹은 플래시 메모리 칩에 저장되어 있다.
2.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자동으로 가장 먼저 기동되며, 기본 입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3.
CMOS 셋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부팅 순서 등 일부 BIOS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4.
주기억 장치의 접근 속도 개선을 위한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바이오스(BIOS) 컴퓨터의 기본 입력,출력 장치나 메모리 등 하드웨어 작동에 필요한 명령을 모아놓은 프로그램. 전원이 켜지면 POST를 통해 컴퓨터를 점검한 후 사용 가능한 장치들을 초기화하여, 윈도우가 시작될 때까지 부팅 과정을 이끈다. ROM에 저장되어 있어 ROM-BIOS라고도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중간 형태인 펌웨어 CMOS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 하드디스크 타입, 부팅 순서, 칩셋, 전원 관리, PnP, 시스템암호, Anti-virus 등 [해설작성자 : 코로나 박살나길 기원(신천지도)]
가상 메모리의 페이징 파일 크기 설정은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시스템]-[고급 시스템 설정]-[고급]-[설정] 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실시간 공부중]
다음 중 반도체를 이용한 컴퓨터 보조 기억 장치로 크기가 작고 충격에 강하며, 소음 발생이 없는 대용량 저장 장치는?
1.
HDD(Hard Disk Drive)
2.
DVD(Digital Versatile Disk)
3.
SSD(Solid State Drive)
4.
CD-RW(Compact Disc Rewritable)
정답 : [
3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HDD - 저장용량크고 데이터 접근 속도 빠르나 충격에 약함, 개인용 컴퓨터에서 보조기억장치로 널리 사용됨 2.DVD - 화질과 음질이 뛰어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할수있는 대용량 저장매체,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 사용 3.SSD - 고속으로 데이터 입출력 가능,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록하므로 배드섹터가 발생하지 않음,발열 소음 전력소모적고 외부충격에 강하다. 4.CD-ROM - 약 650MB의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 제품을 만들 때 이미 내용을 기록하였기때문에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코로나 뿌셔 박살]
4. CD-RW 는 여러 번 읽고 쓰는 것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SSD를 S(small작고)s(strong강하다)D 로 외우면 좋아요 [해설작성자 : 시험너가먼데]
다음 중 Windows의 백업과 복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특정한 날짜나 시간에 주기적으로 백업이 되도록 예약 할 수 있다.
2.
백업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bkf 이다.
3.
백업된 파일을 복원할 때 복원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4.
직접 선택한 폴더에 있는 알려진 시스템 폴더나 파일도 백업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알려진 시스템 폴더의 파일과 알려진 프로그램 파일은 선택한 폴더에 있더라도 백업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얍얍사랑해]
알려진 시스템 폴더: 윈도우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파일이 있는 폴더 알려진 프로그램 파일: 프로그램이 설치될 때 레지스트리에 프로그램의 일부로 정의된 파일 [해설작성자 : 컴활사라져즘]
④ Windows 백업([컴퓨터]-[C, D 드라이브 속성]-[도구])을 사용하면 시스템 폴더나 파일 백업이 아닌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복사본(백업)을 만들 수 있다 ※ 시스템 폴더 또는 파일은 [컴퓨터]-[속성]-[시스템 보호]의 ‘시스템 복원’)를 이용하여 복원 지점을 만들거나 및 복원할 수 있다. ※ 시스템 복원 : 컴퓨터의 시스템 파일을 이전 시점으로 복원하며, 전자 메일, 문서 또는 사진과 같은 개인 파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컴퓨터에 대한 시스템 변경 내용을 실행 취소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자동 필터는 각 열에 입력된 데이터의 종류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날짜, 숫자, 텍스트 필터가 모두 표시된다.
2.
고급 필터는 조건을 수식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조건의 첫 셀은 반드시 필드명으로 입력해야 한다.
3.
자동 필터에서 여러 필드에 조건을 설정한 경우 필드간은 OR 조건으로 처리되어 결과가 표시된다.
4.
고급 필터는 필터링 한 결과를 원하는 위치에 별도의 표로 생성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자동 필터는 날짜 숫자 텍스트 필터가 혼합 되어 있는 경우 가장 많은 형식의 데이터만 표시 된다. 3. 여러 필드에 조건을 설정한 경우 필드 간에는 AND 조건으로 처리 됨. [해설작성자 : 폭풍왕]
1. 자동 필터는 날짜 숫자 텍스트 필터가 혼합 되어 있는 경우 가장 많은 형식의 데이터만 표시 된다. 2. 고급필터의 조건 지정이 '기본 조건 지정 방법'일 경우 원본 데이터 목록의 필드명을 입력하지만, '고급 조건 지정 방법'일 경우,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과 다른 필드명을 입력하거나 생략한다. 3. 여러 필드에 조건을 설정한 경우 필드 간에는 AND 조건으로 처리 됨. [해설작성자 : 의경수경]
1. 자동필터는 날짜, 숫자, 텍스트, 필터 등이 모두 표시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많은 형식의 데이터에 대해서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2. 고급필터는 조건을 수식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함수식을 이용하여 조건을 작성할 수 있으며, 조건의 첫 셀은 필드명을 꼭 입력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수식 또는 함수식을 적는 경우 필드명 이름은 임의로 다른 이름으로 입력해야 하며 필드명은 꼭 입력 안해도 됩니다. 필드명 비워도 되고 다른 이름으로 임의로 입력해도 됩니다. 다만, 함수식이나 수식 이용하지 않고 문제 조건에 따라 적는 경우는 동일한 필드명 이름을 입력해야 합니다. 3. 자동필터는 여러 필드에 조건을 설정하면 AND 조건으로 필터링 됩니다. 4. 고급필터는 필터링 한 결과에 대해서 별도의 위치에 표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자동필터는 조건에 맞는 것에 대해서만 필터링을 하여 보여줍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만들 때에는 결과 셀을 반드시 지정해야 하지만,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를 만들 때에는 결과 셀을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2.
여러 시나리오를 비교하여 하나의 테이블로 요약하는 보고서를 만들 수 있다.
3.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생성하기 전에 변경 셀과 결과셀에 이름을 정의하면 셀 참조 주소 대신 정의된 이름이 보고서에 표시된다.
4.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는 자동으로 다시 갱신되지 않으므로 변경된 값을 요약 보고서에 표시하려면 새 요약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번)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만들 때에는 결과 셀을 반드시 지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를 만들 때에는 결과 셀을 지정하지 않으면 [시나리오 피벗 테이블 보고서를 만들려면 결과셀을 지정해야 합니다.]라는 오류메세지가 뜨며, 결과셀을 반드시 지정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큐에 합격]
다음 중 입력 데이터에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을 설정한 경우 그 표시 결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 100(##.##) = 100. [해설작성자 : 예찬아 공부하자]
※ 1번 보기 입력데이터 : 0 표시 형식 : # 표시 결과 :
0이 입력되어 있을 때 사용자 지정 서식으로 #을 적용하면 0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표시 형식을 0으로 적용하였을 경우는 0이 나타납니다. 0은 0을 표시하고 #은 0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 2번 보기 입력데이터 : 123.456 표시 형식 : #.# 표시 결과 : 123.5
123.456 이 입력되어 있을 때 #.# 으로 사용자 지정 서식으로 적용하면 결과는 123.5가 나옵니다. 셀 서식 에서 사용자 지정을 할 때 #.# 으로 하면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첫째 자리까지 표시됩니다. 소수 부분은 무조건 반올림되어 처리가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소수 둘째 자리인 5에서 반올림하여 소수 첫째 자리 숫자 하나 올려주고서 없어지게 되므로 결과는 123.5가 됩니다.
※ 3번 보기 입력데이터 : 100 표시 형식 : ##.## 표시 결과 : 100.
3번의 경우 ##.## 으로 적용하면 결과는 100. 으로 표시됩니다. 소수점을 기준으로 왼쪽은 정수부분이고 오른쪽이 소수 부분인데, 왼쪽은 정수이니까 100은 정수이니 정수 부분은 100이 그대로 표시되고요, 오른쪽에 있는 부분이 소수 자리 나타내는 부분인데 소수 자리에 있는 #은 자릿수를 나타내지 않고 0도 나타내지 않습니다.
만약에 100.00 으로 표시를 할려면 사용자 지정 서식을 00.00 이렇게 입력해야 합니다. 00.00 이 경우 소수 자리에 있는 0이 0을 표시하는 역할도 하지만 자릿수도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므로 00.00 을 적용할 경우 100.00 으로 표시됩니다.
※ 4번 보기 입력데이터 : 12345 표시 형식 : #,### 표시 결과 : 12,345
#,### 이 기호는 천단위 구분 기호 입니다. 3자리마다 콤마 찍어서 나타내는 것이므로 #,### 을 적용하면 결과는 12,345로 표시됩니다.
<문제 해설> Test 값은 0부터 시작해서 순차적으로 1씩 늘어나는 Loop임, 조건(Do Until Test > 10)에 따라 Test의 값이 10 초과되는 순간 Loop는 종료 따라서 Test의 값이 11이 되는 순간 Loop는 종료되고 Test의 값은 11 [해설작성자 : 예찬아 공부하자]
<Do Until 조건> : 조건을 만족할 때 까지 루프 실행
따라서 0>10(만족x)...10>10(만족x) -> 11>10(만족o 루프끝!) 그래서 Test에는 11이 저장된다. [해설작성자 : 상반기합격]
<문제 해설> 4. =IF(MOD(VALUE(MID(C2, 8, 1)), 2)=0, "남", "여") : c2셀의 주민번호 뒷자리 첫번째 숫자를 2로 나눈 나머지 값이 0이면 "여" 0이 아니면 "남"로 표시 -> 1을 2로 나누면 나머지 값이 1이고 이는 "남"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IF(MOD(VALUE(MID(C2, 8, 1)), 2)=1, "남", "여")이 맞다 [해설작성자 : 예찬아 공부하자]
예찬아 공부하자님 설명이 이해 안되시는 분은 그냥 4번에서 =IF(MOD(VALUE(MID(C2, 8, 1)), 2)=0, TRUE, FALSE) 이게 TRUE 일때 "여" FALSE일때 "남" 이 되어야 하므로 =IF(MOD(VALUE(MID(C2, 8, 1)), 2)=0, "여", "남") 으로 만 바꿔주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콜라텍사이다충원창연]
1. OR -> C2셀의 8번째 숫자가 2이나 4면 여, 아니면 남 2. CHOOSE -> C2셀의 8번째 숫자가 1=남, 2=여, 3=남, 4=여 3. VLOOKUP(찾으려는 값,데이터를 추출하는 표, 추출할 열, 정확하려면FALSE,비슷하려면TRUE나 생략) [해설작성자 : 내가 헷갈려서 ㅋㅋ]
3번.VLOOKUP(VALUE(MID(C2, 8, 1)), $F$2:$G$5, 2, 0) VALUE(MID(C2, 8, 1) -> 기준값 $F$2:$G$5: 데이터 범위 2: 추출할 열 번호
-> 데이터 범위의 첫 번째 열(문제에서는 F열)에서 기준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은 후, 기준값이 있는 행과 추출할 열 번호가 만나는 위치의 데이터를 표시함.
EX) 김지수의 성별 정보 찾기 C2의 8번째 숫자가 4, 데이터 범위의 첫 번째 열(F열)에서 4는 5행에 위치함. 추출할 열(범위의 2번째 열 = G열)과 5행이 만나는 곳의 데이터는 '여자'
따라서 김지수의 성별은 여자. [해설작성자 : 도가니도가니]
<<보기 1번>> =IF(OR(MID(C2, 8, 1)="2", MID(C2, 8, 1)="4"), "여", "남") [해석] C2셀에서 8번째 자리의 첫번째 글자가 2 또는 4이면 ‘여’를 출력 하고, 아니면 ‘남’을 출력해라. [결과값] 남
(1) MID(텍스트, 시작 위치, 개수) : 텍스트의 시작 위치부터 지정한 개수만큼 표시(텍스트 함수) (2) OR(인수1, 인수2, ...) :인수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논리 함수) (3) IF(조건, 인수1, 인수2) :조건을 비교하여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실행(논리 함수)
<<보기 2번>> =CHOOSE(VALUE(MID(C2, 8, 1)), "남", "여", "남", "여") [해석] C2셀에서 8번째 자리의 첫번째 문자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한 값이 1이면 ‘남’, 2이면 ‘여’, 3이면 ‘남’, 4이면 ‘여’를 출력해라. [결과값] 남
가) MID(텍스트, 시작 위치, 개수) : 텍스트의 시작 위치부터 지정한 개수만큼 표시(텍스트 함수) *참고 : 숫자 데이터 중간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있으면 문자로 인식된다. => 보기 2번 함수 적용시 반환되는 값 : “1”(문자 데이터는 “1”로 표시 숫자데이터는 그냥 1로 표시) 나) VALUE(텍스트) :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함(텍스트 함수) 다) CHOOSE(인수, 첫 번째, 두 번째, ...) : 인수가 1이면 첫 번째를, 인수가 2이면 두 번째를 입력함(찾기/참조 함수)
<<보기 3번>> =VLOOKUP(VALUE(MID(C2, 8, 1)), $F$2:$G$5, 2, 0) [해석] C2셀에서 8번째 자리의 첫번째 문자데이터를 숫자데이터로 변환해 기준 값으로 삼는다. F2셀부터 G5셀의 첫번째 열에서 기준 값과 정확히 일치하는 데이터(코드 : 1)를 찾아 같은 행의 2번째 열에 있는 데이터(남)를 D2셀에 출력해라. [결과값] 남
(1) MID(텍스트, 시작 위치, 개수) : 텍스트의 시작 위치부터 지정한 개수만큼 표시(텍스트 함수) =>>보기 3번 함수 적용시 반환값 : “1”(문자 데이터) (2) VALUE(텍스트) : 텍스트를 숫자로 변환함(텍스트 함수) =>> 보기 3번 함수 적용시 반환값 : 1(문자 데이터를 숫자 데이터로 변환) (3) VLOOKUP(기준값, 범위, 열 번호, 옵션) : 범위의 첫 번째 열에서 기준값과 같은 데이터를 찾은 후, 기준값이 있는 행에서 지정된 열 번호 위치에 있는 데이터 표시(찾기/참조 함수) =>> 보기 3번 함수 적용시, 기준값 1, 범위 F2:G5, 열번호 2, 옵션 0 =>> 결과값 : 남 *VLOOKUP/HLOOKUP 함수의 옵션 • TRUE(1) 혹은 생략 : 기준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에서 근접한 값을 찾습니다. • FALSE(0) : 기준값과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1) MOD(인수1, 인수2) : 인수1을 인수2로 나눈 나머지(수학/삼각 함수) =>> 보기 4번 함수 적용시 : Mod(1,2)=0 1을 2로 나누었을 때 반환되는 나머지 값은 1이기 때문에 거짓(false) (2) IF(조건, 인수1, 인수2) :조건을 비교하여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실행(논리 함수) *참고: 어떤 수를 2로 나누어서 나머지가 1라는 것은 홀수를 의미하고, 나머지가 0이면 짝수를 의미함. 이 함수에서는 홀수면 “남”을 짝수면 “여”를 반환하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값을 도출할 수 없음. 그래서 [콜라텍사이다충원창연] 님 해설처럼 “남”, “여”를 “여”, “남”으로 수정하면 결과값 “남”을 얻을 수 있음. [해설작성자 : 김찰떡]
1. IF(OR(MID(C2, 8, 1)="2", MID(C2, 8, 1)="4"), "여", "남") C2부터 8번째 첫 글자가 2 or C2부터 8번째 첫 글자가 4 이면 여, 아니면 남
2. CHOOSE(VALUE(MID(C2, 8, 1)), "남", "여", "남", "여") C2부터 8번째 첫 글자가 1:남 2:여 3:남 4:여
3. VLOOKUP(VALUE(MID(C2, 8, 1)), $F$2:$G$5, 2, 0) C2부터 8번째 첫 글자가 F2~G5 차트와 일치하는 값(0:일치)이 있다면 그 행의 2번째 열의 데이터를 출력 1, 2, 3, 4중 하나가 나왔다면 차트에서 일치하는 숫자를 감지한 후 그 숫자의 오른쪽 칸(2번째 열)의 데이터(남or여)를 출력함
4. IF(MOD(VALUE(MID(C2, 8, 1)), 2)=0, "남", "여") C2부터 8번째 첫 글자를 2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남 아니면 여 그러나 남자는 2로 나눈 나머지가 1이므로 틀렸음 [해설작성자 : 8월의 요정]
<문제 해설> ③ 인원수(개수)를 구하는 배열 수식 SUM, SUM(IF, COUNT(IF 이용. → IF함수 사용시 쉼표(,)사용, IF함수 없으면 곱하기(*) 사용 {=SUM(IF(조건,1,0)}, {=SUM(IF(조건,1)}, {=SUM((조건)*1)} 사용 가능 {=SUM((조건)*(조건))} // SUM만 이용시 조건 2개이상일 때 *1 생략가능 {=COUNT(IF(조건, 1))} // COUNT는 반드시 IF가 포함되며, 맨 뒤 0을 쓸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보기1번>> 가) $D$2:$D$9=$A12 ::: A12셀(한국) 값과 D2:D9(국적) 배열 범위 안의 데이터 값을 일일이 비교해서 일치하는 값 찾으면 true, 일치하지 않으면 false. 나) $E$2:$E$9=B$11 ::: 윗줄 해석과 마찬가지 배열 수식에서 true는 1 false는 0. 두 수식을 아스테리스크(*)로 묶었으니 결과값들을 일일이 대조(?)하여 곱하는데, 두 값 중 false가 하나라도 있으면 0. 반환되는 수식은 =sum({0;1;0....;0;0}) 이다. 다 0이고 1은 하나만 나왔기 때문에 결과값은 1이다.
<<보기2번>> IF($E$2:$E$9=B$11, 1) ::: $D$2:$D$9=$A12가 참일 때 $E$2:$E$9=B$11이 1을 저장하도록 한 것. 반환되는 수식은 =sum({false;1;false...;false}). 전부 false이고 하나만 1이 반환되는데, sum 함수는 수치데이터만 더하기 때문에 false는 더하지 않음. 즉, 결과값은 1. [참고] IF(조건, 인수1, 인수2) : 조건을 비교하여 참이면 인수1, 거짓이면 인수2를 실행
<<보기3>> ($D$2:$D$9=$A12) * ($E$2:$E$9=B$11)으로 반환되는 수식은 =count({0;1;0;0;0;0;0;0})인데 통계 함수인 count는 인수 중 숫자가 들어 있는 셀의 개수를 세기 때문에 모든 숫자의 개수를 카운팅 함. 이렇게 할 경우 결과값은 8이라서 오답. 이 수식을 바르게 고치려면 IF문을 써주고, 뒤에 ‘,1’을 붙여줘야 함 {=count(if(($D$2:$D$9=$A12) * ($E$2:$E$9=B$11),1)} 이는 if문을 사용해 두 식을 아스테리스크(*)로 묶으면 수식의 결과값 중 두 식 다 true를 만족하는 경우 1을 저장함. 이 경우에 마지막에 반환되는 수식은 =count({false;1;false;false...;false;false}) count 함수는 수치 데이터만 카운팅 하기 때문에 결과 값은 1. [참고] COUNT(인수1, 인수2, ...) : 인수 중 숫자가 들어 있는 셀의 개수 / COUNTA(인수1, 인수2, ...) : 인수 중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
<배열수식의 활용> (1) 조건이 한 개일 때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개수 구하는 방법 •방법1 : {=SUM( (조건) * 1 )} •방법2 : {=SUM( IF(조건, 1) )} •방법3 : {=COUNT( IF(조건, 1) )} ***조건의 개수에 따라 조건을 지정하는 부분만 아래와 같이 늘어납니다. •방법1 : {=SUM( (조건1) * (조건2) * 1 )} •방법2 : {=SUM( IF(조건1, IF(조건2, 1 ) ) )} •방법3 : {=COUNT( IF(조건1, IF(조건2, 1) ) )} (2) 조건이 한 개일 때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합계 구하는 방법 •방법1 : {=SUM( (조건) * (합계를_구할_범위) )} •방법2 : {=SUM( IF(조건, 합계를_구할_범위) )} (3) 조건이 한 개일 때 배열 수식을 이용하여 평균 구하는 방법 •방법 : {=AVERAGE( IF(조건, 평균을_구할_범위) )} [해설작성자 : 김찰떡]
[행/열 전환]을 클릭하여 가로 (항목) 축의 데이터 계열과 범례 항목(계열)을 바꿀 수 있다.
3.
범례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계열의 순서를 바꿀 수 없다.
4.
데이터 범위 내에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도 차트에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 차트선택-디자인-데이터선택에서 데이터 순서 바꿀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가해설을작성하다니]
③ 범례에서 표시되는 데이터 계열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 참고 정리> ④ 일반적으로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는 차트에 표시되지 않지만 [데이터 선택] 대화 상자의 ‘숨겨진 셀/빈 셀’을 이용하여 숨겨진 행, 열의 데이터도 차트에 표시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기본적으로 차트 생성시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근데....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데이터 원본 선택 - 숨겨진셀/빈셀 에서 설정하면 숨겨진 셀도 표시 가능합니다.
결론은 기본적으로 차트 만들면 숨겨진 행이나 열은 반영이 안되지만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조작하면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도 표시가 가능합니다.
이점 잘 이해하시고 문제 푸시면 다른 유사 문제와 헷깔리지 않고 문제 푸실수 있을껍니다.
유사문제 최종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데이터 범위 내에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는 차트에 표시되지 않습니다.(기본적으로는 맞는말) 2. 데이터 범위 내에 숨겨진 행이나 열의 데이터도 차트에 표시 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원본 선택 - 숨겨진셀/빈셀 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3. 차트에 적용된 원본 데이터의 행이나 열을 숨기면 차트에 자동으로 반영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좋은아빠되기]
다음 중 아래 데이터를 차트로 작성하여 사원별로 각 분기의 실적을 비교·분석하려는 경우 가장 비효율적인 차트는?
1.
누적 세로 막대형 차트
2.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
3.
원형 대 가로 막대형
4.
묶은 가로 막대형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누적 세로 막대형 차트 : 각 항목 간의 값을 막대의 길이로 비교 분석하는 막대형그래프에 자료가 누적되서 한막대로 보임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 차트 :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 변화 추세를 확인하는 꺽은선 그래프의 자료 값마다 점이나 표식이 되서 보임 원형 대 가로 막대형 :원형그래프와 가로막대형 그래프가 같이있음 묶은 가로 막대형 : X 축은 수직 , Y축은 수평인 막대형 그래프가 서로 붙어있음
[추가 해설] 해당 데이터는 서로 비교해야 되기때문에 원형이나 하나의 막대형 그래프같은 추세를 파악 할수 없는 그래프는 비효율적이다 [해설작성자 : 얌얌이]
③ ‘원형 대 가로 막대형’는 원형 차트의 한 종류이며, 원형은 1개의 계열만을 표시하므로 분기별 실적(1분기~4분기 4개의 계열)을 비교 표시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다음 중 데이터 보안 및 회복, 무결성,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1.
데이터 제어어(DCL)
2.
데이터 부속어(DSL)
3.
데이터 정의어(DDL)
4.
데이터 조작어(DML)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 언어(DBL) 1. 데이터 제어어(DCL): 불법적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 -> 데이터 보안, 데이터의 정확성을 위한 무결성 유지, 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데이터 회복, 병행 제어 등을 하기 위한 언어로 주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 의해 사용됨
2. 데이터 부속어(DSL): 뭔지 모르겠어요.. 누가 설명 좀 헤헤 3.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or 응용 프로그래머가 데이터베이스 구조, 데이터 형식, 접근 방식 설정 등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수정 4. 데이터 조작어(DML):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 사용자(응용 프로그램)와 DBMS 간의 인터페이스(의사소통)를 제공 [해설작성자 : 민경]
데이터 보안 무결성 데이터 회복 병행수행제어등을 정의 하는데 사용되는 언어//관리목적- 데이터 베이스 제어어(DCL) 호스트 프로그램속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조작어 (명령어) -데이터부속어(DSL)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 데이터 정의어(DDL)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 조작어(DML) [해설작성자 : 얌얌이]
1, 데이터 정의어(DDL)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가 설계자가 사용 -데이터 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정의 가능 - CREATE, ALTER, DROP
2. 데이터조작어(DML)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여기서 데이터 처리는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경 등을 의미 -사용자와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절차적 조작언어와 비절차적 조작 언어로 분류 -SELECT, UPDATE, INSERT, DELETE
3.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 보안, 무결성, 데이터 회복, 병행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 -COMMIT,ROLLBACK,GRANT,REVOKE [해설작성자 : 히]
[레이아웃 보기]는 출력될 보고서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며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4.
[인쇄 미리 보기]에서는 종이에 출력되는 모양을 표시 하며 인쇄를 위한 페이지 설정이 용이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보고서 보기는 출력될 보고서를 미리보는 기능으로, 인쇄 미리 보기와 비슷하지만 페이지 구분없이 보고서를 모두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KHY]
① “보고서 보기” 와 “레이아웃 보기”는 페이지 구분없이 한 화면에 표시하고, ‘인쇄 미리 보기’는 페이지 구분하여 표시한다. <※ 참고 정리> - “레이아웃 보기” :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보고서 표시, 실제 보고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열 너비 조정 및 정렬, 그룹 수준 및 합계 추가, (열)삭제, 필터, 정렬, 속성 설정 가능하지만 데이터 변경은 불가(16/03/05) ※ 보고서는 4가지 형태 모두 데이터 변경 불가 - “보고서 보기” : 페이지 구분 없이 한 화면에 보고서를 표시, 작성된 이벤트 프로시저 확인 가능(19/03/02) - “인쇄 미리 보기” : 페이지 구분하여 표시, 페이지 설정, 내보내기 가능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보고서보기] : 출력될 보고서 미리보는 기능으로 화면 출력용이다, 인쇄 미리 보기와 비슷하지만 페이지 구분 없이 보고서를 모두 표시한다. [레이아웃 보기] : 보고서보기와 디자인보기를 혼합한 형태, 보고서로 출력될 실제 데이터와 보고서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기능으로, 데이터 보면서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 그룹수준 및 합계를 번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디자인보기] : 컨트롤 도구 이용해 보고서 만들거나 수정가능한 형태, 실제 데이터는 표시되지 않는다 [인쇄 미리보기] : 종이에 출력되는 모양전체를 미리볼 수 있고 페이지 구분을 한다. 보고서에 표시될 정확한 데이터 확인하려면 인쇄미리보기 기능이용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0922]
다음 중 아래 SQL문으로 생성된 테이블에서의 레코드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고객과 계좌 간의 관계는 1:M이다.)
1.
<고객> 테이블에서 '고객ID' 필드는 동일한 값을 입력할 수 없다.
2.
<계좌> 테이블에서 '계좌번호' 필드는 반드시 입력해야 한다.
3.
<고객> 테이블에서 '연락번호' 필드는 원하는 값으로 수정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4.
<계좌> 테이블에서 '고객ID' 필드는 동일한 값을 입력할 수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RIMARY KEY(기본키)는 널값,중복값을 가질 수 없음 그러나 필드의 값은 변경 가능.또한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 값임. FOREIGN KEY(외래키)는 한 테이블의 속성이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와 일치하거나, 널값인 키로 하나 이상의 테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하지 중복값 허용. [해설작성자 : 귤이엄마]
<고객> 테이블에서는 '고객ID' 필드가 PRIMARY KEY(기본키)로 설정되어 있어 동일한 값을 입력할 수 없지만, <계좌> 테이블에서는 '고객ID'가 FOREIGN KEY(외래키)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값을 중복하여 입력할 수 있다.
단순 암기가 아닌 논리적 접근법: 문제 단서에서 '고객과 계좌 간의 관계는 1:M'이라고 했으므로, 한 고객 당 여러 개(M)의 계좌를 소유할 수 있는 일대다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계좌번호'들 입장에서 보면 연결되는 고객은 동일한 사람이기 때문에, 정보가 중복되어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Kimi0'이라는 고객ID를 사용하는 '김미영'이라는 고객이 계좌번호를 3개 소유한 경우, 각각의 계좌번호 입장에서는 대응하는 고객ID 정보로 아래와 같이 'Kimi0'을 3번 입력해야 할 것이다.
<문제 해설> L : 입력 필수로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 A : 입력 필수로 영문자, 숫자, 한글만 입력 가능. 0 : 입력 필수로 0~9까지의 숫자만 입력 가능 (더하기, 빼기 기호 사용 불가) 9 : 입력 선택으로 숫자나 공백 입력이 가능하지만, 공백은 저장이 안 됨.(더하기, 빼기 기호 사용 불가) ? : 선택으로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
3번의 경우는 존재하지도 않는 고객이 구매 했다는 말이 되므로 오답임 [해설작성자 : 파이리]
참조무결성 유지 1. 기본키 값이 외래키 안에 없는 경우 2. 기본키 값과 외래키 값이 동일한 경우 3. 기본키 값이 외래키에 1개만 존재하는 경우 4. 기본키 값이 외래키에 2개 이상인 경우 5. 기본키에 외래키에 없는 새값을 INSERT문으로 추가하는 경우
참조무결성 위배 1. 외래키 값이 기본키 안에 없는 경우 (예 : INSERT문으로 외래키안에 기본키에 없는 새값을 추가한 경우) 2. 기본키에 이미 있는 중복의 값을 추가한 경우 3. 기본키 값이 공백인 경우 4. 기본키에서 외래키 값과 일치하는 기본키의 값을 삭제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짱이 아줌마]
다음 중 위쪽 구역에 데이터시트를 표시하는 열 형식의 폼을 만들고, 아래쪽 구역에 선택한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시트 형식의 폼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도구는?
1.
폼
2.
폼 분할
3.
여러 항목
4.
폼 디자인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폼 분할 :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단에는 열 형식으로, 하단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2개의 폼이 한 화면에 작성됨. 폼을 만들면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보기 형태로 표시되므로 컨트롤의 크기 조정 및 이동, 필드 추가가 가능함. -폼 : 열 형식의 폼이 작성되며, 관계가 설정된 테이블이 있을 경우 하단에 데이터시트 보기 형태로 표시됨. -여러 항목 : 테이블 형식의 폼이 작성됨. [해설작성자 : 은박지]
내부 조인은 조인되는 두 테이블에서 조인하는 필드가 일치하는 행만을 반환하려는 경우에 사용한다.
3.
외부 조인은 조인되는 두 테이블에서 공통 값이 없는 데이터를 포함할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4.
조인에 사용되는 기준 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다르거나 호환되지 않아도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조인의 정의 및 특징 : 조인 이란 '2개 이상의 테이블'에 나누어져 저장된 정보를 1개의 테이블처럼 사용하려고 연결방법을 정의하는 것. 조인에 사용되는 기준필드의 데이터 형식은 '동일'하거나 '호환'되어야 한다 하여 4번이 옳지않다 [해설작성자 : 예림공주]
다음 중 폼 바닥글의 텍스트 상자의 컨트롤 원본으로 <사원> 테이블에서 직급이 '부장'인 레코드들의 급여 평균을 구하는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DAVG(“[급여]”, “[사원]”, “[직급]='부장'”)
2.
=DAVG(“[사원]”, “[급여]”, “[직급]='부장'”)
3.
=AVG(“[급여]”, “[사원]”, “[직급]='부장'”)
4.
=AVG(“[사원]”, “[급여]”, “[직급]='부장'”)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간단하게 생각해서 앞에 D가 붙은 함수들은 조건이 필수인 함수들입니다. 문제에서 직급 = 부장이라는 조건을 걸어놓았기 때문에 DAVG가 맞습니다. 그리고 편하게 D함수("필드", "테이블" , "조건") 이렇게 외우시면 이런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을겁니다. [해설작성자 : 이종원]
매크로 함수 또는 매크로 함수 집합으로 구성되며, 각 매크로 함수의 수행 방식을 제어하는 인수를 추가할 수 있다.
3.
매크로를 이용하여 폼을 열고 닫거나 메시지 박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4.
매크로는 주로 컨트롤의 이벤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며, 폼 개체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매크로란 반복적인 작업을 하나의 명령어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기능. 즉 간편함을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다. 그렇기에 1번 문항은 옳은것임. 2번: 작업을 자동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매크로 함수나 매크로 함수집합을 의미한다. 3번: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등 액세스 각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게끔 하는것. [해설작성자 : 예림공주님]
4번 : 폼 개체 뿐만 아니라 보고서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 는에]
4번 : ‘매크로는 주로 컨트롤의 이벤트에 연결하여 사용’ 이 부분은 맞는 설명 폼 개체 내에서만 사용 X. 매크로는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개체에서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 [해설작성자 : 해피야타랑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