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멀티미디어의 특징 - 다양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함 - 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일방적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의견을 통한 상호작용에 의해 데이터가 전달됨 -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됨 -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여러 미디어를 통합 처리함 [해설작성자 : 컴활2급따고 취업고고]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데이터가 전달,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의 여러 미디어를 통합 처리의 특징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멀티미디어(Multi Media : 다중 매체] Multi(다중)와 Media(매체)의 합성어로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등 등의 매체를 디지털로 통합하여 전달하는 것입니다. 특징으로는 대표적으로 디지털화, 쌍방향성, 비선형성, 통합성 4가지가 있습니다. 디지털화 : 다양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합니다. 쌍방향성 : 정보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정보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의견을 통한 상호 작용에 의해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습니다. 비선형성 :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통합성 :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등 여러 미디어를 통합하여 처리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오디오 포맷인 웨이브 파일(WAV file)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일의 확장자는 'WAV' 이다.
2.
녹음 조건에 따라 파일의 크기가 가변적이다.
3.
Windows Media Player로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4.
음높이, 음길이, 세기 등 다양한 음악 기호가 정의되어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WAVE(웨이브) -직접 재생이 가능 -자연음향, 사람음성 표현 가능 -음질이 뛰어나지만 파일의 용량이 크다. -Windows Media Player로 파일 재생 가능 -확장자: *.WAV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번은 MIDI(연주를 위한 악보 데이터) 파일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열혈깡통]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WAVE(WAVeform audio format : WAV)] 아날로그 형태의 소리를 디지털 형태로 변형하는 샘플링 과정을 통하여 작성된 데이털 MS와 IBM사가 개발하였습니다. 낮은 레벨의 모노부터 CD 수준의 스테레오까지 다양한 수준의 소리를 저장할수 있으며 실제 소리가 저장되어 재생은 쉽지만 용량이 큰 단점이 있습니다. 사람의 음성이나 각종 효과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파일의 크기 계산은 샘플링 주기 * 샘플링 크기 * 시간 * 재생 방식(Mono : 1 , Stereo : 2)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문제 해설> 1. 역기능 : 정보의 "편중"으로 계층간의 정보차이가 "늘어"납니다. 순기능 : 정보의 "보편화"로 계층간의 정보차이가 "줄어"듭니다.
따라서 1번이 틀린 이유는 편중이라 하였으나 정보의 차이를 줄인다고 하여서 틀린보기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앞쪽은 역기능(편중), 뒤쪽은 순기능(정보차이 줄임)을 이야기 하고 있어서 틀린겁니다.
다만 순기능이 많을지 역기능이 많을지는 각각의 사회적인 여건에 따라서 다를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순기능과 역기능이 동시에 나타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VDT 증후군 : VDT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은 컴퓨터 모니터 등 VDT를 보면서 장시간 작업을 하고 난 뒤에 발생하는 안 증상과 근골격계 증상, 피부 증상, 정신신경계 증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테크노스트레스 : 테크노스트레스(Technostress)는 컴퓨터가 발달하고 산업이 그에 맞춰감에 따라 컴퓨터 관련된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받는 스트레스로, 컴퓨터와 관련된 질환 중 최근에 가장 주목받는 질환이다. 컴퓨터 관련 산업의 높은 이직률, 컴퓨터 도입으로 일어난 조기퇴출, 술과 약의 남용 등이 테크노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컴퓨터에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는 직원이 다른 업종의 직원에 비해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 해설> 3번과 4번은 바꾸다 또는 변조라는 단어로 보면 같은 내용입니다. 하지만 변조라는게.. 전송되는 데이터를 변조 하는 것인지 발신자 정보를 변조 즉 위조하는것인지에 따라서 전혀 다른 내용이 될수 있습니다. 문제에서는 데이터 보안 침해라 하였으므로 전송된 데이터를 바꾸었다고 보시는것이 맞습니다.
[추가 해설] 보안 위협의 구체적인 형태인 일부분인 스푸핑이며, 눈속임에서 파생된 것으로,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 처럼 발신자를 변조(위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칩입 형태
주기억장치의 크기보다 큰 용량을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3.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킨다.
4.
두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시저장 공간으로 각 장치 내에 위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관리자 입니다. 본 문제 3번 보기는 시험 시행처에서 문제 출제 오류로 공개한 문제 원본에는 주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라고 문제가 표기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 출제 의도를 파악해보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라고 바꾸는것이 맞아서 바꾸어 놨습니다. 아마도 캐시에 관한 내용을 넣으려고 했던것 같습니다. 따라서 수정된 사항으로 볼때 3번에 캐시에 관한 설명입니다. 이점 참고하시어 문제 푸시기 바랍니다.
1번의 내용은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2번의 내용은 가상메모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답은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줌모에여]
캐시 메모리: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컴퓨터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킨다. 버퍼 메모리:두 장치간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속도 차이 해결을 위해 데이터를 임시저장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보조기억장치(주로 HDD를 사용)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메모리 기법으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을 불러와 사용할시 유용합니다. 가상 메모리를 사용시 주기억장치보다 큰 프로그램 실행은 가능하지만 보조기억장치를 사용하는 만큼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가상 메모리의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페이징 기법과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인터넷 기술과 통신 규약을 기업 내의 전자우편, 전자결재 등과 같은 정보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3.
납품업체나 고객업체 등 관련 있는 기업들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시스템이다.
4.
분야별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인터넷의 기술을 응용하는 기업 내 전용 컴퓨터 네트워크로 기업의 각종 정보를 표준화하여 서버를 통해서 공유하는 기업 내의 인터넷. 인터넷의 표준 통신 규약인 TCP/IP를 기반으로 인터넷과 동일한 검색 프로그램(브라우저), 통신 장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버를 통해서 전자 우편, 업무 협의, 전자 결재, 상품 개발 정보 교환 등을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번호(ID)와 비밀 번호(password)가 있어야 접속이 가능하고 불법적인 외부 침입에 의한 기업 내부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을 제한하는 진입 차단 시스템(firewall)이 설치된다. [해설작성자 : Song of Songs]
1번 블루투스(Bluetooth) 2번 인트라넷(Intranet) 3번 엑스트라넷(Extranet) 4번 유즈넷(Usenet) [해설작성자 : 행복한 동글이]
<문제 해설> 2. 전자우편은 7비트인 ASCII코드를 사용합니다. ASCII코드는 2에7승 128비트이고,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합니다. 3개의 존비트와 4개의 디지트 비트로 구성됩니다. [해설작성자 : 줌모에여]
ASCII코드:7비트로 구성,미국 표준 코드,128비트,영문자만을 표현,주로 정보통신용으로 사용 EBCDIC코드:8비트로 구성,256비트,대형기종컴퓨터용으로 사용 유니코드:국제 표준 코드,한글,한자,영어,숫자,특수문자,공백 등 모든것이 2바이트로 표현 [해설작성자 : 나비뽀뱃따우~]
<문제 해설> 자료는 생활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문자나 그림, 숫자 등의 값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모아서 의미 있는 이용 가능한 형태로 바꾸면 정보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보화란 정보가 사회의 전 분야에 널리 확산되는 것을 말합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중입니다]
데이터(Data) = 현실에서 관찰하거나 측정하여 수집한 값이나 사실에 대하여 가공되지 않은 자료 정보(Information) =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한 결과물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IoT는 인터넷 기반으로 다양한 사물, 사람, 공간을 긴밀하게 연결하고 상황을 분석, 예측, 판단해서 지능화된 서비스를 자율 제공하는 제반 인프라 및 융복합 기술이다.
3.
현재는 사물을 단순히 연결시켜 주는 단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해 스스로 사물에 의사결정을 내리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
4.
IoT 네트워크를 이용할 경우 통신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정보보안기술의 적용이 용이해진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IoT 네트워크구성 비용이 추가되어 통신비가 상승하며, 각 기기간 보안문제가 더욱 커진다
[추가 해설] IoT(사물 인터넷)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만들어진 차세대 기술이니까 기술적인 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존 인터넷 네트워크보다 다르게 통신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통신비용이 비싸다는 건 결과로 그만큼 통신비용이 증가된다는 단점이 있겠죠? [해설작성자 : 키리가야]
IoT 네트워크를 이용할경우 모든 네트워크들이 그러하듯이 보안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하므로 정보보안기술의 적용이 용이해 진다기 보다는 정보보안기술을 적절히 적용하여 보안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가 맞는 표현이겠네요.
<문제 해설> 1.정상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정상적으로 돈을 내고 지불한 소프트웨어는 상용소프트웨어 입니다. 2.특정 기능이나 사용기간에 제한을 두고 무료로 배포하는 소프트 웨어이다. -기능, 사용기능에 제한을 두고 제한이 다 지나면 돈주고 지불하는것, 셰어웨어입니다. 3.개발자가 소스를 공개한 소프트웨어이다. -개발자가 공개한 소프트웨어는 공개소프트웨어입니다. 대표적인 예는 리눅스가 있습니다. 4.배포 이전의 테스트 버전의 소프트웨어이다.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는 베타버전, 알파버전 두가지가 있습니다 베타버전은 일반인한테 테스트를 하는것이고, 알파버전은 제작한 회사 내에서 회사원에게 테스트를 하는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줌모에여]
다음 중 모니터 화면의 이미지를 얼마나 세밀하게 표시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로 픽셀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1.
재생률(refresh rate)
2.
해상도(resolution)
3.
색깊이(color depth)
4.
색공간(color space)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픽셀은 화면을 구성하는 단위 입니다. 예를 들어서 1023x756 화면이라 했을때 가로 픽셀수가 1023개, 세로의 픽셀수가 756개 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픽셀이 많을수록 선명해집니다. 픽셀단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은 해상도 입니다. [해설작성자 : 줌모에여]
[픽셀(Pixel : 화소)] 화면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도트(Dot)’랑 같은 의미라고 이해하셔도 됩니다. 픽셀 수가 많을수록 보다 세밀하게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으며 해상도가 높아집니다. ※해상도 : 가로 픽셀 수 * 세로 픽셀 수
[화면 주사율(Refresh rate : 화면 재생 빈도)] 모니터의 깜빡임(화면 갱신 빈도)으로 Hz단위를 사용하며 수직 주파수입니다. 주사율이 낮을수록 눈의 피로도가 높아지며 보통의 모니터는 60hz입니다.
[색 깊이(Color Depth)] 이미지나 디스플레이에서 각 픽셀이 표현할 수 있는 색상의 수를 말하며 bit로 표현합니다. bit의 숫자가 클수록 보다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며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 파일인 jpg, png의 경우 트루컬러(24bit)색상을 주로 사용합니다.
[색 공간(Color Space)] 색상을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체계로 다양한 색성을 정의하고 나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RGB(Red, Green, Blue)와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 등이 있습니다. 각각 다른 목적과 기기에서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다음 중 Windows 운영체제에서 시스템의 속도가 느려진 경우 문제 해결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장치 관리자] 창에서 중복 설치된 해당 장치를 제거한다.
2.
드라이브 조각 모음 및 최적화를 수행하여 하드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한다.
3.
[작업 관리자] 창에서 시스템의 속도를 저해하는 Windows 프로세스를 찾아 '작업 끝내기'를 실행한다.
4.
[시스템 관리자] 창에서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을 재설정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wmm, 시스템의 속도가 느려졌을 경우=드라이브 조각모음 용량부족=디스크 정리 뭔가 문제가 있다!=디스크 검사!! [해설작성자 : 노란반숙이 ]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이 문제의 답은 3번도 맞다고 봅니다. 2번도 틀린답은 아니나 갑자기 리소스를 많이 잡아먹거나 cpu 처리량이 큰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운영체제가 느려진 경우 3번의 "[작업 관리자] 창에서 시스템의 속도를 저해하는 Windows 프로세스를 찾아 '작업 끝내기'를 실행한다."가 더 합리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지선]
[관리자 입니다. 위 오류 신고 내용은 틀렸습니다. 3번이 결정적으로 틀린이유는 "Windows 프로세스"를 찾아서 작업 끝내기를 한다는 겁니다. Windows 프로세스는 함부로 종료하거나 하면 시스템이 멈추거나 상황을 더 악화 시킵니다. Windows 프로세스가 아니라 프로세스 즉, 일반 프로세스라면 옳다고 볼수도 있을껍니다. 말장난이지만 정확하게 문제를 보셔야 하겠으며 확정답안은 2번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참고하세요.]
다음 중 Windows의 방화벽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통신을 허용할 프로그램 및 기능을 설정한다.
2.
네트워크 및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문제 해결 방법을 제공한다.
3.
바이러스의 감염을 인지하는 알림을 설정한다.
4.
네트워크 위치에 따른 외부 연결의 차단 여부를 설정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방화벽:다른 컴퓨터에서 사용자 컴퓨터로 들어오는 정보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사용자의 컴퓨터를 무단으로 접근하려는 사람이나 바이러스 및 윔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방어막을 제공함
방화벽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제한하는 기능만 있지, 내부에 있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함! [해설작성자 : 컴활따고 취업ㄱㄱ]
바이러스의 감염을 인지하는 알림을 설정 할 수 있는 수행하는 백신으로는 Windows Defender가 있다(방화벽 기능 아님) [해설작성자 : 킹버풀]
[Windows Defender] Microsoft에서 제공하는 무료 바이러스 및 스파이웨어 방지 프로그램입니다. 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가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PC에 액세스하는 것을 실시간 보호 기능을 통해 탐지하고 제거하며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방화벽(Fire wall)] 네트워크에 대하여 외부의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 장치입니다. 내부로 들어오는 패킷은 인증된 안전한 패킷만 통과시키며 역추적 기능으로 외부 침입자의 흔적을 역추적 할 수 있습니다.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불법적인 해킹은 막지 못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다음 중 Windows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관리자 계정의 사용자는 다른 계정의 컴퓨터 사용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2.
관리자 계정의 사용자는 다른 계정의 계정 유형과 계정 이름,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3.
표준 계정의 사용자는 컴퓨터 보안에 영향을 주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4.
표준 계정의 사용자는 컴퓨터에 설치된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의 계정에 대한 암호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표준 계정을 사용하면 설정하거나 변경하기가 안됩니다. 관리자 계정에서 할 수 있어요! 관리자>표준계정 이런 관계! 해설작성자 : 노란반숙이 ]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PC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든 설정을 변경하고 PC에 저장된 모든 파일 및 프로그램(앱)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나 이 pc의 보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Ctrl + Shift :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 파일 만들어짐 (해당 파일 바로가기 만들기)
같은 파일이지만 바탕화면에 보이는 아이콘 파일에다가 마우스 포인터를 두고 바탕화면 아무 곳이나 Ctrl+Shift를 잡고 끌어다놓으면 해당 파일의 이름은 같지만 , 이름에 (숫자[차례대로]) 형식으로 아이콘이 복사가 됨. [해설작성자 : 키리가야]
2.해당 파일 복사 <ctrl>+옮길 위치에 드래그(다른 드라이버로 파일을 옮길 시에는<ctrl>키를 누르지 않고 옮겨도 자동으로 복사됨) 3.해당 파일 이동 파일 선택 후 옮길 위치에 드래그 혹은 다른 드라이브로 이동시 <Shift>+옮길 위치에 드래그 4.해당 파일 영구 삭제 <Shift>+휴지통으로 끌어다 놓기 혹은 <Shift>+<del>를 누르면 확인 창이 뜬 다음 영구 삭제가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긴가민가]
[초간단 정리] 같은 드라이브: 복사(Ctrl+드래그)/ 이동(그냥 드래그만) 다른 드라이브: 복사(Ctrl+드래그 or 그냥 드래그만)/ 이동(Shift+드래그) [해설작성자 : 합격껌이지]
시나리오의 값을 변경하면 해당 변경 내용이 기존 요약 보고서에 자동으로 다시 계산되어 표시된다.
4.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실행하기 전에 변경 셀과 결과셀에 대해 이름을 정의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시나리오의 값 변경시 그에 따른 시나리오 요약 보고서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컴활 2급 땁시다 여러분]
[시나리오] 다양한 상황과 변수에 따른 여러 가지 결과값의 변화를 가상항의 상황을 통해 예츨 분석하는 도구로 서로 다른 시나리오를 만들어 변화하는 결과값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최대 32개의 변경 셀을 지정할 수 있으며 결과는 요약 보고서나 피벗 테이블 보고서로 작성됩니다.(‘별도의 파일’로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작성된 내용에서 ‘현재 값’은 시나리오가 아니며 결과를 현재 시트 앞에 별도의 시트로 작성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데이터 통합은 위치를 기준으로 통합할 수도 있고, 영역의 이름을 정의하여 통합할 수도 있다.
2.
'원본 데이터에 연결' 기능은 통합할 데이터가 있는 워크시트와 통합 결과가 작성될 워크시트가 같은 통합 문서에 있는 경우에만 적용할 수 있다.
3.
다른 원본 영역의 레이블과 일치하지 않는 레이블이 있는 경우에 통합하면 별도의 행이나 열이 만들어진다.
4.
여러 시트에 있는 데이터나 다른 통합 문서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원본 데이터에 연결 옵션은 참조한 원본 데이터가 변경되면 자동으로 통합 기능을 이용하여 구한 계산 결과가 변경되게 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옵션입니다. 단, 통합할 데이터가 있는 워크시트와 통합 결과가 작성될 워크시트가 같은 통합 문서에 있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데이터 통합]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표로 통합, 요약하는 도구입니다. 위치나 영역의 이름으로 통합할 수 있으며 일치하지 않은 레이블이 있는 경우 별도의 행이나 열이 만들어 집니다. 여러 시트의 데이터나 다른 통합 문서에 입력되어 있는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워크시트, 통합문서 참조] 다른 워크시트 참조 : 시트 이름과 셀 주소 사이를 ( ! ) 느낌표로 구분하며 시트 이름에 한글, 영문 이외의 다른 문자가 있다면 ( ‘ ’ ) 작은 따옴표로 묶어줍니다. 다른 통합문서 참조 : 통합 문서의 이름을 ( [ ] ) 대괄호로 묶어서 표기하며 경로명을 ( ‘ ’ )작은 따옴표로 묶어 줍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문제 해설> '데이터 아래에 요약표시'가 체크되어 있으므로 결과는 각 그룹의 아래쪽에 표시됩니다. [해설작성자 : 미미미용실]
- 부분합은 실행을 하기 전에 정렬을 반드시 먼저 해야합니다. 부분합 대화상자 그림 기준으로 하면 직급 항목으로 정렬이 먼저 되어 있어야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부분합 대화상자를 보면 그룹화할 항목이 직급이며 (직급으로 정렬한 상태) 사용할 함수는 합계이며 부분합 계산 항목은 급여에만 체크되어 있습니다. 즉, 직급별로 급여 항목에 대한 합계가 표시됩니다.
- 인쇄 시에는 직급별로 다른 페이지에 인쇄가 됩니다.
- 부분합을 실행을 하면 계산 결과는 그룹별로 각 그룹의 아래쪽에 표시됩니다. 데이터 아래에 요약 표시 옵션이 설정이 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아래에 계산 결과가 표시됩니다. 데이터 아래에 요약 표시 는 부분합 대화상자에서 기본값으로 체크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음 중 날짜 데이터를 자동 채우기 옵션() 단추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채운 경우, 채울 수 있는 값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평일로만 일 단위 증가되는 날짜를 채울 수 있다.
2.
주 단위로 증가되는 날짜를 채울 수 있다.
3.
월 단위로 증가되는 날짜를 채울 수 있다.
4.
연 단위로 증가되는 날짜를 채울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날짜 데이터의 경우 채우기 핸들을 할 때 채우기 핸들 옵션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채우기 핸들을 했을 때 삼각형 단추를 클릭을 하면은 여러 메뉴들이 나오는데요. 날짜 같은 경우 일 단위 채우기, 평일 단위 채우기, 월 단위 채우기, 연 단위 채우기 가 있습니다. 일 단위로 채울 수 있고 평일 단위로 채울 수 있고 월 단위로 채울 수 있고 연 단위로 채울 수 있습니다. 주 단위로 증가되는 날짜를 채울 수 있는 기능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음 중 시트 보호와 통합 문서 보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시험 출제당시 엑셀 2010 기준으로 출제된 문제입니다. 버전별로 상이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시트 보호에서 '잠긴 셀 선택'을 허용하지 않으려면 시트 보호 설정 전 [셀 서식] 대화상자의 [보호] 탭에 '숨김' 항목이 선택되어 있어야 한다.
2.
시트 보호 시 시트 보호 해제 암호를 지정할 수 있으며, 암호를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사용자가 시트의 보호를 해제하고 보호된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3.
통합 문서 보호는 시트의 삽입, 삭제, 이동, 숨기기, 이름 바꾸기 등의 작업을 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것이다.
4.
통합 문서 보호에서 보호할 대상으로 창을 선택하면 통합 문서의 창을 옮기거나 크기 조정, 닫기 등을 할수 없도록 보호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시트 보호에서 '잠긴 셀 선택'을 허용하지 않으려면 시트 보호 설정 전 [셀 서식] 대화상자의 [보호] 탭에 '잠금' 항목이 체크가 해제되어 있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잠금 항목이 체크가 되어 있는데 잠금 항목 체크되어 있는걸 눌러서 해제를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① ‘잠긴 셀 선택’을 허용하지 않으려면 [시트 보호] 대화 상자에서 ‘잠긴 셀 선택’을 체크 해제한다. ※ ‘시트보호’ 설정전 [셀 서식]-[보호] 탭에서 ‘잠금’ 항목이 체크되어 있어야 하지만 기본값이라 별도 설정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인강]
*버전 별 차이점 주의사항* 문제 출시 당시에는 엑셀 2010 기준으로 출제된 문제입니다. 2013 버전부터 4번 보기의 "창"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참고하세요. [해설작성자 : 관리부장]
기존의 매크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면 기존의 매크로를 새로 기록하려는 매크로로 바꿀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3.
매크로 이름의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로 지정해야 한다.
4.
매크로 이름에 사용되는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 매크로 이름 지정할 시 매크로 이름에 사용이 되는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또한 매크로 이름 입력을 할 때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로 입력이 되어야 하고 나머지는 문자, 숫자 밑줄 등을 사용해서 입력할 수 있습니다. 단, 공백은 입력할 수 없으며 ?, /,-, #,@,$,%,& 등의 기호 문자도 입력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에서 '직무'가 90 이상이거나, '국사'와 '상식'이 모두 80 이상이면 '평가'에 “통과”를 표시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백을 표시하는 [E2] 셀의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IF(AND(B2>=90, OR(C2>=80, D2>=80)), “통과”, “”)
2.
=IF(OR(AND(B2>=90, C2>=80), D2>=80)), “통과”, “”)
3.
=IF(OR(B2>=90, AND(C2>=80, D2>=80)), “통과”, “”)
4.
=IF(AND(OR(B2>=90, C2>=80), D2>=80)), “통과”, “”)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IF, AND, OR 3개의 함수를 조합을 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IF 함수는 조건에 맞으면 참 그렇지 않으면 거짓을 반환합니다. AND 함수는 모든 조건이 다 참(TRUE)이어야 실행하며 OR 함수는 여러 조건들 중 하나라도 참(TRUE)이면 실행합니다.
※ 함수 형태 =IF(조건, 참, 거짓) =AND(조건1, 조건2, ...) =OR(조건1, 조건2, ...)
직무가 90 이상이거나 국사와 상식이 모두 80 이상이다 라고 했는데 국사와 상식은 AND 조건으로 연결을 해서 써야 합니다.
=AND(C2>=80,D2>=80)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OR 함수 조건하고 같이 중첩해서 사용하게 되면 =OR(B2>=90,AND(C2>=80,D2>=80))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OR, AND 2개를 중첩하여 사용한 수식이 IF함수 인수에서 조건에 들어갑니다. IF 함수를 써서 수식을 완성하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IF(OR(B2>=90,AND(C2>=80,D2>=80)),"통과","")
조건 : OR(B2>=90,AND(C2>=80,D2>=80)) 참 : 통과 거짓 : "" (공백)
따라서 정답은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IF 함수] 지정한 조건이 TRUE일 때와 FALSE일 때 각각 다른 값을 반환합니다. IF를 사용하여 값이나 수식에 대한 조건부 검사를 수행합니다. IF(logical_test,[value_if_true],[value_if_false]) logical_test : 조건의 True(참)와 False(거짓)를 확인합니다. value_if_true : logical_test가 True인 경우 반환 되는 값입니다.(생략시 0으로 출력) value_if_false : logical_test가 False인 경우 반환 되는 값입니다.(생략시 0으로 출력)
[AND 함수] 인수가 모두 TRUE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 구조 : AND(logical1, logical2, ...) logical1 : logical1, logical2, ...는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지는 조건으로 1개에서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논리값, 배열, 참조가 될 수 있습니다.
[OR 함수] 하나 이상의 인수가 TRUE이면 TRUE를 반환합니다. 인수가 모든 FALSE인 경우에만 FALSE를 반환합니다. 구조 : OR(logical1, logical2, ...) logical1 : logical1, logical2, ...는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지는 조건으로 1개에서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으며 논리값, 배열, 참조가 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COUNTIF 함수] 범위 내에서 주어진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 구조 : COUNTIF(range,criteria) range : 조건에 맞는 셀의 수를 구하려는 셀 범위입니다. criteria : 숫자, 식, 텍스트 형태의 조건입니다.(찾을 조건)
[COUNT 함수] 범위에 있는 숫자가 포함된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 구조 : COUNT(value1,value2...) value : 최대 255개의 인수로서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포함하거나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서 숫자만을 셉니다.
[COUNTA 함수] 범위에서 비어 있지 않은 셀의 개수를 구합니다. 구조 : COUNTA(value1,value2...) value : 최대 255개의 인수로서 개수를 구할 값과 셀입니다. 값에는 모든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문제 해설> ※ 1번 보기 =LEFT(MID("Sound of Music",5,6),3)
MID는 시작위치부터 해서 지정을 한 글자 수 만큼 추출을 해서 나타내주는 함수입니다.
※ 함수 형태 =MID(텍스트, 시작위치, 추출할 글자수)
텍스트 : Sound of Music 시작위치 : 5 추출할글자수 : 6
Sound of Music 이라는 글자에서 다섯번째부터 6글자를 추출합니다. 추출을 하면 결과는 d of M 이 출력됩니다.
LEFT 함수는 맨 앞에서부터 추출을 할 글자 수 만큼 추출합니다.
※ 함수 형태 =LEFT(텍스트, 추출할 글자수)
텍스트 자리에는 MID 함수를 이용해서 출력한 결과인 d of M 이 들어갈테니까 수식을 간추려서 쓰면은 =LEFT("d of M",3) 이 됩니다. d of M 에서 앞에서 3글자를 출력하므로 결과는 d o 가 출력됩니다. (d(공백)o)
※ 2번 보기 =MID(RIGHT("Sound of Music",7),2,3)
RIGHT 함수는 맨 끝에서부터 지정을 한 글자수 만큼 추출을 합니다.
※ 함수 형태 =RIGHT(텍스트, 추출할 글자수)
RIGHT("Sound of Music",7) : Sound of Music 이라는 글자에서 맨 뒤에서 7글자를 추출을 하는 겁니다. 결과는 f Music 이 출력됩니다.
그러면 수식을 간추려서 쓰면 이렇게 됩니다. =MID("f Music",2,3) f Music 이라는 글자에서 두번째 글자부터 3글자를 출력을 하라는 의미가 되므로 결과는 (공백)Mu 이 출력됩니다.
※ 3번 보기 =RIGHT(MID("Sound of Music",3,7),3)
Sound of Music 에서 3번째 글자부터 7글자를 출력을 하니까 결과는 und of 가 출력됩니다. 수식을 간추려서 쓰면 이렇게 되겠습니다. =RIGHT("und of ",3) und of 라는 글자에서 뒤에서 3글자를 출력을 하니까 결과는 of(공백) 가 나옵니다.
※ 4번 보기 =MID(LEFT("Sound of Music",7),2,3)
LEFT 함수를 이용해 Sound of Music 라는 글자에서 맨 앞에서 7글자를 추출을 하면은 결과가 Sound o 가 나오며 수식을 간추려서 쓰면 =MID("Sound o",2,3) 이 됩니다. Sound o 라는 글자에서 두번째 글자부터 3글자를 출력을 하게 되므로 결과는 oun 이 나옵니다.
실행 결과가 옳은 보기는 2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MID 함수] 문자열의 지정 위치에서 문자를 지정한 개수만큼 돌려줍니다. 구조 : MID(text, start_num, num_char) text : 돌려줄 문자들이 포함된 문자열입니다. start_num : 돌려줄 문자열에서 첫째 문자의 위치입니다. text에서 첫 문자는 1이 됩니다. num_chars : text에서 돌려줄 문자 개수를 지정합니다.
[RIGHT 함수] 텍스트 문자열의 끝 지점부터 지정한 수만큼의 문자를 반환합니다. 구조 : RIGHT(text, [num_chars]) text : 추출하려는 문자가 들어 있는 텍스트 문자열입니다. [num_chars] : 추출할 문자 수를 지정합니다. 생략하면 1이 됩니다.
[LEFT 함수] 텍스트 문자열의 시작 지점부터 지정한 수만큼 문자를 반환합니다. 구조: LEFT(text, [num_chars]) text : 추출하려는 문자가 들어 있는 텍스트 문자열입니다. num_chars : 왼쪽에서부터 추출할 문자 수를 지정합니다. 생략하면 1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아래 워크시트는 수량과 상품코드별 단가를 이용하여 금액을 산출한 것이다. 다음 중 [D2] 셀에 사용된 수식으로 옳은 것은? (단, 금액 = 수량 × 단가)
1.
= C2 * VLOOKUP(B2, $B$8:$C$10, 2)
2.
= C2 * VLOOKUP($B$8:$C$10, 2, B2, FALSE)
3.
= C2 * VLOOKUP(B2, $B$8:$C$10, 2, FALSE)
4.
= C2 * VLOOKUP($B$8:$C$10, 2, B2)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상품코드에 따른 단가는 VLOOKUP 함수로 이용을 하여 불러와야 합니다. VLOOKUP은 첫 열을 기준으로 하여 해당 열에 대하여 결과값을 불러옵니다. 또한 첫 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가면서 찾습니다.
※ 함수 형태 =VLOOKUP(찾을값, 참조범위, 열번호, 옵션)
※ VLOOKUP 함수 옵션 0 또는 FALSE : 찾으려고 하는 값 (찾는값) 이 문자인 경우에 사용하고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을 찾을 때 사용합니다.
생략 또는 TRUE : 찾으려고 하는 값 (찾는값) 이 숫자인 경우에 사용하고 찾으려는 값보다 더 작은값을 찾거나 비슷한 값, 근사값을 찾으려고 할 때 사용합니다.
VLOOKUP 수식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LOOKUP(B2, $B$8:$C$10, 2, FALSE)
찾을값 : B2(AA-10) <- 찾을값이 글자(문자) 입니다. 참조범위 : $B$8:$C$10 <-- 참조범위는 채우기핸들 할 때 범위가 바뀌므로 범위 바뀌지 않기 위해 절대참조로 고정합니다. 열번호 : 2 <-- 두번째 열을 의미합니다. 참조범위에서 단가가 두번째 열에 위치해 있습니다. 옵션 : FALSE <-- 찾을값에 대해 해당 열에 대해서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습니다.
또한 D2셀에 들어갈 형태가 =수량*단가이므로 =C2*VLOOKUP(B2, $B$8:$C$10, 2, FALSE) 이렇게 적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VLOOKUP] 배열의 첫 열에서 값을 검색하여, 지정한 열의 같은 행에서 데이터를 돌려줍니다.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표가 정렬됩니다. 구조 : VLOOKUP(lookup_value,table_array,col_index_num,[range_lookup] lookup_value : 표의 첫 열에서 찾으려는 값으로 값이나 셀 주소 또는 텍스트일 수 있습니다. table_array : 데이터를 검색하고 추출하려는 표입니다. table_array는 범위 참조나 범위 이름이 될 수 있습니다. col_index_num : table_array 내의 열 번호로, 값을 추출할 열을 지정합니다. 표의 첫 열 값은 열 1입니다. range_lookup :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찾으려면 FALSE(0), 비슷하게 일치하는 것을 찾으려면 TRUE(1) 또는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다음 중 특정한 데이터 계열에 대한 변화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추세선을 표시할 수 있는 차트 종류는?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추세선은 2차원차트에만 가능하며, 2차원 차트일지라도 원에 가까운 원형, 도넛, 방사형 차트에는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또 표면형 차트에도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정리하면 3차원 차트, 원형, 도넛, 방사형, 표면형 차트는 추세선을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3차원 불가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방사형 혼합 불가 : 분산형, 도넛형, 주식형, 3차원 추세선 불가 : 도넛형, 방사형, 3차원, 원형, 표면형 [해설작성자 : NicePotato]
<문제 해설> - 그림에 주어진 차트는 3차원 원형 차트입니다. (삽입 - 차트 - 원형 - 3차원 원형) - 3차원 원형의 경우 데이터 계열 서식 으로 들어가면 첫째 조각의 각에 대해서 조절할 수 있는데 주어진 그림에서는 첫째 조각의 각을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기본값은 0) - 3차원 원형 안에 데이터 레이블이 표시가 되었는데 레이블 내용이 항목 이름, 값 이렇게 두 개가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 차트 제목은 차트 영역의 맨 위에 제목 표시 및 차트 크기 조정을 하기 위해 넣는 것입니다. 그림 영역 안의 위쪽에 표시된건 아닙니다. 따라서 맞는 보기는 3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상태에서 마우스로 페이지 나누기 구분선을 클릭하여 끌면 페이지를 나눌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3.
행 높이와 열 너비를 변경해도 자동 페이지 나누기 구분선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4.
[페이지 나누기 미리 보기] 상태에서 파선은 자동 페이지 나누기를 나타내고 실선은 사용자 지정 페이지 나누기를 나타낸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행 높이와 열 너비를 변경하게 되면 자동 페이지 나누기 구분선의 위치가 변경되어서 페이지의 수가 변경되기도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페이지 나누기 미리보기] 문서가 인쇄될 때 페이지가 어디서 나눠지는 지를 표시합니다. 페이지가 나뉘어지는 경계선을 한눈에 볼수 있으며 구분선, 인쇄 영역, 페이지 번호를 확인이 가능합니다. 입력, 편집이 자유로우며 구분선을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습니다. 자동 구분선은 점선, 수동 구분선은 실선이며 자동 구분선을 마우스 드래그로 이동시 실선으로 변경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