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수가 각각 Z1=11, Z2=27이고, 압력각이 20°인 전위 평기어에서 언더컷(under cut)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전위계수 x1, x2는? (순서대로 x1, x2)
1.
0.353, 0
2.
0.353, 0.156
3.
0.656, 0
4.
0.656, 0.156
정답 : [
1
] 정답률 : 74%
8.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레이디얼 볼베어링(radial ball bearing)에 처음 1분 동안 100N의 힘이, 다음 1분 동안 200N의 힘이 반복해서 작용한다고 할 때, 이 베어링에 작용하는 평균 유효하중[N]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베어링의 평균 유효하중 F = root{((F^p)1*N1*t1+(F^p)2*N2*t2+...+(F^p)n*Nn*tn)/(N1*t1+N2*t2+...+Nn*tn)} 여기서 p는 볼일 때 3, 롤러일 때 10/3, t[분] 주어진 회전수 N은 일정하므로 평균유효하중 F = roo[t{(100^3)*1+(200^3)*1}/(1+1)
답 4번의 값이 나옴 [해설작성자 : 이것까지 알 필요가 있을까...]
9.
안지름 600mm, 강판 두께 10mm인 원통형 압력용기의 강판 인장 강도를 300MPa이라 할 때, 작용시킬 수 있는 최대 내압 [N/mm2]은? (단, 안전율은 6, 부식여유는 1mm, 리벳이음효율은 100%로 한다)
1.
1.0
2.
1.5
3.
2.0
4.
2.5
정답 : [
2
] 정답률 : 75%
10.
지그(jig)와 고정구를 사용할 경우의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작기계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2.
작업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률 감소와 더불어 제품의 호환성이 증대된다.
3.
다종 소량의 제품 가공에 효율적으로 사용되며,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4.
숙련된 기술이 필요한 특수작업을 감소시키며, 전반적으로 작업이 단순화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11.
기계요소가 받는 피로(fatigue)현상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로시험을 통하여 얻은 S-N 곡선에서 무수히 많은 반복 응력을 주었을 때 피로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한계응력 값을 피로한도(fatigue limit)라고 한다.
2.
정적하중과 동적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 가로축을 평균응력, 세로축을 응력진폭으로 나타낼 때, 피로 파손되는 한계를 내구선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에는 거버(Gerber) 선도, 굿맨(Goodman) 선도, 조더버그(Soderberg) 선도 등이 있다.
3.
실제 부품의 설계시 노치효과, 치수효과, 표면효과 등을 고려하여 내구선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4.
기계요소의 피로수명을 강화시키려면 숏피닝(shot peening), 표면압연(surface rolling) 등의 방법으로 표면에 인장잔류 응력을 주면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12.
나사산 수, 나사 유효지름, 나사산의 높이, 나사 줄 수를 설계 변수로 하여 설계된 너트로 어떤 물체를 체결하고자 할 때, 너트 나사의 접촉면 압력이 너무 크다. 해결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너트의 높이는 일정 값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각 항에서 주어진 설계인자와 그에 종속된 변수 외에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1.
나사산 수를 감소시킨다.
2.
나사 유효지름을 증가시킨다.
3.
나사산의 높이를 줄인다.
4.
나사 줄 수를 증가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13.
두께 5mm인 강판을 지름 10mm인 리벳을 사용하여 1줄 겹치기 이음으로 결합하려고 할 때 결합효율을 최적으로 할 수 있는 리벳의 피치[mm]는? (단, 강판의 허용인장응력은 60MPa이고 리벳의 허용전단응력은 80MPa이다)
1.
11
2.
21
3.
31
4.
41
정답 : [
3
] 정답률 : 60%
14.
평벨트 전동장치에서 긴장측(팽팽한 측)의 벨트 장력이 250N이고, 접촉각과 마찰계수에 의한 장력비는 5이다. 풀리(pulley) 지름이 200mm일 때, 전달 토크[N·m]는?
1.
20
2.
200
3.
2000
4.
20000
정답 : [
1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장력비가 5이므로, 이완측 장력 Ts = 50 [N] 유효장력 Pe = Tt - Ts = 250 - 50 = 200 [N] 풀리 지름 D = 200 [mm] = 0.2 [m] 전달 토크 T = D*Pe/2 = 0.2*200/2 = 20 [Nm] [해설작성자 : 형준형]
15.
비틀림 모멘트 T와 이것의 두 배 크기의 굽힘 모멘트 M(=2T)을 동시에 받고 있는 중실축(solid shaft)에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비틀림 모멘트 T만 받고 있을 때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의 몇 배인가?
1.
√2
2.
√3
3.
2
4.
√5
정답 : [
4
] 정답률 : 75%
16.
호칭번호 6310인 단열 레이디얼 볼베어링에 그리스(grease) 윤활로 30000시간의 수명을 주고자 한다. 이 베어링의 한계속도지수가 250000이라고 할 때, 사용 가능한 최대 회전속도[rpm]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