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지블록과 마이크로미터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측정기로서 ㎛ 단위의 높이를 설정하거나 비교측정에서 기준 게이지로 사용하는 측정기는?
1.
사인바
2.
공기 마이크로미터
3.
나사 마이크로미터
4.
하이트 마이크로미터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사인바 - 각도의 측정에 삼각법을 이용하는 측정기구 공기 마이크로미터 - 치수를 측정하는데 공기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기기 나사 마이크로미터 -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마이크로미터 [해설작성자 : 테오]
6.
구성 인선(built-up edge)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절삭깊이를 적게 한다.
2.
예리한 날을 가진 공구를 사용한다.
3.
윤활성이 우수한 절삭유를 사용한다.
4.
바이트의 전면 여유각을 감소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7.
길이가 ℓ=150mm인 공작물을 d=100mm, Z=20의 헬리컬 밀링(Helical Milling)공구로 a=16mm의 깊이로 절삭할 때 가공시간은? (단, V=15m/min, S2=0.15mm, ℓa=30mm, ℓu=2mm이고, 전체가공길이 L=ℓ+ℓa+ℓu이다.)
1.
2 min
2.
2.5 min
3.
3 min
4.
3.5 min
정답 : [
2
] 정답률 : 60%
8.
수직 밀링머신에서 홈이나 공구 또는 공작물 측면을 절삭하는 공구는?
1.
엔드밀(end mil)
2.
평 밀링 커터(plain milling cutter)
3.
정면 밀링 커터(face milling cutter)
4.
각 밀링 커터(angular milling cutter)
정답 : [
1
] 정답률 : 57%
9.
단조를 한 방향으로 가공할 때 나타나는 섬유상 조직은?
1.
난류선
2.
단류선
3.
섬유선
4.
전단선
정답 : [
2
] 정답률 : 69%
10.
CNC프로그램에서 이송속도를 지령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F
2.
G
3.
N
4.
T
정답 : [
1
] 정답률 : 73%
11.
탭의 종류 중 나사부의 길이가 짧고 칩이 탭의 진행방향으로 빠지게 되어 있으며, 점성이 강한재료의 관통구멍에 나사를 내기 적합한 탭은?
1.
건 탭
2.
드릴 탭
3.
마스터 탭
4.
스파이럴 탭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건 탭 : 탭에 비틀림 홈이 있는 것으로 고속 절삭 용이다. [해설작성자 : 테오]
12.
다음 용접 결함 중 구조상 결함이 아닌 것은?
1.
기공
2.
변형
3.
오버랩
4.
언더컷
정답 : [
2
] 정답률 : 63%
13.
저항 용접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가압력
2.
도전율
3.
용접전류
4.
통전시간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저항 용접 3대 요소 - 용접전류 - 통전시간 - 가압력 [해설작성자 : 테오]
14.
볼트나 너트의 체결이 잘 되도록 구멍 주위 부분을 평탄하게 가공하는 드릴가공법은?
1.
리밍
2.
태핑
3.
스폿 페이싱
4.
카운터 싱킹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스폿페이싱 - 단조나 주조품의 경우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기 곤란한 경우에 볼트나 너트가 닿는 구멍 주위의 부분만을 평탄하게 가공하여 체결이 잘 되도록 하는 가공방법 [해설작성자 : 테오]
15.
질화처리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마모 및 부식에 대한 저항이 크다.
2.
경화층은 얇고 침탄한 것보다 경도가 크다.
3.
질화처리 후 담금질하기 때무에 변형이 많다.
4.
600℃ 이하의 온도에서는 경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16.
강의 현미경 조직 중에서 급랭 조직이 아닌 것은?
1.
펄라이트(pearlite)
2.
소르바이트(sorbite)
3.
오스테나이트(austenite)
4.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정답 : [
1
] 정답률 : 45%
17.
공작물을 양극(+)으로 하여 적당한 용액을 넣어 통전하면 양극의 용출작용에 의하여 광택이 나게 하는 가공법은?
1.
방전 가공
2.
전해 연마
3.
레이저 가공
4.
전자빔 가공
정답 : [
2
] 정답률 : 72%
18.
150~200℃로 가열된 금형모형에 세립자의 규사와 페놀 수지분말 5%를 혼합하여 만든 합성수지를 뿌리고 피복시킨 것을 모형과 함께 250~300℃ 의 노 내에 일정시간 동안 넣어 경화시킨 후 떼어내어 주형을 만드는 방법은?
1.
셸몰드법
2.
원심주조법
3.
다이캐스팅
4.
인베스트먼트법
정답 : [
1
] 정답률 : 56%
19.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의 주물 무게는 몇 kg인가?
1.
40
2.
60
3.
70
4.
90
정답 : [
3
] 정답률 : 61%
20.
다음 중 마이크로미터의 측정면 평면도를 검사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투영기
2.
공구 현미경
3.
옵티컬 플랫
4.
하이트 마이크로미터
정답 : [
3
] 정답률 : 84%
2과목 : 재료역학
21.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한다면 반력 R1, R2는 각각 얼마인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2%
22.
원형단면으로 길이 2m의 단순보에 3kN/m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최대 처짐이 보 길이의 1/1000로 하려면 지름은 약 몇 mm로 해야 하는가? (단, 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200GPA이다.)
1.
60
2.
75
3.
90
4.
105
정답 : [
2
] 정답률 : 29%
23.
길이 5m인 연강봉에 최대 사용하중을 작용하였더니 4mm 늘어났다. 이 봉의 항복강도가 336MPa이라면 안전계수 S는? (단, 세로탄성계수는 210GPa이다.)
1.
2
2.
3
3.
4
4.
5
정답 : [
1
] 정답률 : 59%
24.
평면응력에서 주평면(principal plane)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주평면에는 전단응력의 합이 작용한다.
2.
주평면에는 전단응력도 수직응력도 작용하지 않는다.
3.
주평면에는 전단응력만이 작용하고 수직응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4.
주평면에는 전단응력은 작용하지 않고 최대 및 최소의 수직응력만이 작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25.
길이 4m의 봉이 하중을 받아 3mm 늘어났다. 단면적이 4cm2이고, 탄성계수가 200GPa이라하면 이 봉이 받는 응력은 몇 MPa인가?
1.
15
2.
28
3.
135
4.
150
정답 : [
4
] 정답률 : 53%
26.
그림과 같이 지름이 25cm인 그라인더 휠이 30m/s의 원주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이 그라인더의 동력이 4kW라 할 때 그라인더 휠의 축 지름 d는 약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축 재료의 허용전단응력은 29.4Mpa이다.)
1.
8.7
2.
11.5
3.
14.2
4.
16.5
정답 : [
3
] 정답률 : 59%
27.
균일단면봉에 축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인장응력 δ일 때 최대전단응력이 발생하는 경사단면 각도(θ)와 그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각도(θ)는 축에 수직인 단면과 이루는 각도이다.)
1.
θ = 90°의 단면에 최대전단응력이 생기고 그 크기는 δ이다.
2.
θ = 45°의 단면에 최대전단응력이 생기고, 그 크기는 δ이다.
3.
θ = 45°의 단면에 최대전단응력이 생기고, 그 크기는 δ/2이다.
4.
θ = 90°의 단면에 최대전단응력이 생기고, 그 크기는 δ/2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8%
28.
지름 3cm, 길이 1m인 선형 탄성 균질 재료를 인장하였더니 길이는 0.05cm 늘고 지름은 0.0005cm 줄었다. 포아송 비(ν)는?
1.
1/5
2.
1/4
3.
1/3
4.
1/2
정답 : [
3
] 정답률 : 56%
29.
온도 5℃ 일 때 길이 1m의 재료를 그림과 같이 선단과 벽 사이에 1mm의 간격을 두고 고정시켰다. 온도가 100℃ 로 되었을 때 이 재료에 생기는 응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재료의 세로탄성계수는 GPa, 열팽창계수는 1.15×10-5/℃ 이다.)(문제 복원 오류로 GPa값이 없습니다. 정확한 값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1.
15.4
2.
19.3
3.
23.8
4.
31.5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문제 복원 오류로 GPa값이 없습니다. 정확한 값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30.
단면이 A이고 길이가 ℓ인 부재에 인장력 P가 작용할 때의 탄성변형에너지는? (단, 부재의 세로탄성계수는 E이다.)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62%
31.
균일 분포하중을 받는 단순 지지보의 굽힘모멘트(M) 선도에 해당하는 것은?
1.
2.
3.
4.
정답 : [
4
] 정답률 : 45%
32.
아래 그림과 같이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단순 지지보의 중앙지점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몇 N인가?
1.
450
2.
900
3.
1050
4.
1500
정답 : [
1
] 정답률 : 20%
33.
단면의 높이 h, 폭 b(=h/2)인 직사각형이고 길이가 4m인 단순보에 4.5 kN/m의 균일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허용 굽힘응력을 δa= 4MPa로 하면 단면의 폭 b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1
2.
0.15
3.
0.2
4.
0.25
정답 : [
2
] 정답률 : 36%
34.
그림의 I형 단면에서 X 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Ix는 약 몇 cm4인가?
1.
Ix = 316
2.
Ix = 406
3.
Ix = 527
4.
Ix= 618
정답 : [
2
] 정답률 : 42%
35.
다음 응력상태를 모어(Mohr)dml 응력원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2%
36.
양단이 힌지로 고정된 연강 재질의 원형기둥이 있다. 기둥이 길이는 5m, 세로 탄성계수는 210Gpa이라면 좌굴응력은 몇 MPa 인가? (단, 기둥 지름은 50mm이고 Euler 공식을 적용하라.)
1.
8.75
2.
10.85
3.
12.95
4.
14.87
정답 : [
3
] 정답률 : 18%
37.
그림과 같이 수평봉 AB가 지름 5mm인 강선 BC로 지지되어 있다. B점에 가할 수 있는 하중의 최대 크기 P는 몇 N 인가? (단, 강선의 허용인장응력은 440MPa이고, 강선과 수평봉이 이루는 각도는 30° 이다.)
1.
2160
2.
4320
3.
7480
4.
8620
정답 : [
2
] 정답률 : 28%
38.
그림과 같은 단면의 보에 전단력이 작용하고 있을 때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는 곳은 어느 곳인가?
1.
A
2.
B
3.
C
4.
D
정답 : [
4
] 정답률 : 65%
39.
균일 단면봉에 그림과 같이 하중이 작용할 때 ℓ2 부분에 발생하는 내력의 크기와 방향은?
1.
1500N, 인장
2.
1500N, 압축
3.
500N, 인장
4.
500N, 압축
정답 : [
3
] 정답률 : 41%
40.
비틀림 모멘트 8kN·m를 받는 지름8.8cm, 길이 6m의 연강축에 생기는 비틀림각은 약 몇 ° 인가? (단, 연강축의 전단탄성계수는 83GPa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