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글세+방 기원은 삭월세. 어원에서 멀어진 형태로 굳어져서 사글세. 사글세 전체를 한자로 볼 수 없어 고유어로 판단. 사글세+방의 합성어는 사이시옷을 받치어 사글셋방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
수개미 수거미 수나비 수늑대 수소 수사자 등등... 아래 단어들은 거센소리 인정. 수캉아지 수탕나귀 수캐 수톨쩌귀 수컷 수퇘지 수키와 수탉 수평아리.
2.
다음 밑줄 친 것들은 물건을 셀 때 쓰는 말들이다. 괄호 안의 수량을 모두 합하면 얼마인가?
1.
182
2.
186
3.
262
4.
266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손 : 2마리 사람 손은 2개 제 : 20첩 토요일 일요일 빼고 20일동안 복용 쌈 : 24개 1개월에 1개씩 24개월 바느질 톳 : 100장 김은 해안가에서 나니 한번 구매하면 100장씩 구매 접 : 100포기 김장할때마다 동네사람들이 전부 먹을거라 100포기씩 구매 쾌 : 20마리 황태덕장 한 나무 건조대에 걸리는 동태는 20마리 [해설작성자 : 진짠지 가짠지는 나도 모름.]
3.
다음 중 문장 구조와 어법이 올바른 것은?
1.
사고가 난 지 10년이 지난 현재도 사고 지역 주변 30km 내에서의 재거주(再居住)는 주변에 방사선 물질이 존재하고 있고, 주변 지하수의 오염 문제 등으로 아직도 어려운 상태이다.
2.
근대화는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제국주의에 의한 예속성만 깊어져 갔다.
3.
대도시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고 상업 ㆍ 교육 등의 서비스업이 발달함에 따라 더 많은 농어촌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4.
여름에 지내는 마룻방과 대청은 바람이 잘 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겨울에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병풍을 쳤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① 관형어구나 부사어구를 제외하라! - 찾아낸 관형어구나 부사어구가 어법이 맞으면 과감히 제외하고 주성분을 찾아 밑줄 그어 보자. 긴 문장은 수식어를 제외하고 주성분만 따로 떼어서 보는 것이 전체 문장 구조를 파악하기 쉽습니다. ② 서술어를 찾으라. - 주어보다는 서술어를 먼저 찾아내도록 하십시오. 주어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술어를 찾고 나면, 그 서술어와 호응하는 주어를 찾으십시오.
① ‘사고가 난 지 10년이 지난 현재도, 지역 주변 30km 내에서의’, - 제외하고 보면, ‘재거주는 주변에 방사선 물질이 존재하고 있고, 지하수의 오염 문제 등으로 어려운 상태이다.’ 서술어 ‘상태이다’의 주어는 ‘재거주는’이다. → 재거주는 ~ 어려운 상태이다. 주술 구조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대등적 연결구조에 문제가 있습니다.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은 앞의 절과 그 뒤의 절의 문장 형식이 같아야 합니다. (고친 문장) → 방사선 물질이 존재하고 있고, 지하수가 오염되어 있어서 ② 근대화는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제국주의에 의한 예속성만 깊어져 갔다. 능동과 피동 표현은 앞절과 뒷절이 같아야 합니다. 또한 뒷절의 주어가 없습니다. (고친 문장) → 근대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채, 그들은 제국주의에 의하여 예속성만 깊어져 갔다. ③ 대도시에 공장이 많이 들어서고 상업 ․ 교육 등의 서비스업이 발달함에 따라 더 많은 농어촌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이 문장을 세 개의 홑문장으로 나누어보면, ①공장이 들어서다. ②상업·교육 등의 서비스업이 발달하다. ③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었다. →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맞습니다. 다음은 앞뒤 문맥에 맞게 연결어미가 바르게 연결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인 경우 문장구조가 일치하는 보아야합니다. 둘 다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바른 표현입니다. ④ 여름에 지내는 마룻방과 대청은 바람이 잘 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겨울에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병풍을 쳤다. 뒷절에는 주어가 없습니다. 또한 앞절은 피동표현이고, 뒷절은 능동표현이므로 어느 한쪽으로 같게 하여야 합니다. (고친 문장) 겨울에 (우리가 주로) 지내는 안방은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병풍이 쳐져있다. [해설작성자 : 이광빈]
4.
다음 문장 중 어법에 알맞은 표현은?
1.
저희 교육원은 가장 정확한 수험 정보와 높은 적중률을 제공해 드립니다.
2.
김 원장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무료 의술을 베풂으로써 사회봉사를 실천합니다.
3.
태풍 '나비'로 인해 경기 일대의 태풍주의보가 호우주의보로 대체할 전망입니다.
4.
이번 회담 결과로 앞으로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수험 정보를 제공하고 높은 적중률을 자랑합니다. 3.주의보가 대체되어지는 대상. 대체될 전망입니다. 4.과도한 피동표현. 예상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제시된 낱말을 활용하여 만든 문장이 잘못된 것은?
1.
너비 : 사고가 나서 경찰이 도로의 너비를 재고 있다. 넓이 : 그 농장은 넓이가 3만 평이나 된다.
2.
한참 : 담장을 따라 한참을 가니 그 집이 나왔다. 한창 : 요즘 놀이공원은 사람들로 한창 붐빈다.
3.
있다가 : 지금은 바쁘니까 있다가 만나자. 이따가 : 조금만 누워 이따가 일어나마.
4.
째 : 그는 사과를 껍질째 먹어버렸다. 채 : 양복을 입은 채 잠이 들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3. 이따가 - 나중에 있다가 - 앞절 행동 이후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과 진술 방식이 유사한 것은?
1.
인간이라면 누구나 태어나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2.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야말로 인간과 다른 동물을 구분하는 두드러진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3.
언어의 습득은 인종이나 지능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비슷한 수준으로 이루어진다.
4.
언어 기호란 하나의 언어 사회에서 어떤 개념을 특정한 소리를 사용하여 지시하자는 약속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보기의 진술방식은 정의.
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한 기호체계이다. 언어는 특정한 소리를 사용하자는 약속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다음은 국어의 발음에 대해 설명한 글이다. "음절 끝소리 규칙"중 절음법칙 부분에 대한 적절한 예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무릎이[무르피]
2.
늪 앞[느밥]
3.
흙 위[흐귀]
4.
몇 월[며둴]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번 연음법칙. 받침의 자음을 그대로 끌고오기. 2,3,4번 절음법칙. 받침의 자음을 중화하여 끌고오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은 「감옥으로부터 사색」이란 글의 일부를 손질한 것이다. 의미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배열한 것은?
1.
가 - 나 - 다 - 라 - 마
2.
가 - 라 - 다 - 마 - 나
3.
다 - 가 - 나 - 라 - 마
4.
다 - 가 - 라 - 나 - 마
정답 : [
4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가.다. 중에 골라야 되는 상황.
다(노인들의 불만)의 내용이 가(불만의 상세내용)의 내용을 품은 문장. 다 - 가
가-젊은이들이 일을 대충함 라-왜 대충하나 봤더니 농사 안해봐서 나-농사는~마찬가지로 노동은~ 경험할 수 없는 의미를 담고 있다. 마-그런데 요즘것들은 노동을 소비라고 생각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다음 중 로마자 표기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은?
1.
영동 - Yeongdong
2.
종로 - Jongno
3.
신라 - Silla
4.
여의도 - Yeoido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여의도 : Yeouido
아래 공통 지문을 이용하여 답하시면 됩니다.
10.
(나)의 주제로 알맞은 것은?
1.
민족 문화 전통 계승의 정당성
2.
민족 문화 전통 계승의 부당성
3.
외래 문화 수용의 부당성
4.
외매 문화 수용의 정당성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나 보기는 두 단락으로 나눌 수 있음.
이러한~~~. 1단락 다만~~~. 2단락
1단락이 주제를 품는 단락이고 2단락은 부연단락. 즉 앞단락에 덧붙는 것. 따라서 주제는 1단락에서 찾아야됨.
고로 민족 문화 전통 계승의 정당성이 이 글의 주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