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최소 점화에너지가 낮아지는 조건 1,연소속도가 클수록 2,열전도율이 작을 수록 3,산소 농도가 높을수록 4,압력이 높을수록 5,온도가 높을수록 [해설작성자 : 예쁜 김진혁]
4.
표면연소란 다음 중 어느 것을 말하는가?
1.
오일표면에서 연소하는 상태
2.
고체연료가 화염을 길게 내면서 연소하는 상태
3.
화염의 외부표면에 산소가 접촉하여 연소하는 현상
4.
적열된 코크스 또는 숯의 표면 또는 내부에 산소가 접촉하여 연소하는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액체의 연소는 분해연소와 증발연소이다 [해설작성자 : ask]
5.
등심연소 시 화염의 길이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기 온도가 높을수록 길어진다.
2.
공기 온도가 낮을수록 길어진다.
3.
공기 유속이 높을수록 길어진다.
4.
공기 유속 및 공기온도가 낮을수록 길어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공급되는 공기 유속이 낮을수록, 공기 온도가 높을수록 화염의 길이는 길어진다. [해설작성자 : 새옹지마]
6.
이산화탄소로 가연물을 덮는 방법은 소화의 3대 효과 중 다음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제거효과
2.
질식효과
3.
냉각효과
4.
촉매효과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문제에서 '가연물을 덮는다.' 라는 건 가연물과 외부의 산소,공기 등에 대한 접촉을 방어하닌까 질식효과가 맞죠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7.
화재와 폭발을 구별하기 위한 주된 차이는?
1.
에너지 방출속도
2.
점화원
3.
인화점
4.
연소한계
정답 : [
1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화재와 폭발을 구별하기 위한 주된 차이점은 에너지 방출속도의 차이이다. 화재는 에너지를 느리게 방출하나, 폭발은 일반적으로 에너지를 마이크로초 차원으로 아주 빠르게 방출한다. [해설작성자 : 깡모]
8.
완전연소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연소에 충분한 시간을 부여한다.
2.
연료를 인화점 이하로 냉각하여 공급한다.
3.
적정량의 공기를 공급하여 연료와 잘 혼합한다.
4.
연소실 내의 온도를 연소 조건에 맞게 유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일반적으로 완전 연소란 연소하기에 적당한 고온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주고 조연성물질인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반응 물질이 더 이상 산화되지 않는 물질로 연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연료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LPG나 프로판 가스, 휘발유 등을 완전 연소시킬 경우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생성되지만, 위의 조건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불완전 연소하여 일산화탄소와 그을음(C)을 형성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연소실 온도를 착화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것 [해설작성자 : 심천]
9.
위험성평가기법 중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정성적인 안정성평가기법은?
1.
What-if
2.
HEA
3.
HAZOP
4.
FMECA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HAZOP은 Hazrd+Operability의 합성어로, 실제의도에서 벗어나는 공정상의 위험요인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 정성적 평가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깡모]
10.
폭굉유도거리(DI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경이 클수록 짧다.
2.
압력이 낮을수록 짧다.
3.
점화원의 에너지가 약할수록 짧다.
4.
정상연소 속도가 빠른 혼합가스일수록 짧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폭굉유도거리(DID-Detonation Inducement Distance) -최초의 정상적인 연소가 폭굉으로 발전 할때까지의 거리
DID가 짧아지는요인(짧을수록 위험) -압력이 높을수록 짧음 -점화원의 에너지가 강할수록 짧음 -연소속도가 큰 혼합 가스일수록 짧음 -관속에 방해물이 있으면 짧음 -관 내경(지름)이 작을수록 짧음
1. 관경이 클수록 길다 2. 압력이 낮을수록 길다 3. 점화원의 에너지가 약할수록 길다
= 관경 뺴곤 왠만하면 did와 반비례관계 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11.
메탄올 96g과 아세톤 116g을 함께 진공상태의 용기에 넣고 기화시켜 25℃의 혼합기체를 만들었다. 이 때 전압력은 약 몇 mmHg인가? (단, 25℃에서 순수한 메탄올과 아세톤의 증기압 및 분자량은 각각 96.5mmHg, 56mmHg, 및 32, 58이다.)
<문제 해설> 고로가스 : 코크스의 연소시 철광석과의 환원작용으로 발생 발생로가스 : 질소, 일산화탄소, 메탄, 수소를 주성분으로하는 가스 수성가스 : 수소나 일산화탄소가 주성분인 가스 석탄가스 : 메탄과 수소가 주성분인 가스 [해설작성자 : 가스리]
19.
기체연료-공기혼합기체의 최대연소속도(대기압, 25℃)가 가장 빠른 가스는?
1.
수소
2.
메탄
3.
일산화탄소
4.
아세틸렌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연소속도란, 화염이 전파할 때 미연소가스에 대한 상대적인 연소면의 속도를 말하고 밀도가 낮을수록, 비열이 낮을수록, 화염온도가 높을수록, 열전도율이 높을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짐. 즉, 밀도가 낮을수록이니 보기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작은 물질들을 찾으면 수소(M:2g/mol)가 됩니다. 밀도=질량/부피이고 "질량=몰수 x 분자량"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연소효율이 80%이니 발열량에 0.8을 곱해야하 합니다. 가스 출력에 발열량을 나눈 후 연소효율을 곱하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전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해질 중 물, 토양, 콘크리트 등에 노출된 금속에 대하여 전류를 이용하여 부식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2.
전기방식은 부식 자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음극에서 일어나는 부식을 양극에서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다.
3.
방전류는 양극에서 양극반응에 의하여 전해질로 이온이 누출되어 금속표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음극 표면에서는 음극반응에 의하여 전류가 유입되게 된다.
4.
금속에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식전류가 부식전류 이하가 되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기방식: 지중 및 수중에 설치하는 강재배관 및 저장탱크 외면에 전류를 유입시켜 양극반응을 저지함으로써 배관의 전기적 부식을 방지하는 것으로 방식전류가 부식전류 이상으로 되어야 함 [해설작성자 : ㅇㅇ]
29.
LPG를 탱크로리에서 저장탱크로 이송 시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누출이 생긴 경우
2.
과충전이 된 경우
3.
작업 중 주위에 화재 발생 시
4.
압축기 이용 시 베이퍼룩 발생 시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4. 압축기가 아니라 펌프 이용시 베이퍼 룩 발생시 입니다. 제동력을 전달하는 브레이크 오일이 높은 기온으로 인해 끓어오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요. 바로 이 때 증기(Vapor)에 의해 브레이크 배관에 기포가 발생해 제동능력을 상실하는 현상을 베이퍼 록이라고 합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누출이 생긴 경우 과충전이 된 경우 작업 중 주위에 화재 발생 시 펌프 이용 시 베이퍼록이 심한 경우 압축기 이용 시 액압축이 발생하는 경우 [해설작성자 : 메수석]
<문제 해설> 가스터빈 기관의 열역학적 이상 사이클로 주로 항공기 추진이나 전력생산에 응용되는 '브라이튼 사이클'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33.
캐비테이션 현상의 발생 방지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펌프의 회전수를 높인다.
2.
흡입 관경을 크게 한다.
3.
펌프의 위치를 낮춘다.
4.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캐비테이션(공동현상)방지법 1 펌프의 위치를 낮춘다 2 수직축 펌프를 사용하여 회전차를 물속에 완전히 잠기게 한다 3 양흡입 펌프를 사용한다 4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5 두 대 이상의 펌프를 사용한다 6 유효 흡입 수두를 크게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 ㅍㅇㅌ]
캐비테이션(공동현상)의 개념 -빠른속도로 액체가 운동할때 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낮아져서 거품이나 기포가 생기는현상 -캐비테이션이 생기면 프로펠라,임펠러 등등 각종 설비에서 부식을 유발, 심각한 손상을 유발함 -방지를 하기위해 펌프의 회전수를 낮춤,위치를 낮추는법 그외 등등.. 액체의 압력을 증기압보다 압력을 높힌다. [해설작성자 : ㅇㅇ]
지름이 각각 8m인 LPG 지상 저장탱크사이에 물분무장치를 하지 않은 경우 탱크사이에 유지해야 되는 간격은?
1.
1m
2.
2m
3.
4m
4.
8m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8+8)/4 [해설작성자 : 애용]
LPG 저장탱크 간의 유지거리 두 저장탱크의 최대지름을 합산한 길이의 1/4 이상에 해당하는 거리를 유지하고, 두 저장탱크의 최대지름을 합산한 길이의 1/4의 길이가 1m 미만인 경우에는 1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다만,LPG 저장탱크에 물분무장치가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저장탱크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지 않아도 된다. L=D1+D2/4 =8+8/4 =4m [해설작성자 : 콤피셔]
49.
고압가스특정제조시설에서 안전구역 안의 고압가스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다른 안전구역 안에 있는 고압가스설비의 외면까지 몇 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0m
2.
20m
3.
30m
4.
50m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설비 간 거리 안전구역 내의 고압가스설비와 다른 안전구역 내의 고압가스설비의 외면 : 30m 이상 제조설비의 외면과 그 제조서의 경계 : 20m 이상 가연성 가스 저장탱크는 그 외면으로부터 20만 m3 이상인 압축기까지 : 30m 이상 가연성 탱크와 가연성 탱크(산소탱크) 간의 설치 길이 : 1m 혹은 두 직경의 합의 1/4 중 큰 거리로 유지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50.
액화석유가스 자동차에 고정된 용기충전의 시설에 설치되는 안전밸브 중 압축기의 최종단에 설치된 안전밸브의 작동조정의 최소 주기는?
1.
6월에 1회 이상
2.
1년에 1회 이상
3.
2년에 1회 이상
4.
3년에 1회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압축기의 최종단에 설치된 경우 : 1년에 1회 이상
2. 그 밖에는 : 2년에 1회 이상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종합적 안전관리대상의 시설에 설치된 안전밸브의 조정 주기는 저장탱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재검사 주기로 한다. [해설작성자 : 허가관]
51.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저장능력을 산출하는 식은? (단, Q:저장능력(m3), W:저장능력(kg), V:내용적(L), P:35℃에서 최고충전압력(MPa), d:사용온도 내에서 액화가스 비중(kg/L), C:가스의 종류에 따른 정수이다.)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에서 저장탱크 및 처리설비를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저장탱크실과 처리설비실을 각각 구분하여 설치하고 강제환기시설을 갖춘다.
2.
저장탱크실의 천장, 벽 및 바닥의 두께는 20cm 이상으로 한다.
3.
저장탱크를 2개 이상 설치하는 경우에는 저장탱크실을 각각 구분하여 설치한다.
4.
저장탱크에 설치한 안전밸브는 지상 5m 이상의 높이에 방출구가 있는 가스방출관을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 천장,벽,및 바닥 두께는 30cm 철근 콘크리트 및 방수처리가 되야함 [해설작성자 : ㅇㅇ]
53.
고압가스 운반차량의 운행 중 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400km 이상 거리를 운행할 경우 중간에 휴식을 취한다.
2.
독성가스를 운반 중 도난당하거나 분실한 때에는 즉시 그 내용을 경찰서에 신고한다.
3.
독성가스를 운반하는 때는 그 고압가스의 명칭, 성질 및 이동 중의 재해방지를 위하여 필요한 주의사항을 기재한 서류를 운전자 또는 운반책임자에게 교부한다.
4.
고압가스를 적재하여 운반하는 차량은 차량의 고장, 교통사정, 운전자 또는 운반책임자의 휴식할 경우 운반책임자와 운전자가 동시에 이탈하지 아니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200km 이상 거리를 운행할 경우 휴식을 취한다 [해설작성자 : 해병대싸나이]
-책임자,운전자 둘 다 이탈금지 -도난,분실 시 경찰서에 신고 -재해방지를 위해 기재한 서류 운전자 및 운반책임자에게 교부 -200km 이상시 휴식 [해설작성자 : ㅇㅇ]
54.
초저온 용기의 재료로 적합한 것은?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
2.
고탄소강 또는 Cr강
3.
마텐자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또는 고탄소강
4.
알루미늄합금 또는 Ni-Cr강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18-8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합금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55.
질소 충전용에서 질소가스의 누출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쉽고 안전한 방법은?
1.
기름 사용
2.
소리 감지
3.
비눗물 사용
4.
전기스파크 이용
정답 : [
3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비눗물 발라보면 누출되는곳에 뽀글뽀글 하겠죠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56.
고압가스용 이음매 없는 용기 제조 시 탄소함유량은 몇 % 이하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1.
0.04
2.
0.05
3.
0.33
4.
0.55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용기 제조방법에 따른 C, P, S 함유량 탄소(C) 인(P) 황(S) 용접용기 0.33%이하 0.04%이하 0.05%이하
이음매가 0.55%이하 0.04%이하 0.05%이하 없는용기 [해설작성자 : 행복한 김진혁]
용기의 CPS 함유량 무이음 용기 C(탄소):0.55% 이하 P(인):0.04% 이하 S(황):0.05% 이하 용접 용기 C(탄소):0.33% 이하 P(인):0.04% 이하 S(황):0.05% 이하 [해설작성자 : 화학연구원]
57.
포스겐가스(COCl2)를 취급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취급 시 방독마스크를 착용할 것
2.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환기시설은 보관장소의 윗 쪽에 설치할 것
3.
사용 후 폐가스를 방출할 때에는 중화시킨 후 옥외로 방출시킬 것
4.
취급장소는 환기가 잘 되는 곳일 것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포스겐은 공기보다 무거워서 환기시설은 보관장소의 아래쪽에 설치할 것 [해설작성자 : 안나쌤]
포스겐은 분자량 99이므로 공기 분자량 29보다 무거운 독성가스에 해당한다. 때문에 환기시설은 보관장소 바닥면에 접한 부분의 구조로 한다. [해설작성자 : 콤피셔]
58.
2단 감압식 1차용 액화석유가스조정기를 제조할 때 최대 폐쇄압력은 얼마 이하로 해야 하는가? (단, 입구압력이 0.1MPa~1.56MPa이다.)
1.
3.5kPa
2.
83kPa
3.
95kPa
4.
조정압력의 2.5배 이하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구분: 용기 100kg/h이하 기준 // 용기 100kg/h이상 기준
입구압력: 0.1~1.56Mpa // 0.3~1.56Mpa 조정압력: 57~83kpa // 57~83Kpa 입구 기밀시험압력: // 1.8Mpa 이상 출구 기밀시험압력: // 150Kpa 이상 최대 폐쇄압력: // 95Kpa 이상 [해설작성자 : ㅇㅇ]
59.
폭발예방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검토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요인분석
2.
위험성 평가
3.
피해예측
4.
피해보상
정답 : [
4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보상은 나중에 고민해도 늦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60.
특정설비에 대한 표시 중 기화장치에 각인 또는 표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내압시험압력
2.
가열방식 및 형식
3.
설비별 기호 및 번호
4.
사용하는 가스의 명칭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특정설비에 대한 표시 중 기화장치에 각인 또는 표시해야 할 사항 내압시험압력 가열방식 및 형식 사용하는 가스의 명칭
이 외에, 제조자의 명칭 또는 약호 제조번호 및 제조연월일 내압시험에 합격한 연월 최고사용압력 기화능력 [해설작성자 : 용양인]
4과목 : 가스계측
61.
가스미터의 원격계측(검침) 시스템에서 원격계측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트식
2.
기계식
3.
펄스식
4.
전자식
정답 : [
1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가스미터의 원격계측 시스템에서 원격계측 방법으로는 기계식, 펄스식, 전자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기펄전]
62.
외란의 영향으로 인하여 제어량이 목표치 50L/min에서 53L/min으로 변하였다면 이 때 제어편차는 얼마인가?
1.
+3L/min
2.
-3L/min
3.
+6.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목표치-제어량 = 50-53 =-3 [해설작성자 : ㅇㅇ]
1)제어편차:제어계에서 목표값의 변화나 외란의 영향으로 목표값과 제어량의 차이에서 생긴 편차
2)제어편차 계산=목표치-제어량 =50-53 =-3L/min [해설작성자 : 내가사]
63.
He 가스 중 불순물로서 N2:2%, CO:5%, CH4:1%, H2:5%가 들어있는 가스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검출기는?
1.
열전도검출기(TCD)
2.
불꽃이온화검출기(FID)
3.
불꽃광도검출기(FPD)
4.
환원성가스검출기(RGD)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열전도 검출기는 헬륨을 캐리어가스로 사용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열전도검출기(TCD) 캐리어가스(He,H2)와 시료 성분 가스의 열전도도 차를 금속 필라멘트 또는 서미스터의 저항 변화로 검출하는 형식으로 헬륨(He)은 열전도검출기에서 캐리어가스로 사용되고 있고, 헬륨 중에 불순물을 분석하는 것으므로 열전도검출기가 가장 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헬열검]
64.
초음파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손실이 거의 없다.
2.
압력은 유량에 비례한다.
3.
대구경 관로의 측정이 가능하다.
4.
액체 중 고형물이나 기포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도 정도가 좋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 좋지않다가 맞는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액체 중 고형물이나 기포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정도가 좋지 않다. [해설작성자 : 헬열검]
65.
접촉식 온도계의 종류와 특징을 연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유리 온도계-액체의 온도에 따른 팽창을 이용한 온도계
2.
바이메탈 온도계-바이메탈이 온도에 따라 굽히는 정도가 다른 점을 이용한 온도계
3.
열전대 온도계-온도차이에 의한 금속의 열상승 속도의 차이를 이용한 온도계
4.
저항 온도계-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의 전기저항 변화를 이용한 온도계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두금속의 열기전력을 이용해서 온도측정(제백효과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열전대 온도계 : 2종류의 금속선을 접속하여 하나의 회로를 만들어 2개의 접점에 온도차를 부여하면 회로에는 접점의 온도에 거의 비례한 전류(열기전력)가 흐르는 현상인 제베크효과를 이용한 접촉식 온도계이다. [해설작성자 : 헬열검]
66.
습식가스미터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량이 정확하다.
2.
설치 공간이 작다.
3.
사용 중에 기차의 변동이 거의 없다.
4.
사용 중에 수위 조정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설치 면적이 큽니다. [해설작성자 : 참두부 ]
습식 가스미터는 계량이 정확해서 연구실,실험실 같은 환경에서 쓰지만 설치공간이 크다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습식가스미터는 기,계,수,면,실
기차변동이 거의 없다. 계량이 정확하다.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 설치 면적이 크다. 실험실용, 연구실용, 표준가스미터 [해설작성자 : 공부하는오룡]
67.
다음 가스 분석법 중 흡수분석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햄펠법
2.
게겔법
3.
오르자트법
4.
우인클러법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흡수 분석법 - 헴펠, 게겔, 오르자트법 [해설작성자 : 몽키 D 전지민]
68.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하는 압력계는?
1.
부르동관 압력계
2.
링밸런스식 압력계
3.
침종식 압력계
4.
벨로우즈식 압력계
정답 : [
3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침종식 압력계의 특징 : 진동이나 충격의 영향이 비교적 적음, 미소 차압의 측정 가능, 저압의 가스압 측정에 사용, 단종형과 복종형으로 분류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침종식(沈種式)은 가라앉는 방식. 가라앉는 정도에 따라 압력 측정 [해설작성자 : 엉덩이실룩실룩]
69.
되먹임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린 회로제어이다.
2.
비교부가 필요 없다.
3.
되먹임이란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다시 되돌려 보내는 것을 말한다.
4.
되억임제어시스템은 선형 제어시스템에 속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되먹임 제어란 피드백 제어 입니다. 그러므로 출력신호를 입력신호로 보내야해요. [해설작성자 : 영혼의 꽃 김진혁]
70.
계측에 사용되는 열전대 중 다음(보기)의 특징을 가지는 온도계는?
1.
R형
2.
T형
3.
J형
4.
K형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T형[동-콘스탄탄] (C-C)에 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모르면 외우자.]
71.
평균유속이 3m/s인 파이프를 25L/s의 유량이 흐르도록 하려면 이 파이프의 지름을 약 몇 mm로 해야 하는가?
1.
88mm
2.
93mm
3.
98mm
4.
103mm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Q=AV Q=(파이*지름/부피)*속도
지름= 루트(4X25/파이*25) = 103 [해설작성자 : 참두부]
루트((25000*4)/(파이*3)) [해설작성자 : 필합]
루트(0.025 X 4 / 3.14 X 3) X 1000 = 103mm [해설작성자 : 허접한 김진혁]
72.
전기저항식 습도계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저온도의 측정이 가능하고, 응답이 빠르다.
2.
고습도에 장기간 방치하면 감습막이 유동한다.
3.
연속기록, 원격측정, 자동제어에 주로 이용된다.
4.
온도계수가 비교적 작다.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전기저항식 습도계 장점 : 연속기록 및 제어 가능, 상대습도를 즉시 알 수 있음, 구조적으로 단순함, 정밀 측정 가능 단점 : 용량식에 비해 온도특성이 커서 온도보정 필요, 저습 측은 고저항으로 되어 검출 곤란, 측정기체가 소자를 오염시키는 데에 사용 불가 [해설작성자 : 모르면 외우자.]
다소의 경년 변화가 있어 온도계수가 비교적 크다. [해설작성자 : 헬륨열전도]
온도에 따라 금속 재료의 전기 저항이 큼. [해설작성자 : 엉덩이실룩실룩]
73.
여과기(strainer)의 설치가 필요한 가스미터는?
1.
터빈가스미터
2.
루트가스미터
3.
막식가스미터
4.
습식가스미터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루트식 가스미터 2개의 회전자와 케이싱으로 구성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에 의하여 체적 단위로 환산하여 적산하는 것으로 여과기의 설치 및 설치 후의 관리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루트여]
74.
가스보일러에서 가스를 연소시킬 때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는 가스에 중독될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이 때 이 가스를 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험지는?
<문제 해설> 프로브 형성 및 부착위치와 매체의 유무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화한다. [해설작성자 : GIO]
정전용량과 관련된것은 정전용량식 액면계 입니다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79.
반도체 스트레인 게이지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높은 저항
2.
높은 안정성
3.
큰 게이지상수
4.
낮은 피로수명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반도체 게이지의 특징으로 "높은" 피로수명을 가집니다.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금속,합금이나 반도체 등의 변형계 소자는 압력에 의해 변형을 받으면 전기저항이 변하는 것을 이용한 전기식 압력계이다. - 높은 저항에 견딜 수 있다. - 높은 안전성을 유지한다. - 큰 게이지 상수를 갖는다. - 피로에 의한 수명이 높다. - 변형계 소자는 반도체를 이용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헬륨열전도]
80.
헴펠(Hempel)법에 의한 분석순서가 바른 것은?
1.
CO2→CmHn→O2→CO
2.
CO→CmHn→O2→CO2
3.
CO2→O2→CmHn→CO
4.
CO→O2→CmHn→CO2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화학적 분석기기의 가스 분석법 1. 오르자트법 : CO2 -> O2 -> CO 2. 헴펠법 : CO2 -> CmHn -> O2 -> CO 3. 게겔법 : CO2 -> C2H2 -> C3H6 -> C3H8 -> C2H4 -> O2 -> CO [해설작성자 : 너네는 이런거 하지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