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지마세요!!! 외팔보 끝 부분은 정답4번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부분은 정답2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외팔보 끝 부분의 처짐은 4번이 아니라 PL^3/3EI로 알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건기1트]
[추가 오류 신고] 이 문제를 면적모멘트 법으로 풀어야하는데 문제처럼 외팔보 중앙에 집중하중이 발생하면 ((PL/2)*(L/2))*((L/2)+((L/2)*(2/3))=5PL^3/48EI 가 나옵니다 고로 답은 4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성현]
[오류신고 반론] 외팔보 중앙에서 집중하중 작용 시, 끝단에서의 쳐짐은 5PL^3/48EI 중앙 부분에서의 쳐짐은 PL^3/24EI 문제에서 물어본 것은 하중이 작용하는 부분의 쳐짐을 물어봄으로 정답은 2번 [해설작성자 : 건기화이팅]
19.
지름 D인 두께가 얇은 링(ring)을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킬 때, 링에 생기는 인장응력을 나타내는 식은? (단, 링의 단위 길이에 대한 무게를 W, 링의 원주속도를 V, 링의 단면적을 A, 중력가속도를 g로 한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39%
20.
철도 레일의 온도가 50℃에서 15℃로 떨어졌을 때 레일에 생기는 열응력은 약 몇 MPa인가? (단, 선팽창계수는 0.000012/℃, 세로탄성계수는 210GPa이다.)
1.
4.41
2.
8.82
3.
44.1
4.
88.2
정답 : [
4
] 정답률 : 57%
2과목 : 기계열역학
21.
단열된 가스터빈의 입구 측에서 압력 2MPa, 온도 1200K인 가스가 유입되어 출구 측에서 압력 100kPa, 온도 600K로 유출된다. 5MW의 출력을 얻기 위해 가스의 질량유량(kg/s)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단, 터빈의 효율은 100%이고, 가스의 정압비열은 1.12kJ/kgㆍK이다.)
초기 압력 100kPa, 초기 체적 0.1m3인 기체를 버너로 가열하여 기체 체적이 정압과정으로 0.5m3이 되었다면 이 과정 동안 시스템이 외부에 한 일(kJ)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4
] 정답률 : 57%
23.
펌프를 사용하여 150kPa, 26℃의 물을 가역단열과정으로 650kPa까지 변화시킨 경우, 펌프의 일(kJ/kg)은? (단, 26℃의 포화액의 비체적은 0.001m3/kg이다.)
1.
0.4
2.
0.5
3.
0.6
4.
0.7
정답 : [
2
] 정답률 : 50%
24.
1kW의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101kPa, 15℃의 공기로 차 있는 100m3의 공간을 난방하려고 한다. 이 공간은 견고하고 밀폐되어 있으며 단열되어 있다. 히터를 10분 동안 작동시킨 경우, 이 공간의 최종온도(℃)는? (단, 공기의 정적비열은 0.718kJ/kgㆍK이고, 기체상수는 0.287kJ/kgㆍK이다.)
1.
18.1
2.
21.8
3.
25.3
4.
29.4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Q(J) = 1000(W) X 600(s) = 600000J PV = MRT ===> 101000(Pa) X 100(M^3) = M(kg) X 287 X 288(K) M = 122.2(Kg) Q = Cv((T2)-(T1)) ===> Q = 718X((T2)-(288)) 600000 = 718X((T2)-288)) ===> T2 = 294.85(K) = 21.85(`C)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랭킨사이클에서 보일러 입구 엔탈피 192.5kJ/kg, 터빈 입구 엔탈피 3002.5kJ/kg, 응축기 입구 엔탈피 2361.8kJ/kg일 때 열효율(%)은? (단, 펌프의 동력은 무시한다.)
1.
20.3
2.
22.8
3.
25.7
4.
29.5
정답 : [
2
] 정답률 : 51%
26.
실린더 내의 공기가 100kPa, 20℃ 상태에서 300kPa이 될 때까지 가역단열 과정으로 압축된다. 이 과정에서 실린더 내의 계에서 엔트로피의 변화(kJ/kgㆍK)는? (단, 공기의 비열비(k)는 1.4이다.)
1.
-1.35
2.
0
3.
1.35
4.
13.5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가역 단열과정은 등엔트로피과정으로 엔트로피 변화는 0
27.
이상기체 1kg을 300K, 100kPa에서 500K까지 “PVn=일정”의 과정(n=1.2)을 따라 변화시켰다. 이 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kJ/K)은? (단, 기체의 비열비는 1.3, 기체상수는 0.287kJ/kgㆍK이다.)
1.
-0.244
2.
-0.287
3.
-0.344
4.
-0.373
정답 : [
1
] 정답률 : 31%
28.
열역학적 관점에서 다음 장치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즐은 유체를 서서히 낮은 압력으로 팽창하여 속도를 감속시키는 기구이다.
2.
디퓨저는 저속의 유체를 가속하는 기구이며 그 결과 유체의 압력이 증가한다.
3.
터빈은 작동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열을 생성하는 회전식 기계이다.
4.
압축기의 목적은 외부에서 유입된 동력을 이용하여 유체의 압력을 높이는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29.
열역학 제2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율이 100%인 열기관은 얻을 수 없다.
2.
제2종의 영구 기관은 작동 물질의 종류에 따라 가능하다.
3.
열은 스스로 저온의 물질에서 고온의 물질로 이동하지 않는다.
4.
열기관에서 작동 물질이 일을 하게 하려면 그 보다 더 저온인 물질이 필요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30.
그림과 같은 공기표준 브레이튼(Brayton) 사이클에서 작동유체 1kg당 터빈 일(kJ/kg)은? (단, T1=300K, T2=475.1K, T3=1100K, T4=694.5K이고, 공기의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은 각각 1.0035kJ/kgㆍK, 0.7162kJ/kgㆍK이다.)
1.
290
2.
407
3.
448
4.
627
정답 : [
2
] 정답률 : 41%
31.
다음 중 가장 큰 에너지는?
1.
100kW 출력의 엔진이 10시간 동안 한 일
2.
발열량 10000kJ/kg의 연료를 100kg 연소시켜 나오는 열량
3.
대기압 하에서 10℃의 물 10m3를 90℃로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단, 물의 비열은 4.2kg/kgㆍK이다.)
4.
시속 100km로 주행하는 총 질량 2000kg인 자동차의 운동에너지
정답 : [
1
] 정답률 : 45%
32.
보일러에 온도 40℃, 엔탈피 167kJ/kg인 물이 공급되어 온도 350℃, 엔탈피 3115kJ/kg인 수증기가 발생한다.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속은 각각 5m/s, 50m/s이고, 공급되는 물의 양이 2000kg/h일 때, 보일러에 공급해야 할 열량(kW)은? (단, 위치에너지 변화는 무시한다.)
1.
631
2.
832
3.
1237
4.
1638
정답 : [
4
] 정답률 : 38%
33.
용기 안에 있는 유체의 초기 내부에너지는 700kJ이다. 냉각과정 동안 250kJ의 열을 잃고, 용기 내에 설치된 회전날개로 유체에 100kJ의 일을 한다. 최종상태의 유체의 내부에너지(kJ)는 얼마인가?
1.
350
2.
450
3.
550
4.
650
정답 : [
3
] 정답률 : 40%
34.
다음은 시스템(계)가 경계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다
2.
나, 라
3.
가, 다, 라
4.
가, 나, 다, 라
정답 : [
3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밀폐계 -> 검사질량 [해설작성자 : 첫기사]
35.
피스톤-실린더 장치에 들어있는 100kPa, 27℃의 공기가 600kPa까지 가역단열과정으로 압축된다. 비열비가 1.4로 일정하다면 이 과정 동안에 공기가 받은 일(kJ/kg)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0.287kJ/kgㆍK이다.)
1.
263.6
2.
171.8
3.
143.5
4.
116.9
정답 : [
3
] 정답률 : 38%
36.
300L 체적의 진공인 탱크가 25℃, 6MPa의 공기를 공급하는 관에 연결된다. 밸브를 열어 탱크 안의 공기 압력이 5MPa이 될 때까지 공기를 채우고 밸브를 닫았다. 이 과정이 단열이고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한다면 탱크 안의 공기의 온도(℃)는 얼마가 되는가? (단, 공기의 비열비는 1.4이다.)
1.
1.4
2.
25.0
3.
84.4
4.
144.2
정답 : [
4
] 정답률 : 17%
37.
이상적인 냉동사이클에서 응축기 온도가 30℃, 증발기 온도가 -10℃일 때 성적 계수는?
1.
4.6
2.
5.2
3.
6.6
4.
7.5
정답 : [
3
] 정답률 : 49%
38.
준평형 정적과정을 거치는 시스템에 대한 열전달량은? (단,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는 무시한다.)
1.
0이다.
2.
이루어진 일량과 같다.
3.
엔탈피 변화량과 같다.
4.
내부에너지 변화량과 같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39.
압력 1000kPa, 온도 300℃ 상태의 수증기(엔탈피 3051.15 kJ/kg, 엔트로피 7.1228 kJ/kgㆍK)가 증기터빈으로 들어가서 100kPa 상태로 나온다. 터빈의 출력 일이 370kJ/kg일 때 터빈의 효율(%)은?
<문제 해설> 유압유 구비조건 1. 확실한 동력전달을 위하여 비압축성이어야 한다. (압축성 x) 2. 온도에 의한 점도변화가 작아야 하므로 점도지수가 높아야 한다. 3. 열을 방출시킬 수 있어야 한다. (방열성) 4. 기름중의 공기를 분리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아이즈원사랑해]
76.
유압 실린더 취급 및 설계 시 주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적당한 위치에 공기구멍을 장치한다.
2.
쿠션 장치인 쿠션 밸브는 감속범위의 조정으로 사용된다.
3.
쿠션 장치인 쿠션링은 헤드 엔드축에 흐르는 오일을 촉진한다.
4.
원칙적으로 더스트 와이퍼를 연결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쿠션링은 실린더 끝단의 로드커버에 근접하여 유압 출구를 감 소시킴으로써 피스톤과 로드커버 사이의 압력을 증 가시켜 피스톤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진또베기]
관은 어미나사와 척의 연결에 의해 1회전 할 때 마다 1피치 만큼 이동하여 나사가 절삭된다.
3.
이 기계에 호브와 파이프 커터를 함께 장착하면 관의 나살절삭과 절단을 동시에 할 수 있다.
4.
관의 절단, 나사절삭, 거스러미제거 등의 일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번은 다이헤드식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중키]
호브식 나사절삭기는 나사절삭 전용기계로서 현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천용]
97.
일반적으로 배관의 위치를 결정할 때 기능, 시공, 유지관리의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급수배관은 아래쪽으로 배관해야 한다.
2.
전기배선, 덕트 및 연도 등은 위쪽에 설치한다.
3.
자연중령식 배관은 배관구배를 엄격히 지켜야 하며 굽힘부를 적게 하여야 한다.
4.
파손 등에 의해 누수가 염려되는 배관에 위치는 위쪽으로 하는 것이 유지관리상 편리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급수배관 터질경우 머리위로 질질 흐르는거보다 바닥에서 터지는게 나음 2.건물 내부 보면 전기배선, 공조 배관은 천장에 달려있다. 또한 전기는 아래에 있으면 감전 혹은 합선, 홍수 등 여러가지 골칫거리 많아짐 4.1번과 같은 이유로 위쪽에 있으면 머리위로 누수됨 [해설작성자 : 헬시섹시]
98.
관 절단 후 관 단면의 안쪽에 생기는 거스러미(쇳밥)를 제거하는 공구는?
1.
파이프 커터
2.
파이프 리머
3.
파이프 렌치
4.
바이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파이프 바이스 : 관을 고정 파이프 커터 : 관을 절단 파이프 리머 : 관 절단후 안쪽에 생기는 거스러미를 제거 파이프 렌치 : 관을 회전시키거나 나사를 죌 때 사용 [해설작성자 : 천용]
99.
배관의 부식 및 마모 등으로 작은 구멍이 생겨 유체가 누설될 경우에 다른 방법으로는 누설을 막기가 곤란할 때 사용하는 응급 조치법은?
1.
하트태핑법
2.
인젝션법
3.
박스 설치법
4.
스토핑 박스법
정답 : [
2
] 정답률 : 47%
100.
평면상의 변위 뿐 아니라 입체적인 변위까지 안전하게 흡수하므로 어떠한 형상에 의한 신축에도 배관이 안전하며 설치 공간이 적은 신축이음의 형태는?
1.
슬리브형
2.
벨로즈형
3.
스위블형
4.
볼조인트형
정답 : [
4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볼조인트-3축 제어가 가능 [해설작성자 : 진또베기]
평면상의 변위 뿐만 아니라 입체적인 변위까지도 안전하게 흡수가능, 볼 이음쇠를 2개 이상 사용하면 회전과 기울임이 동시에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