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 출력용 HWP, PDF : [다운로드]

아래 화면과 같은 방식의 웹 버전 링크 복사 기능 : [바로가기]

워드프로세서 (구 1급) : 2020년07월04일 기출문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기본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문균등(Justification): 단어와 단어 사이의 간격을 균등 배분하여 문장의 왼쪽 끝만 맞추어 균형을 유지 하는 기능
   2. 색인(Index): 문서의 중요한 내용들을 빠르게 찾기 위하여 문서의 맨 뒤에 용어와 기록된 쪽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기록하여 정리한 목록
   3. 옵션(Option): 명령이나 기능을 수행할 때 선택할 수있는 항목들을 모두 보여주는 것
   4. 마진(Margin): 문서 작성 시 문서의 균형을 위해 남겨두는 상, 하, 좌, 우의 여백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영문균등을 이해하려면 워드랩를 먼저 알아야 할 것 같다.
워드랩: 줄의 끝에 있는 영어 단어가 다음 줄까지 이어질 때 단어를 다음 줄로 넘겨 단어 파악을 쉽게 할 수 있는 기능
영문균등: 워드 랩 등으로 공백이 생겼을 때 단어와 단어 사이의 공백을 조절하여 다른 행과 양쪽 끝을 맞추는 기능.
1번이 틀린 이유는 '양쪽 끝'이라고 하지 않고 '왼쪽 끝만'이라고 했기 때문인 듯.
_출처:지식인
[해설작성자 : 초밥을 좋아해]

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매크로(Macro)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련의 작업 순서를 키보드의 특정 키에 기록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한 번에 재실행해 내는 기능이다.
   2. 동일한 내용의 반복 입력이나 도형, 문단 형식, 서식 등을 여러 곳에 반복 적용할 때 효과적이다.
   3. 작성한 매크로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으며 편집이 가능하다.
   4. 마우스 동작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든 동작을 기억하는 것을 '키 매크로'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마우스 동작을 포함한 동작을 기억하는 것은 '스크립트 매크로' 이고
키보드의 동작을 기억하는 것은 ' 키 매크로' 이다
[해설작성자 : 천재]

스크립트 매크로(Script Macro)]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동작을 포함한 사용자의 모든 동작을 기록하고 특정 단축키에 저장해 매크로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키보드의 입력, 마우스 클릭, 드래그 등 다양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 다음 중 KS X 1005-1(유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도: 국제 표준 코드, 정보처리/정보교환용
   2. 장점: 현대 한글의 대부분을 표현할 수 있음
   3. 표현 글자 수: 완성형 한글 11,172자, 한글 자모 240자
   4. 표현 바이트 수: 모든 문자 2바이트(16비트)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번은 조합형 한글에 대한 설명입니다.
조합형은 초성, 중성, 종성을 조합하여 현대 한글을 거의 모두 표현할수 있으며 고어 표현이 불가능할뿐 입니다.
KS X 1005-1(유니코드)는 완성형 한글 11,172자, 한글 자모 240자를 지원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특정 내용을 검색하기 위한 찾기 기능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정 부호나 메모의 내용을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2. 와일드카드 문자(*, ?)를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3. 블록을 지정하여 특정 영역에 대해서만 검색할 수 있다.
   4. 글자 모양이나 문단 모양, 스타일 등을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한글문서 기준 "찾기"[Ctrl+F]를 들어가면 입력창 우측 망원경 버튼에 3, 4번의 내용이 있고
1번의 내용은 아무리 찾아보아도 보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삼일공고 전자과 1학년 파이팅]

교정부호는 텍스트를 어떤 식으로 수정할지에 대해 약속한 부호를 의미한다. 띄어쓰기, 삽입, 문자 바꾸기 등의 부호인데 이를 검색하여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은 찾기 기능에 포함되지 않는다.

메모의 내용은 검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굿아이휘서]

5. 다음 중 한글 워드프로세서의 문서파일 저장 기능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장할 때 암호를 지정하여 다른 사람의 열람을 제한할 수 있다.
   2. 저장하기 대화상자에서 폴더를 새로 만들거나 삭제 할 수 있다.
   3. 기존 문서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기존 파일은 삭제된다.
   4. 문서 파일의 저장위치나 파일 이름 및 형식을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기존에 존재하던 문서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더라도 기존 파일은 삭제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꿈실반 화이팅, 근데 난 집에 가고싶어요,]

다른이름으로 저장하면 기존 파일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른이름으로 저장은 다른 파일로 새로 저장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기존의 파일의 사본 파일이 생성되어 그 파일에 저장되는 것이므로 기존 원본 파일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요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 다음 중 머리말과 꼬리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 페이지의 맨 위와 아래에 내용이 쪽마다 고정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
   2. 머리말과 꼬리말에는 책의 제목, 그 장의 제목, 쪽 번호 등을 넣는다.
   3. 머리말과 꼬리말의 내용을 짝수쪽, 홀수쪽에 다르게 입력할 수 있다.
   4. 머리말에 숫자, 문자, 그림은 입력할 수 있으나 표는 입력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머리말에 숫자,문자, 그림, 표 모두 입력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호돌이]

[머리말(두문 : Header) , 꼬리말(미문 : Footer)]
[Header]
머리말은 페이지 상단부분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모든 페이지 또는 특정 페이지에 반복적으로 표시됩니다.
주로 제목, 회사 로고, 작성자 명 등과 같은 정보를 담으며 좌측, 중앙, 우측에 텍스트, 숫자, 이미지, 표 등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짝수 홀수 페이지에 서로 다른 머리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Footer]
꼬리말은 페이지 하단부분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모든 페이지 또는 특정 페이지에 반복적으로 표시됩니다.
주로 페이지 번호, 작성 날짜, 저작권 정보, 각주 등의 정보를 담으며 좌측, 중앙, 우측에 텍스트나 숫자, 이미지, 표 등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짝수 홀수 페이지에 서로 다른 꼬리말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7. 다음과 가장 관련이 있는 글꼴 구성 방식은 무엇인가?
   
   1. 벡터(Vector)
   2. 포스트스크립트(Post Script)
   3. 오픈타입(Open Type)
   4. 트루타입(True Type)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벡터(Vector) - 문자의 좌표를 입력받아 점과 점을 연결하는 선분 또는 곡선으로 문자를 생성하는 것으로 확대시 가장 매끄러움
3. 오픈타입(Open Type) - 높은 압축률을 이용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것으로, 통신을 이용한 글꼴의 송,수신이 용이함
4. 트루타입(True Type) -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글꼴, 화면 표시용 글꼴과 출력용 글꼴이 동일함으로 위지윅(WYSIWYG) 구현 용이
[해설작성자 : 허니꾸꾸쎵2]

8.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의 내용을 종이에 출력하지 않고 파일로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2.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시간은 길어지지만 대신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다.
   3. 문서의 1-3페이지를 여러 장 인쇄할 때 한 부씩 찍기를 선택하지 않으면 1-2-3 페이지 순서로 여러 장이 인쇄된다.
   4. 미리보기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의 내용을 편집할 수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한부씩 찍기를 선택 하면 1-2-3 을 반복하여 출력한다.
한부씩 찍기를 선택 하지않으면 1페이지가 전부 출력된 후 2페이지, 3페이지순으로 출력된다.
[해설작성자 : 삼일공고 전자과 1학년 파이팅]

9. 다음 중 전자 출판과 관련된 용어에서 커닝(Kern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작업이다.
   2. 제한된 색상을 조합하여 복잡한 색이나 새로운 색을 만드는 작업이다.
   3. 문자 위에 겹쳐서 문자를 중복 인쇄하거나 배경색을 인쇄한 후에 그 위에 대상체를 인쇄하는 기능이다.
   4. 이미지 변형 작업, 입출력 파일 포맷,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하는 작업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번은 디더링(Dithering), 3번은 오버프린트(Overprint), 4번은 초크(Choke)에 관련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오늘 시험치러감]

10.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확장자는 무엇인가?
   
   1. TXT
   2. DOC
   3. BAK
   4. PDF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TXT: Windows 메모장의 기본파일 형식
2. DOC: MS-워드 프로그램 파일 형식
3. BAK: 파일 훼손에 대비하여 하나 이상의 복사본(백업)을 만들어 보관하는 파일 형식
[해설작성자 : 초롱이와 다롱이]

[PDF(Portable Document Format)]
Adobe Systems(어도비 시스템즈)사가 개발한 전자 문서 포맷으로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온/오프라인 환경에서 쉽게 문서를 공유가 가능하고 보안성이 높습니다.
Acrobat Reader(아크로 뱃 리더)로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TXT]
서식 없는 텍스트 파일로 윈도우에서는 메모장의 기본 파일 형식입니다.

[DOC]
Microsoft의 Word에서 사용하는 기본 문서 파일 형식입니다.
다양한 글꼴, 글자 크기, 굵게 와 같은 텍스트 서식을 지원하고 이미지, 표, 차트 등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워드 프로세서에서도 열고 편집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제공합니다.

[bak = 백(백업)]
실수나 예상하지 못한 불의의 상황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에 대비하여 하나 이상의 복사본을 만들어 보관하는 예비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1. 다음 중 문서의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의사 결정의 기능
   2. 의사 보존의 기능
   3. 자료 제공의 기능
   4. 의사 전달의 기능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의사 결정은 본인이 하도록...
[해설작성자 : 곧 시험]

문서의 기능 : 의사전달, 의사보존, 의사교환, 자료제공, 부서간 협조
[해설작성자 : 뚜뚜]

문서의 기능: 의사기록.구체화/의사 전달/의사 보존/자료 제공/업무연결,조정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의사 전달]
의사소통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메일, 공문서, 등을 통해 좀더 정확하고 변함없는 내용을 전달 할 수 있습니다.

[의사 보존]
문서를 일정한 기준이나 원칙에 의해 작성하고 정리, 관리, 보관하여 후일 증빙자료나 역사 자료로 사용한다.
회의록, 계약서, 기록 문서 등으로 특정한 의사결겅 과정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료 제공]
보고서, 연구 자료, 매뉴얼, 등으로 보관, 보존된 문서는 필요한 경우 자료나 정보를 제공되어 행정활동을 지원 및 촉진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2. 다음 중 보고서 작성 시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읽는 사람의 요청이나 기대에 맞춘 보고서를 작성한다.
   2. 사실과 의견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작성한다.
   3. 표와 그림 등으로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설득력을 높이게 작성한다.
   4. 각 사안별로 문장을 나누어 소항목에서 대항목으로 점진적으로 작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소항목 -> 대항목 X
   대항목 -> 소항목 o
[해설작성자 : 미지니]

집지을 때도 기반 세우고 기둥 세우고 큰 것부터 하듯이, 문서도 큰 것부터 시작해서 세세한 걸로 들어가야 함.
[해설작성자 : 문과인데 워드 쉬움]

13. 다음 중 문서 작성 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목은 제목만 보고도 쉽게 문서의 성격과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작성한다.
   2. 행정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에 의해 공문서는 한글 맞춤법에 따라 세로로 작성한다.
   3. 목적이 있는 사외문서라 하더라도 인사말부터 시작하는 것이 기본적인 예의이다.
   4. 기안문 작성 시 하나의 항목만 있을 경우 항목 구분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번호를 기재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가로로 작성 !!
[해설작성자 : 귀욤 지혜]

1948년 10월 9일, 당시 제헌국회에서 '한글전용에관한법률' [제정 1948.10.9 법률 제6호]을 제정하였다. 위 법률에서는 "대한민국의 공용 문서는 한글로 작성한다. 다만, 얼마 동안 필요한 때에는 한자를 병용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이후 2005년 1월에 제정된 국어기본법에 흡수됨에 따라 한자 병용이 폐지되어 현재는 한글전용으로 공용 문서를 작성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14. <보기 1>의 문장이 <보기 2>의 문장으로 수정되기 위해 필요한 교정부호들로만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교정 취소, 내용 바꾸기, 이어붙이기
2. 내용 바꾸기, 삭제하기, 삽입하기
3. 사이 띄우기, 내용 바꾸기, 이어붙이기
4. 내용바꾸기, 이어붙이기, 교정 취소
[해설작성자 : 초롱이와 다롱이]

15. 다음 중 문서의 수정을 위한 교정 부호의 표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의 내용과 혼돈되지 않도록 글자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2. 한번 교정된 부분도 다시 교정할 수 있다.
   3. 교정하고자 하는 글자를 명확하게 지적해야 한다.
   4. 여러 교정부호를 동일한 행에 사용할 때 교정부호가 겹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교정부호를 표시하는 색은 인쇄된 글자의 색과 다르면서 눈에 잘 띄는 색을 이용하여 표기한다.
[해설작성자 : 초롱이와 다롱이]

[교정 부호]
교정을 위한 부호로 인쇄된 글자와 구별이 쉽도록 다른 색을 사용해야 하며 간략하고 명확해야 합니다.
여러 교정부호가 있는 경우 겹치지 않도록 주의해야하며 한번 교정된 부호도 다시 교정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6. 다음 중 문서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문서관리는 문서를 산출한 업무와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문서관리 시 조직의 업무 활동 분석이 선행되는 것이 좋다.
   3. 문서관리자는 조직의 업무를 분석함으로써 업무와 문서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4. 업무활동에 기반한 문서관리는 업무 수행을 돕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문서를 산출한 업무를 한 곳에서 관리를 하는게 바람직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2일전]

17. 다음 중 문서 파일링 시스템의 도입효과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문서 관리의 명확화
   2. 정보 전달의 원활화
   3. 사무 공간의 효율적 활용
   4. 기록 활용에 대한 제비용 증가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기록 활용에 대한 제비용 절감
[해설작성자 : 분명봤던건데]

4. 문서처리에 관련된 사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
[해설작성자 : 초롱이와 다롱이]

[파일링 시스템]
각종 서류, 문서, 서적, 기록 등을 필요에 따라 언제라도 검색하기 용이하게, 참조에 편리하게 출납할 수 있도록 정리, 관리하는 것입니다..
시간과 공간을 절약하여 경제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보존이 용이하고 관리를 명확화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8. 다음 중 전자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컴퓨터 등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거나 송신·수신 또는 저장된 문서를 말한다.
   2. 전자문서의 효력 발생 시기는 전자문서를 수신자가 관리하거나 지정한 전자적 시스템 등에 입력되었을 때 발생한다.
   3. 전자문서는 공람하였다는 기록을 업무관리시스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 상에서 수동으로 표시하며 담당자는 메일로 공람여부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4. 업무의 성질상 전자문서로 기안하기 곤란하거나 그밖의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은 한 기안은 전자문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3. 수동 아니고 자동입니다.

19. 다음은 문서의 발송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문서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신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전자 문서는 행정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공무원의 공식 전자우편 주소를 이용하여 발송할 수 있다.
   3. 종이문서인 경우에는 이를 복사하여 발송한다.
   4. 모든 문서는 비밀유지를 위해 반드시 암호화하여 발송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모든 문서가 아니라 내용이 비밀사항인 문서는 암호화 등 보안 유지가 가능한 방법을 지정하여 발신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훈형]

20. 다음 중 공문서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문서의 항목 순서를 필요한 경우에는 □, ○, -, · 등과 같은 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
   2. 문서에 금액을 표시할 때에는 금153,530원(금일십오만삼천오백삼십원)과 같이 표시하여야 한다.
   3. '업무 실명제'란 주요 정책의 결정 및 집행 과정에 참여하는 관련자의 실명과 의견을 기록·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4. 본문의 내용이 표 형식으로 표의 중간까지만 작성된 경우에는 '끝' 표시를 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작성된 칸의 다음 칸에 '이하 빈칸'으로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3. 업무 실명제가 아닌 정책 실명제에 대한 설명이다.
1. 공문서의 항목 순서는 필요한 경우 □, ○, -,·등과 같은 기호로 표시할 수 있다.
2. 간단한 예로 은행 창구에서 입금할 시 금액을 한글로 작성하는것과 같다.
4. 표 형식일 경우에만 '이하 빈칸'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삼일공고 전자과 1학년 파이팅]

오 : 2. 간단한 예로 은행 창구에서 입금할 시 금액을 한글로 작성하는것과 같다.
정 : 2. 간단한 예로 은행 창구에서 출금할 시 금액을 한글로 작성하는것과 같다.
[해설작성자 : 내 머리 수정중]

오: 4. 표 형식일 경우에만 '이하 빈칸'으로 표시한다.
정: 본문의 내용이 표 형식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표의 마지막 칸까지 작성되면 표 아래 왼쪽 한계선에서 한 글자를 띄운 후 “끝” 표시를 하고, 표의 중간까지만 작성된 경우에는 “끝” 표시를 하지 않고 마지막으로 작성된 칸의 다음 칸에 “이하 빈칸”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noahlee]

[정책실명제]
정책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기 위해 정책을 결정.집행하는 과정에서 담당자 및 참여자의 실명과 의견을 기록, 관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업무보고, 대통령지시사항 등)
100억 원 이상의 예산 투입사업
제정, 개정 및 폐지하는 법령
국민의 요청(국민신청실명제) 등 그 밖에 공개가 필요한 사업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10의 도움말 및 지원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련된 항목의 도움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기능이 있다.
   2. 필요한 도움말을 제목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3. 온라인에서 원격지원으로 도움을 받거나 전문가에게 문의할 수 있다.
   4. 새로운 기술에 대한 내용을 도움말에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도움말에 내용을 임의로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호돌이]

1. 관련된 항목의 도움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하이퍼텍스트 기능이 있다.
2. 필요한 도움말을 제목별로 검색할 수 있으며,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3. 온라인에서 원격지원으로 도움을 받거나 전문가에게 문의할 수 있다.
4. 새로운 기술에 대한 내용을 도움말에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마이스터고보단 여기지]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부팅 시 고급 옵션에서 지원하는 부팅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 모드: 기본 드라이버 및 DVD 드라이브, 네트워크 서비스만으로 부팅한다.
   2. 부팅 로깅 사용: 화면 모드를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모드인 '640×480' 해상도로 설정하여 부팅한다.
   3. 디버깅 모드: 잘못된 서명이 포함된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4. 컴퓨터 복구: 부팅에 문제가 있거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시스템을 초기 상태 또는 최적의 상태로 복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안전모드 :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주변 장치나 디바이스 드라이버 따위를 제한하여, 최소 설정만으로 컴퓨터를 부팅시키는 방식.
2.부팅 로깅 사용 : 부팅 과정을 엔티비티로그 텍스트 파일에 기록하여 부팅하는 방식으로 문제가 있을때 이 방법을 사용하여 부팅한다.
3.디버깅 모드 :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상세한 정보를 출력하는 모드.
[해설작성자 : 해병대 1232기]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어로 전환 3D: 점프 목록과 프로그램 단추 고정을 통해 빠르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2. 에어로 스냅(Aero Snap): 열려있는 창을 드래그하는 위치에 따라 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3. 에어로 피크(Aero Peek): 작업 표시줄 아이콘을 통해 축소판 미리 보기가 가능하며, 열려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 하지 않고 바탕화면을 볼 수 있다.
   4. 에어로 셰이크(Aero Shake): 창을 흔들면 다른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 하거나 다시 원상태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에어로 전환 3D는 작업 표시줄을 누르지 않아도 열려 있는 모든 창을 미리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햄버거조아]

윈도우 10에서는 에어로 전환 3D 기능이 없어졌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작업 표시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 표시줄은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단추와 프로그램을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 등록한 고정 프로그램 단추 등이 표시되는 곳이다.
   2. 작업 표시줄은 위치를 변경하거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크기는 화면의 1/4까지만 늘릴 수 있다.
   3. '작업 표시줄 잠금'이 지정된 상태에서는 작업 표시줄의 크기나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없다.
   4. 작업 표시줄은 기본적으로 바탕화면의 맨 아래쪽에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 작업 표시줄 크기는 화면의 절반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이네..]

[작업 표시줄]
현재 실행되고 있는 앱(프로그램) 단추와 앱을 빠르게 실행하기 위해 등록한 고정 앱 단추 등이 표시되는 곳으로 기본적으로 바탕화면의 가장 하단에 있습니다.
위치를 변경(상,하,좌,우)을 할 수 있고 크기를 변경(화면의 1/2까지)할 수 있습니다. (변경 불가를 위해 ‘작업 표시줄 잠금’기능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바탕화면의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탕화면에 새 폴더를 만들 수 있다.
   2.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의 표시 유무를 지정할 수 있다.
   3. 화면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4. 컴퓨터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컴퓨터 전원을 켤때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 버튼을 이용하고 끌때는 컴퓨터 본체의 전원버튼 또는 바로가기 메뉴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폴더 옵션]의 '보기' 탭에서 할 수 없는 기능은?
   
   1. 메뉴 모음의 항상 표시 여부를 지정한다.
   2. 숨김 파일이나 폴더의 표시 여부를 지정한다.
   3. 폴더나 파일을 가리키면 해당 항목의 정보를 표시하는 팝업 설명의 표시 여부를 지정한다.
   4. 제목 표시줄에 현재 선택된 위치에 대한 일부분 경로 표시 여부를 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제목표시줄과 주소표시줄의 일부가 아니라 전체 경로 표시 여부를 지정한다.
[해설작성자 : 분명봤었는데]

폴더 옵션 [보기]탭
- 탐색 창에 라이브러리의 표시 여부를 지정
- 탐색 창에 모든 폴더의 표시 여부 지정
- 메뉴 모음의 항상 표시 여부 지정
- 숨김 파일이나 폴더의 표시 여부 지정
-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표시 여부 지정
- 제목 표시줄에 현재 선택된 위치의 전체 경로 표시 여부 지정**
- 미리 보기 창에 파일 내용 표시 여부 지정
- 보호된 운영 체제 파일 숨김 여부를 지정
- 폴더나 파일을 가리키면 해당 항목의 정보를 표시하는 팝업 설명의 표시 여부 지정
- 파일이나 폴더의 아이콘 앞에 확인란의 표시 여부 지정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운로드한 프로그램 파일을 디스크 정리로 삭제할 경우
   2. 휴지통에 있는 특정 파일을 선택한 후에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할 경우
   3. 현재 편집 중인 문서 파일이 포함된 폴더를 선택한 후에 <Delete> 키를 눌러 삭제할 경우
   4. 모든 권한이 설정된 특정 폴더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삭제]를 선택하여 삭제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편집중인 문서파일이 포함되어있으면 삭제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은 운빨도 있지]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탐색기나 폴더 창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는 검색 상자의 사용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색 필터를 추가하여 수정한 날짜나 크기 등의 속성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2. 검색할 위치를 지정하여 파일이나 폴더를 검색할 수있다.
   3. 검색 결과에는 검색어로 사용된 문자가 노란색으로 표시되어 확인하기 용이하다.
   4. 파일이나 폴더 그리고 프로그램, 제어판, 전자 이메일 메시지도 검색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탐색기에서 검색상자를 사용 할 경우 파일과 폴더만 검색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시작메뉴에서 검색상자를 실행할 경우
검색 항목으로는 파일 및 폴더, 메일, 프로그램 등등을 검색할 수 있고,
검색위치는 컴퓨터 전체이며,
검색 필터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천재]

[작업 표시줄 검색 상자]
모두, 문서, 웹, 동영상, 사진, 설정, 음악, 폴더, 메일, 등 을 컴퓨터 전체와 웹에서 검색합니다.
검색시 필터 기능은 제공되지 않으며 검색 결과는 범주별 그룹화 되어 나타납니다.

[파일 탐색기 검색 상자]
검색 위치를 지정가능하며 파일 또는 폴더를 검색합니다.
검색시 다양한 필터 기능을 제공하며 검색 결과는 검색어에 노란색으로 표시하여 나타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캡처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보조프로그램] → [캡처 도구]를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2. 캡처한 화면은 JPG, PNG, GIF, BMP, HTML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3. 자유형 캡처, 사각형 캡처, 창 캡처, 전체 화면 캡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캡처할 수 있다.
   4. 캡처 후 주석을 달 때 사용할 펜은 색, 두께, 모양 변경이 가능하지만 형광펜은 변경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JPEG, PNG, GIF, HTML 파일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_캡처화면 닫을 때 안내창 뜸
[해설작성자 : 초밥을 좋아해]

BMP : Windows의 표준 비트맵 파일 형식
      압축하지 않는 것이 특징! -> 용량大
[해설작성자 : 이거풀고다음은실기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압축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2. 파일을 전송할 때 시간 및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3. 파일이나 폴더를 압축하면 보안이 향상된다.
   4. 분할 압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압축시 암호를 설정할수는 있지만, 필수적인 항목이 아닌 선택적 항목이기 때문에,
보안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수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음주시험]

[압축(Compaction) ]
기억 장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파일 전송시 시간을 줄이거나 대역폭, 비용등을 줄이기 위한 일련의 방법으로 불필요하거나 반복되는 사항을 제거하기 위한 특수한 코딩 기법입니다.
다른 의미로는 사용하지 않은 기억 장소들이 여기저기 분산되어 있을 때 새롭게 실행할 프로세스가 큰 기억 장소를 요구하면 저장할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렇게 남은 잉여 공간(단편화(Fragmentation)된 공간)을 한 곳으로 모아 큰 공간을 통합하는 작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설치된 프린터의 바로가기 메뉴에 있는 [프린터 속성]을 선택하여 표시되는 프린터 속성 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 탭: 프린터 모델명 확인과 인쇄 기본 설정
   2. [공유] 탭: 프린터를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와 공유 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추가 드라이버를 설치
   3. [포트] 탭: 프린터 포트를 선택하고 새로운 포트를 추가하거나 삭제
   4. [고급] 탭: 프린터 시간을 제어하고 인쇄 해상도를 설정하며, 테스트 페이지 인쇄 등을 지정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4. [고급]탭: 프린터 시간을 제어하고 스풀을 설정
(인쇄 해상도, 테스트 페이지 인쇄 지정은 [일반]탭에서 설정 가능함)
[해설작성자 : 호돌이]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접근성 센터] 창에서 수행 가능한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돋보기 기능을 사용하면 화면에서 원하는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2. 내레이터 시작 기능을 사용하면 화면의 텍스트를 소리 내어 읽어 줄 수 있다.
   3. 청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해 경고음 등의 시스템 소리를 화면 깜박임과 같은 시각적 신호로 표시되도록 지정할 수 있다.
   4. 화상 키보드 기능을 사용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모양을 변경하거나 포인터의 이동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상키보드 기능은 포인터의 이동 속도를 변경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에라잇 나도 몰르갰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제공하는 [Windows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액세스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능이다.
   2. [인바운드 규칙] 사용을 설정하면 방화벽은 사용자의 네트워크에서 외부로 나가는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3. Windows 방화벽이 새 프로그램을 차단할 때 알림을 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연결 보안 규칙의 종류에는 격리, 인증 예외, 서버 간, 터널, 사용자 지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인바운드 규칙은 외부로 나가는 연결을 제어하는것이 아니라 안으로 들어오는 연결을 제어한다
[해설작성자 : 졸리다많이]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웹서버에 있는 홈페이지를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편집 또는 재구성할 수 있다.
   2. 플러그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동영상이나 소리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3. 자주 방문하는 웹 사이트 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4. 전자우편을 보내거나 HTML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브라우저(IE, CHROME 등)에서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는 경우, 이러한 URL에 의지하여 Client의 Web Server로부터 Resources 파일 등의 정보를 얻어 해당 URL의 내용을 브라우저에 출력하는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이러한 Client에서부터 Web Server까지의 일련의 흐름을 결정하는 약속들을 말한다. 즉, WEB은 HTTP라는 약속을 사용한 통신으로서 이루어져 있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35. 한글 Windows 7의 사용자 계정 유형 중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갖는 것은?
   
   1. 관리자 계정
   2. 표준 사용자 계정
   3. Guest 계정
   4. 임시 사용자 계정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관리자 계정 - 제한 없이 컴퓨터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 계정을 작성,삭제,변경하거나 계정에 대해 액세스 권한 가짐
3. Guest 계정 - 사용자 계정이 없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계정
                암호로 보호된 파일, 폴더 등은 액세스할 수 없음, Guest 계정은 표준 사용자 계정의 한 종류
4. 임시 사용자 계정은 없음
[해설작성자 : 허니꾸꾸쎵2]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PC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든 설정을 변경하고 PC에 저장된 모든 파일 및 프로그램(앱)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나 이 pc의 보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인쇄가 전혀 되지 않는 경우에 취해야 할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할 프린터의 속성에서 [스풀 설정]을 확인한다.
   2. 프린터 전원이나 프린터 케이블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프린터의 이름이 변경되었거나 삭제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4. 설정된 프린터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스풀링(SPOOL. Simula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 : 저속의 출력장치인 프린터를 고속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병행 처리할 때, 컴퓨터 전체의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이다. 스풀링을 사용하면 문서 전체 또는 일부를 스풀한 다음 인쇄가 시작되도록 설정 가능하다. 스풀링은 인쇄할 내용을 먼저 저장장치(HDD, SDD)에 저장하고,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CPU의 여유 시간에 틈틈히 인쇄를 수행하기 때문에, 프린터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중이라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포그라운드(foreground) 작업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스풀링(Spooling)]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하에서 용량이 크고 신속한 액세스가 가능한 디스크(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 프로그램이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 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함으로써 입출력장치의 공유 및 상대적으로 느린 입출력장치의 처리속도를 보완하는 기법입니다.
고속의 CPU와 저속의 입출력장치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여 높은 효율로 여러작업을 동시 병행 작업할수 있게하여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켜 줍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프로그램 및 기능]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Windows 업데이트를 수행하거나 설치된 업데이트 내용을 제거, 변경할 수 있다.
   2. 시스템에 설치된 프로그램의 목록을 확인하거나 제거 또는 변경할 수 있다.
   3. 설치된 Windows의 기능을 사용하거나 사용 안 함을 지정할 수 있다.
   4.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프로그램 및 기능] 창에서는 어떤한 프로그램도 설치 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들 시험 붙으세요.]

[프로그램 및 기능] 창에서는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의 설치는, 해당 프로그램의 설치파일을 통하여 설치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라이브러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주 사용하는 폴더들을 하나씩 찾아다니지 않고 라이브러리에 등록하여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다.
   2. 라이브러리는 컴퓨터 여기 저기 흩어져 있는 자료를 한 곳에서 보고 정리할 수 있게 하는 가상의 폴더이다.
   3. 기본적으로 문서, 음악, 사진, 비디오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4. 하나의 라이브러리에는 최대 30개의 폴더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하나의 라이브러리에는 최대 50개의 폴더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호돌이]

[라이브러리(Library)]
사용자의 콘텐츠에 대한 가상 컨테이너(폴더)입니다.
로컬 컴퓨터 또는 원격 저장소 위치에 저장된 파일과 폴더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흩어져 있는 자료를 한곳에서 볼수 있도록 해주는 가상의 폴더로 실제 파일을 저장하고 있지 않고 저장된 폴더를 연결하여 보여줍니다.
기본 제공으로는 문서, 비디오, 사진, 음악, 저장된 사진, 카메라 앨범이 있으며 새로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9. 한글 Windows 7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서 '네트워크 설정 변경'과 가장 관련이 없는 항목은?
   
   1. 어댑터 설정 변경
   2.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
   3. 네트워크에 연결
   4. 홈 그룹 및 공유 옵션 선택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어댑터 설정 변경 :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Ethernet 드라이버의 상태 속성을 확인 및 변경하거나, 사용여부 설정, 네트워크 진단, 드라이버 이름 변경, 바로가기 생성 등의 기능을 수행 가능하다. 보통 인터넷 최적화를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공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린터, 프로그램, 문서, 비디오, 소리, 그림 등의 데이터를 모두 공유할 수 있다.
   2. 공유된 폴더는 여러 사람이 사용하므로, 바이러스 감염에 주의하여야 한다.
   3. 공유된 자원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Windows 탐색기 하단의 세부 정보 창에 공유 여부가 표시된다.
   4. 폴더명 뒤에 '$'가 붙어있는 폴더를 공유하거나 공유 이름 뒤에 '$'를 붙이면 네트워크의 다른 사용자가 공유 여부를 알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다른 사용자가 공유 여부를 모르게 할 때, 폴더나 드라이브의 공유 이름 뒤에 $표시를 한다.
[해설작성자 : 분명봤었는데]


3과목 : 컴퓨터 및 정보활용

41. 다음 중 데이터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니블(Nibble): 4개의 비트가 모여 1Nibble을 구성한다.
   2. 바이트(Byte):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로, 의미 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단위이다.
   3. 레코드(Record):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서 구성되는 자료 처리 단위이다.
   4. 파일(File):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로, 여러 레코드가 모여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바이트는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단위
[해설작성자 : 햄버거조아]

바이트(Byte):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이다. 8개의 bit가 모여 1개의 Byte가 구성된다.
bit(비트) < Byte(바이트 = 8bit) < KB(킬로바이트 = 1024Byte) < MB(메가바이트 = 1024KB) < GB(기가바이트 = 1024MB) < TB(테라바이트 = 1024GB) < PB(페타바이트 = 1024TB) < EB(엑사바이트 = 1024PB)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필드
[해설작성자 : 밈]

의미 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단위 -> 필드
[해설작성자 : 내생애최고의날]

*자료의 구성단위
-비트(Bit):자료(정보)표현의 최소 단위, 2진수 1자리
-니블(nibble):4개의 bit
-바이트(byte):8개의 bit,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워드(word):CPU가 한 번에 처리 할 수 있는 명령 단위, 컴퓨터에서 수행되는 연산의 기본 단위,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기본단위
-필드(Field):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 의미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레코드(record)
-파일(file):프로그램 구성의 기본단위, 업무 처리의 기본단위
-데이터베이스(database)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42. 다음 중 아날로그 컴퓨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출력 형태: 숫자, 문자
   2. 연산 형식: 미·적분 연산
   3. 구성 회로: 증폭 회로
   4. 적용성: 특수 목적용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날로그 컴퓨터 출력 형태 : 곡선, 그래프
[해설작성자 : 햄버거조아]

디지털 컴퓨터의 출력 형태 : 숫자, 문자
[해설작성자 : 7일 후 시험]

43. 다음 중 연산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수기: 2진수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2. 누산기: 연산된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3. 데이터 레지스터: 연산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태값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가산기: 2진수의 덧셈을 수행하는 회로
데이터 레지스터: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 연산중에 발생하는 여러가지 상태값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푸른 섬광]

보수기 : 뺄셈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인덱스 레지스터 : 주소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퇴근하고싶다]

[누산기(Accumulator) = AC , ACC]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 동작을 수행한 후 결과를 축적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장치입니다.
대표적인 연산 장치로 1주소 명령어를 처리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4.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2.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3.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
   4.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 컴퓨터와 인터넷을 물이나 공기처럼 이용할 수 있다는 뜻으로, 마크 와이저가 1988년 연구 논문에서 처음으로 소개한 개념이다. ‘유비쿼터스’는 ‘어디나 존재한다’는 라틴어에서 따온 말로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과 실재하는 물리공간의 결합을 말한다.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일종으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영어: wearable device)로 불리는 착용 컴퓨터는 안경, 시계, 의복 등과 같이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컴퓨터를 뜻한다.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 분산 병렬 컴퓨팅의 한 분야로서, 원거리 통신망(WAN)으로 연결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들을 하나로 묶어 가상의 대용량 고성능 컴퓨터를 구성하여 고도의 연산 작업 혹은 대용량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일컫는다.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초고속 네트워크(광통신)로 연결하여 계산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차세대 디지털 신경망 서비스를 말한다. 여러 컴퓨터를 가상으로 연결해서 공동으로 연산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며 분산 컴퓨팅이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45. 다음 중 CISC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령어의 종류가 많아 전력 소비가 많다.
   2. 명령어 설계가 어려워 고가이나, 레지스터를 적게 사용하므로 프로그램은 간단하다.
   3. 고급 언어에 각기 하나씩의 기계어를 대응시킴으로써 명령어의 집합이 커진다.
   4. 서버,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서버, 워크스테이션은 RISC
[해설작성자 : 햄버거조아]

서버, 워크스테이션은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컴퓨터의 실행속도를 높이기 위해 복잡한 처리는 소프트웨어에게 맡기는 방법을 채택하여, 명령세트를 축소 설계한 컴퓨터]를 주로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명령어가 많으며 여러 주소 지정 모드를 지원
- 프로그래밍이 용이하나 처리 속도가 느림
- 전력 소모가 많고 생산 가격이 비싸며 설계와 구현시 많은 시간이 필요RISC에 비하여 레지스터 수가 적습니다.
프로그래밍이 간단합니다.
- 80286, 80386, 80486, Pentium CPU 등의 일반 PC 프로세서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명령어 축약형 CPU- 주소 지정 모드와 명령어의 종류가 적음
- 프로그래밍이 어려우나 처리 속도가 빠름- 고성능의 위크스테이션이나 서버, 그래픽용 컴퓨터에서 사용프로그래밍이 복잡합니다.
CISC에 비하여 레지스터가 많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6.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캐시 메모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PU와 주기억장치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2.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3. 주기억장치에 접근할 때 주소대신 기억된 내용으로 접근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4. EEROM의 일종으로 중요한 정보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캐시메모리는 컴퓨터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위치해있다.

2번은 가상메모리,
3번은 연관메모리
[해설작성자 : 천재윤덩]

4번 플래시메모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컴퓨터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명령어의 처리속도를 CPU와 같도록 할 목적으로 주기억장치(DRAM동적 램)와 CPU 사이에서 사용되는 고속 기억장치입니다.
SRAM(정적램)을 사용하며 용량은 주기억장치(DRAM)보다 작지만 속도는 빠른 기억장치입니다.
캐시 메모리에는 자주 참조되는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시키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7. 다음 중 복잡한 여러 기종의 컴퓨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체제의 차이를 보완해 주고, 서버와 클라이언트들을 중간에서 연결해 주는 소프트웨어로 옳은 것은?
   
   1. 프리웨어(Freeware)
   2. 미들웨어(Middleware)
   3. 셰어웨어(Shareware)
   4. 내그웨어(Nagware)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프리웨어 : 무료로 배포되고, 사용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셰어웨어 : 일정기간 무료로 사용 가능 하나, 기간이 지나면 금액을 지불 해야하는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  복잡한 여러 기존의 컴퓨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체제의 차이를 보완 해주고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중간 역할 수행
[해설작성자 : 천재]

내그웨어 : 사용자에게 주기적으로 등록 요구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1일차]

48.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원 할당 및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 감시한다.
   2. 작업이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작업 순서와 방법을 관리한다.
   3.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파일의 표준적인 처리 및 전송을 관리한다.
   4. 사용자가 고급언어로 작성한 원시 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고급언어로 작성한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것은 컴파일러의 역할이다.
[해설작성자 : 모시모시도로시]

[제어 프로그램]
감시 : 프로그램의 실행과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 감시,감독
작업 관리 : 업무 처리후 다음 업무 이행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한 준비, 처리에 대한 완료 담당
데이터 관리 : 주기억 & 보조기억 장치의 자료 전송, 파일의 조작 및 처리, 입출력 자료와 프로그램간의 논리적 연결 등 시스템에서 취급하는 파일과 데이터를 표준적인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9. 다음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관련 기술은?
   
   1.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2. 테더링(Tethering)
   3. 블루투스(Bluetooth)
   4. 핫스팟(Hot Spot)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 스마트폰에 저장된 동영상을 모니터의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는 것
2. 테더링(Tethering) : 휴대폰을 모뎀으로 이용해 PC와 같은 외부기기가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
4. 핫스팟 : 무선으로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전파를 중계하는 무선랜 기지국,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구역
[해설작성자 : 시험 3시간 남음]

테더링 : 특정 기기의 인터넷 연결을 다른 기기와 공유하는 것
[해설작성자 : 박경영]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모바일 기기에서 고해상도 오디오와 비디오 콘텐츠를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TV, Monitor)로 전송하여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는 유선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HDMI를 통해 고해상도 화면과 ㅇ오디오 전송이 가능합니다.
전원 공급이 가능하여 영상을 공유하며 충전이 가능합니다.

[테더링(Tethering)]
휴대전화를 모뎀으로 활용하는 기능입니다.
휴대전화의 부가 기능으로 휴대전화 자체가 무선 모뎀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노트북이나 태블릿과 같은 전자 기기를 휴대전화에 연결하여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습니다.

[핫 스팟(Hot Spot)]
AP(Access Point : 무선 공유기) 주변의 통신이 가능한 구역으로 기지국에서 받은 신호를 WIFI로 중계역할을 하는 무선 랜 서비스를 말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를 활용하여 주변의 다른 기기에서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0. 다음 중 컴퓨터의 시스템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을 끌 경우에는 반드시 사용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먼저 종료한다.
   2. 컴퓨터를 이동하거나 부품을 교체할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작업한다.
   3.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면 먼저 HDD를 포맷하고 시스템을 재설치 한다.
   4. 최신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점검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시스템 이상 발생시 원인에 따라서 대처 방법이 다릅니다.
무조건 HDD를 포맷하게 되면 기존에 HDD에 저장된 모든 자료를 잃을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1. 다음 중 멀티미디어 파일 포맷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P3는 PCM 기법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사용하며 MPEG-3 규격의 압축 기술을 사용한다.
   2. ASF는 인터넷을 통해 오디오, 비디오 및 생방송 수신 등을 지원하는 통합 멀티미디어 형식이다.
   3. WMF는 Window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벡터 그래픽 파일 형식이다.
   4. DVI는 인텔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 기술이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MP3는 MPEG-1 Audio Layer-3 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MP3라고 합니다.
MPEG-3가 아닙니다.
낚시 문제로 자주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MPEG-3의 기술은 'HDTV' 방송을 위해 개발 되었지만 MPEG-2로 병합되었으며
MP3가 MPEG-3를 나타내는 약어가 아닙니다.

[MP3(MPEG Audio Layer3)]
고음질 오디오 압축의 표준 형식으로 프라운 호퍼사에서 개발하였습니다.
MPEG-1의 오디오 압축 기술만 분리한 것으로 음반 CD 수준의 음질을 유지하며 파일의 크기를 1/12 정도로 압축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음악 서비스에서 주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2. 하이퍼텍스트에 문자 이외의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연결해 놓은 형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하이퍼터미널(Hyperterminal)
   2.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3. 하이퍼콘텐츠(Hypercontents)
   4. 하이퍼콘텍스트(Hypercontext)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 문서, 그림, 애니메이션, 영상, 소리 등을 조합시킨 멀티미디어를 베이스로 하여 관련하는 데이터를 서로 결부시켜 컴퓨터와 대화하면서 원하는 데이터를 꺼낼 수 있도록 한 것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53. 다음 중 정보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광섬유 케이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역폭이 넓어 데이터의 전송률이 우수하다.
   2. 리피터의 설치 간격을 좁게 설계하여야 한다.
   3. 도청하기 어려워서 보안성이 우수하다.
   4. 다른 유선 전송 매체와 비교하여 정보 전달의 안전성이 우수하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2. 광 케이블은 리피터의 설치 간격이 넓어 가입자 회선으로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벼락치기]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
유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된 가느다란 광섬유를 여러 가닥 묶어서 케이블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 데이터를 빛으로 바꾸어 빛의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여 전송합니다.
가장 빠른 속도와 높은 주파수 대역폭, 대용량, 장거리 전송, 보안성이 좋음, 저손실, 무누화, 낮은 감쇠율, 높은 신뢰성 등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무유도 성질이므로 전자기적 잡음에 강합니다.
설치비용이 비싸고 광섬유간 연결이 어려워 설치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구성
코어 : 빛이 전파되는(통과하는) 영역으로 클래딩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습니다.
클래드(클래딩) : 코어보다 약간 낮은 굴절률을 갖으며 코어의 빛이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반사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재킷 : 습기, 마모, 파손 등의 위험 요소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부분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4. 인터넷 프로토콜 중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UDP
   2. ARP
   3. SNMP
   4. SMTP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 SNMP : 네트워크 상의 각 호스트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수정하여 장치의 동작을 변경
- UDP :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와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
- ARP : ip주소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mac 주소를 찾아줌
[해설작성자 : 천재]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인터넷 상에서 전자 메일을 전송할 때 쓰이는 표준적인 프로토콜. SMTP 프로토콜에 의해 전자 메일을 발신하는 서버(server)를 SMTP 서버라고 한다. 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을 전송해 주는 프로토콜로 인터넷에서 이메일을 교환할 때 그 과정을 정렬해준다._출처[네이버 지식백과]
[해설작성자 : 초밥을 좋아해]

문제 속에 답이 나와있습니다. '네트워크를 관리하며' -> 'Network Management'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해설작성자 : 필기합격하고 실기도 화이팅]

55.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의 감염 증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이유 없이 늦어진다.
   2. 사용 가능한 메모리 공간이 줄어드는 등 시스템 성능이 저하된다.
   3. 일정 시간 후에 화면 보호기가 작동된다.
   4. 예측이 불가능하게 컴퓨터가 재부팅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일정 시간 모니터에 전달되는 정보에 변화가 없을 때 화면 보호기가 작동된다.
[해설작성자 : 잠온다]

[화면 보호기(Screen Saver)]
CRT(음극선관 : 브라운관)모니터는 한 가지 화면을 장시간 표시하면 내부의 인광물질이 타버리는 현상(번인 :Burn-in) 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동화상이 재생되는 것입니다.
PDP 또는 OLED 디스플레이도 열화되어 얼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6. 다음 중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달의 흐름을 방해하여 가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 보안 위협 유형으로 옳은 것은?
   
   1. 가로막기(Interruption)
   2. 가로채기(Interception)
   3. 수정(Modification)
   4. 위조(Fabrication)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전달의 흐름을 방해라는 단어를 통하여 막는 행동임을 알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로막기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가로채기(Interception)]
송신측에서 수신지까지 전송되는 데이터를 도중에 도청하거나 몰래보는 행위로 정보를 유출하는 행위입니다.
기밀성을 저해합니다.

[수정(Modification)]
전송된 원래의 데이터를 다른 내용으로 수정하여 변조하는 행위로 무결성을 저해합니다.

[위조(Fabrication)]
마치 다른 송신자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된 것처럼 꾸미는 행위로 무결성을 저해함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7. 다음 중 인터넷 관련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몬(daemon)은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돌면서 주기적인 서비스 요청 등 여러 작업을 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2. 푸쉬(push)는 인터넷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지 않고 서버의 작용에 의해서 서버 상에 있는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자동 배포(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3. 미러 사이트(mirror site)는 인기 있는 웹 사이트의 경우 사이트의 부하를 분산하기 위해 2개 이상의 파일 서버로 똑같은 내용을 분산시켜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를 말한다.
   4. 핑거(finger)란 지정한 IP 주소 통신 장비의 통신망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규약으로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CMP)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번에 있는 설명은 핑(ping)에 대한 설명이다.
핑거(Finger)는 특정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명령이다.
[해설작성자 : 시험 3시간 남음]

[ping]
원격 컴퓨터가 현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정보의 작은 단위를 전송하여 응답시간을 확인해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해당 컴퓨터의 이름과 IP주소, 전송 신호의 손실 률 및 응답시간이 표시됩니다.

[핑거(Finger)]
WWW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현재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상대 컴퓨터가 로그인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마지막 접속 시간, 단말 장치, 전자 우편을 수신하였는지에 대하여도 알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8.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와 유포를 막고 저작권 보유자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PICS(Platform for Internet Contents Selection)
   2. DCRP(Digital Contents Rights Protection)
   3.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PICS : 웹 사이트 내용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근하도록 해주는 기반 구조
DCRP : 올바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CRM(고객관계관리) : 고객과 관련된 기업의 내외부 자료를 분석, 통합하여 고객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지원하며, 평가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59. 다음 중 아웃룩(Outlook)에서 메일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목에 특정 단어가 들어 있는 메일에 대해서만 자동으로 회신하게 설정할 수 있다.
   2. 특정인으로부터 수신된 메일을 원하는 폴더로 바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3. 제목에 특정 단어가 들어간 메일을 [정크 메일] 폴더에 보관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4. 특정인으로부터 메일을 받으면 소리가 나게 설정할 수있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제목에 특정 단어가 들어 있는 메일에 대해서만 자동으로 회신하게 설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국밥충]

60. 다음 중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정보처리자는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가 분실, 도난, 유출, 위조, 변조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기업은 개인정보보호를 시작하기 위해서 개인정보보호 전담자와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
   3. 개인정보보호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IT 부서 책임자나 최고보안책임자를 제외하고 경영자가 책임을 져야 한다.
   4. 개인정보보호는 개인정보 자기결정권이 철저히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차적인 책임자는 개인정보처리 담당자이며 IT 부서 책임자나 최고보안책임자도 책임자로 분류된다.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