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ㄱ ▶ 정답 ㄴ ▶ 간도에서 세금을 징수하자는 내부대신 김규홍의 건의에 따라 간도관리사를 파견했다 ㄷ ▶ 박제순은 이범윤을 소환하는 것에 대해 한청통상조약에 의거하여 소환을 요구했다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
다음 글의 ㉠~㉢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골라 알맞게 짝지은 것은?(순서대로 ㉠, ㉡, ㉢)
1.
A, B, C
2.
A, C, B
3.
B, A, C
4.
C, A, B
5.
C, B, A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ㄱ): 관습 = (C): 한국인이 받아들인다 (ㄴ): 도덕 관련 주제 =(A): "어려움에 처한 이웃을 도와주라"라는 주제 (ㄷ): 결정, 행위 = (B): 실제로 돕는 행위 [해설작성자 : 백점만점]
3.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1.
생성예술에서는 무작위적 우연이 개입되어 작품을 만들어간다.
2.
생성예술에서는 완성된 최종 결과물이 곧 작가의 창작의도이다.
3.
생성예술에서는 작품의 완성보다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창작활동의 핵심으로 이해된다.
4.
생성예술에서 작품요소가 선택되고 혼성ㆍ개선되는 과정 중간에 작가는 직접 개입하지 않는다.
5.
생성예술에서 작가가 시스템을 설계하면, 그 시스템은 생명체가 발생하고 진화하는 것처럼 스스로 작품을 조직해 나간다.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3문단 끝 내용 (2): 1문단,작품이란 완성된 최종 결과물이어야 한다는 전통예술에 저항!함.-틀린 보기 (3): 2문단, 완성보다 과정으로서의 창작에 더 관심. (4): 3문단, 시스템이 작동하면, 작품 스스로가 혼성 개선 되면서 만들어낸다.(작가개입 ㄴ) (5): (4)번과 동일. [해설작성자 : 백점만점]
4.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1.
정부는 가뭄의 위험을 이유로 이앙법의 보급을 최대한 저지하였다.
2.
견종법은 농종법에 비해 수확량은 많았지만 보다 많은 거름을 필요로 하였다.
3.
이앙법과 견종법 모두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제초에 드는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었다.
4.
농종법으로 농사를 지을 때에는 밭두둑이 필요하였지만, 견종법은 밭두둑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5.
이앙법은 종자를 절약할 수 있었지만, 견종법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종자의 소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5.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1.
기단의 도입에는 청동기 시대 전반에 걸친 기후 환경의 변화가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2.
기단의 높이나 넓이는 건물의 구조적 안정성보다는 그 건물의 가치와 위계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3.
한국 전통 건축에서 기단은 수직 기둥과 벽의 출현 등 가옥 구조 기술의 발달을 가져온 요소이다.
4.
좁은 의미의 기단은 우리나라 전통 건축에서 해충 및 습기 방지와 온돌 설치를 위해 도입되었다.
5.
우리나라 전통 건축에서 지붕보다 좁고 지면보다 높게 설치된 기단은 목조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정답 : [
5
] 정답률 : 알수없음
6.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1.
발열 증상은 수동적인 현상이지만 감염병의 회복에 도움을 준다.
2.
예방접종은 질병을 실제로 경험하게 하여 항체 생성을 자극한다.
3.
겸상 적혈구 유전자는 적혈구 모양을 도넛 모양으로 변화시켜 말라리아로부터 저항성을 가지게 한다.
4.
병원체의 항원이 바뀌면 이전에 형성된 항체가 존재하는 사람도 그 병원체가 일으키는 병에 걸릴 수 있다.
5.
어떤 질병이 유행한 적이 없는 집단에서는 그 질병에 저항력을 주는 유전자가 보존되는 방향으로 자연선택이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