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상태에서 1mol = 22.4L , 1m3 = 1000L 따라서, 기체 1m3는 → 1000 ÷22.4 = 44.6 (mol)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20.
다음 중 열전달계수의 단위는?
1.
kcal/h
2.
kcal/m2·h·℃
3.
kcal/m·h·℃
4.
kcal/℃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열량 2. 열전달 3. 열전도 4. 열용량 따라서, 열전달계수의 단위는 2번 kcal/m2h℃ 이 된다.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열 전도는 kacl/m h c 입니다. 받침이 없으니(더 작은수 1) 전달은 받침이 더 들어갔으니 (2) 라고 외우면 편해요 [해설작성자 : 석유화학소재공학과]
2과목 : 가스설비
21.
조정기 감압방식 중 2단 감압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공급압력이 안정하다.
2.
장치와 조작이 간단하다.
3.
배관의 지름이 가늘어도 된다.
4.
각 연소기구에 알맞은 압력으로 공급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장치와 조작이 복잡해진다.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22.
지하 도시가스 매설배관에 Mg과 같은 금속을 배관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방식하는 방법은?
1.
희생양극법
2.
외부전원법
3.
선택배류법
4.
강제배류법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희생양극법 : 양극 금속과 매설배관 등을 전선으로 연결하여 양극 금속과 매설배관 등 사이의 전지 작용에 의하여 전기적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외부전원법 : 양극은 매설배관 등이 설치되어 있는 토양이나 수중에 설치한 외부 전원용 전극에 접속하고, 음극은 매설배관 등에 접속시켜 전기적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배류법 : 매설배관 등의 전위가 주위의 타금속 구조물의 전위보다 높은 장소에서 매설배관 등과 주위의 타금속 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매설배관 등에 유칩된 누출 전류를 복귀시킴으로써 전기적 부식을 방지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뮥뮥뭉]
23.
고압가스 설비 내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긴급이송 설비에 의하여 이송되는 가스를 안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는?
1.
벤트스택
2.
플레어스택
3.
인터록기구
4.
긴급차단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벤스스택 : 가스를 내보낸다
플레어스택 : 가스를 연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울산 용용]
24.
도시가스시설에서 전기방식효과를 유지하기 위하여 빗물이나 이물질의 접촉으로 인한 절연의 효과가 상쇄되지 아니하도록 절연이음매 등을 사용하여 절연한다. 절연조치를 하는 장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교량횡단 배관의 양단
2.
배관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사이
3.
배관과 배관지지물사이
4.
타 시설물과 30cm 이상 이격되어 있는 배관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4. 타 시설물과 30cm 이상 이격되어 있는 경우는 제외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25.
원심 펌프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은 무엇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가?
1.
양정
2.
동력
3.
유량
4.
효율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원심 펌프를 병렬 연결 - 유량 원심 펌프를 직력 연결 - 양정(높이)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원심펌프 운전 특성 병렬운전: 양정일정, 유량증가 직렬운전: 양정증가, 유량일정 [해설작성자 : 대기업 퇴사자]
26.
저온장치에서 저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단열교축팽창
2.
등엔트로피팽창
3.
단열압축
4.
기체의 액화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팽창하면 온도가 낮아지고 압축하면 온도가 높아집니다 [해설작성자 : 뀨]
27.
두께 3mm, 내경 20mm, 강관에 내압이 2kgf/cm2일 때, 원주방향으로 강관에 작용하는 응력은 약 몇 kgf/cm2 인가?
<문제 해설> 안전운행 서류철에 포함할 사항 1. 고압가스 이동계획서 2. 고압가스 관련 자격증 3. 운전면허증 4. 탱크 테이블(용량환산표) 5. 차량운행일지 6. 차량등록증 7. 그밖에 필요한 서류 [해설작성자 : 나니]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도서출판 세화에서 나온 기출문제 책에서 *차량에 고정된 탱크 운행 시 반드시 휴대서류 1. 고압가스 이동계획서 2. 탱크 내압시험 성적서 3. 탱크 용량 환산표 4. 운전면허증 5. 차량운행일지 6. 그 밖에 필요한 서류라고 나와있는데 3번이 답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가스산업기사 도전]
[추가 오류 신고] 차량등록증을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라고 명시가 되어있습니다.
47.
이동식 부탄연소기와 관련된 사고가 액화석유가스 사고의 약 10%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연소기에 접합용기를 정확히 장착한 후 사용한다.
2.
과대한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잔가스 사용을 위해 용기를 가열하지 않는다.
4.
사용한 접합용기는 파손되지 않도록 조치한 후 버린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사용한 후 구멍을 내서 잔 가스를 배출한 후 버립니다. [해설작성자 : 잘생긴 김진혁]
48.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의 시설기준에 대한 안전사항으로 다음 ( ) 안에 들어갈 수치가 모두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 60cm, (㉡) 30cm, (㉢) 15cm, (㉣) 8m
2.
(㉠) 30cm, (㉡) 20cm, (㉢) 15cm, (㉣) 8m
3.
(㉠) 60cm, (㉡) 30cm, (㉢) 15cm, (㉣) 2m
4.
(㉠) 30cm, (㉡) 20cm, (㉢) 15cm, (㉣) 2m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ㄴ 은 30cm 맞습니다.
49.
독성가스 용기 운반 등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밸브가 돌출한 운반용기는 이동식 프로텍터 또는 보호구를 설치한다.
2.
충전용기를 차에 실을 때에는 넘어짐 등으로 인한 충격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3.
기준 이상의 고압가스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운반책임자가 동승하여야 한다.
4.
시·도지사가 지정한 장소에서 이륜차에 적재할 수 있는 충전용기는 충전량이 50kg 이하고 적재 수는 2개 이하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이동식 → 고정식 2. 넘어짐 및 충격의 방지조치를 해야한다 4. 충전량 20kg 이하 적재수는 2개 이하 [해설작성자 : 석유화학소재공학과]
산소와 함께 사용하는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서 압력조정기와 토치사이에 설치하는 안전장치는?
1.
역화방지기
2.
안전밸브
3.
파열판
4.
조정기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KGS FU431 2.8.5.1에서는 “산소와 함께 사용하는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는 가스가 역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압력조정기와 토치 사이에 역화방지장치를 설치하되, 배관이 분기되는 경우에는 그 분기되는 각각의 배관에 역화방지장치를 설치한다. 다만, 매니폴드(manifold)에 토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매니폴드 전단에 역화방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GSE citygas ljc]
55.
아세틸렌을 2.5MPa의 압력으로 압축할대 첨가하는 희석제가 아닌 것은?
1.
질소
2.
에틸렌
3.
메탄
4.
황화수소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아세틸렌을 압축하여 온도에 관계없이 2.5MPa의 압력으로 할 때는 질소, 메탄, 일산화탄소, 에틸렌 등의 희석제를 첨가 [해설작성자 : 뮥뮥뭉]
56.
LPG 충전기의 충전호스의 길이는 몇 m 이내로 하여야 하는가?
1.
2m
2.
3m
3.
5m
4.
8m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Kgs FP332, 2,4,4,3 충전기의 충전호스 길이는 5m 이내, 그 끝에 정전기제거 장치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GSE city gas ljc]
57.
염소 누출에 대비하여 보유하여야 하는 제독제가 아닌 것은?
1.
가성소다 수용액
2.
탄산소다 수용액
3.
암모니아 수용액
4.
소석회
정답 : [
3
] 정답률 : 65%
58.
가스설비가 오조작되거나 정상적인 제조를 할 수 없는 경우 자동적으로 원재료를 차단하는 장치는?
1.
인터록기구
2.
원료제어밸브
3.
가스누출기구
4.
내부반응 감시기구
정답 : [
1
] 정답률 : 71%
59.
도시가스 사업법에서 정한 가스 사용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내관
2.
본관
3.
연소기
4.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가스계량기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본관은 공급을 하는 공급시설입니다. [해설작성자 : JJ]
60.
도시가스 사용시설에서 입상관은 환기가 양호한 장소에 설치하며 입상관의 밸브는 바닥으로부터 몇 m 이내에 설치하는가?
<문제 해설> 속응도가 클때 적분동작이 좋은 결과를 얻는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4.
보상도선의 색깔이 갈색이며 매우 낮은 온도를 측정하기에 적당한 열전대 온도계는?
1.
PR 열전대
2.
IC 열전대
3.
CC 열전대
4.
CA 열전대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CC 열전대(T형:동-콘스탄탄) (+)극에 순구리(동),(-)극에 콘스탄탄을 사용한 열전대 열기전력이 크고 저항 및 온도계수가 작다. 수분에 의한 부식이 강하므로 저온 측정에 적합 비교적 저온의 실험용으로 주로 사용 측정범위는 -200~350℃(또는 -180~350℃)이다. [해설작성자 : 내연공]
65.
측정기의 감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감도가 좋으면 측정시간이 짧아진다.
2.
감도가 좋으면 측정범위가 넓어진다.
3.
감도가 좋으면 아주 작은 양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4.
측정량의 변화를 지시량의 변화로 나누어 준 값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감도가 좋으면 측정시간이 길어진다. 감도가 좋으면 측정범위가 좁아진다. 지시량의 변화를 측정량의 변화로 나누어 준 값이다. [해설작성자 : 감아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