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장소 분류 중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해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함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는?
1.
제0종 위험장소
2.
제1종 위험장소
3.
제2종 위험장소
4.
제3종 위험장소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0종 위험 장소 :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연속적으로, 장기간 또는 빈번하게 존재하는 장소 1종 위험 장소 : 정상작동 중에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주기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생성되기 쉬운 장소 2종 위험 장소 : 정상작동 중에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생성되어도 짧은 시간만 지속되는 경우. 3종 위험 장소 : 3종 위험장소는 '존재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체의 표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공기비(excess air ratio)는 연공비의 역수와 같다.
2.
당량비(equivalence ratio)는 실제의 연공비와 이론 연공비의 비로 정의된다.
3.
연공비(fuel air ratio)라 함은 가연 혼합기 중의 공기와 연료의 질량비로 정의된다.
4.
공연비(air fuel ratio)라 함은 가연 혼합기 중의 연료와 공기의 질량비로 정의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체의 표시 - 공기비 : 과잉공기계수라하며 실제공기량과 이론공기량의 비 - 연공비 : 가연혼합기중 연료와 공기의 질량비 - 공연비 : 가연혼합기 중 공기와 연료의 질량비 - 당량비 : 실제의 연공비와 이론연공비의 비 [해설작성자 : 땡보]
<문제 해설> 전실화재 방지대책 연소 초기에 소화 / 내장재를 불연, 준불연화 또는 방염처리 / 스프링클러 등 이용해 화재실 온도 낮춰 화원억제 / 가연물량 제한 개구부 크기조절/환기설비 설치 [해설작성자 : 땡보]
전실 화재의 방지대책으로 천장의 불연화,가연물량을 제한,화원을 억제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천가화]
32.
이상기체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내부에너지는 온도와 무관하여 체적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2.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따른다.
3.
분자의 충돌은 완전탄성체로 이루어진다.
4.
비열비는 온도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 [해설작성자 : 내부!!온도만의함수!!]
33.
상온, 상압하에서 가연성가스의 폭발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폭발범위가 클수록 위험하다.
2.
인화점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3.
연소속도가 클수록 위험하다.
4.
착화점이 높을수록 안전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합니다 인화점 : 착화원(점화원)에 의해 불이 붙는 온도인데 불이 붙을수 있는 온도가 낮을수록 위험하겠죠? [해설작성자 : 복도에빵이있죠]
34.
옥탄(g)의 연소 엔탈피는 반응물 중의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이 되었을 때 25℃에서 –48220 kJ/kg 이다. 이 상태에서 옥탄(g)의 저위발열량은 약 몇 kJ/kg 인가? (단, 25℃ 물의 증발엔탈피[hfg]는 2441.8 kJ/kg 이다.)
1.
40750
2.
42320
3.
44750
4.
45778
정답 : [
3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옥탄 C8H18의 완전 연소식 : C8H18 + 12.5 O2 -> 8 CO2 + 9 H2O 옥탄 1kg연소시 발생하는 수증기량 계산 114kg(옥탄의 분자량) : 9X8(생성된 물의 분자량) = 1kg : x kg x = 1.412 kg 저위발열량 계산 고위발열량 - (발생 수증기량 X 증발잠열) = 저위발열량 H_L =48220-(2441.8 X 1.421) =44750.202KJ/kg [해설작성자 : 땡보]
114kg(옥탄의 분자량) : 9X8(생성된 물의 분자량) = 1kg : x kg아니고 114kg(옥탄의 분자량) : 9X18(생성된 물의 분자량) = 1kg : x kg 임 [해설작성자 : 모스]
<문제 해설> 수소(H2)의 폭굉이 전하는 속도(폭굉속도)는 1400~3500m/s로 다른 가연성가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빠르다. [해설작성자 : 천가화]
40.
액체 프로판이 298K, 0.1MPa에서 이론공기를 이용하여 연소하고 있을 때 고발열량은 약 몇 MJ/kg인가? (단, 연료의 증발엔탈피는 370 kJ/kg이고, 기체상태의 생성엔탈피는 각각 C3H8 -103909 kJ/kmol, CO2 -393757 kJ/kmol 액체 및 기체상태 H2O는 각각 –286010 kJ/kmol, -241971 kJ/kmol 이다.)
위 해설이 괄호가 부족해 이해하기 어려워 보조 작성합니다 -103909 = (-393757 * 3)+(-286010 * 4) + Q
Q = {(393757*3)+(286010*4)-103909}/(44*1000) = 50.486 MJ/kg 단순하게 단위맞추기 위해서 44kg으로 나누고 MJ이므로 1000으로 또 나눈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해설작성자 : 땡보]
3과목 : 가스설비
41.
다음 그림에서 보여주는 관이음재의 명칭은?
1.
소켓
2.
니플
3.
부싱
4.
캡
정답 : [
2
] 정답률 : 80%
42.
결정 조직이 거칠은 것을 미세화하여 조직을 균일하게 하고 조직의 변형을 제거하기 위하여 균일하게 가열한 후 공기 중에서 냉각하는 열처리 방법은?
1.
퀀칭
2.
노말라이징
3.
어닐링
4.
템퍼링
정답 : [
2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열처리의 종류 및 목적] 담금질(quenching): 강도, 경도 증가 불림(normalizing) : 결정조직의 미세화 풀림(annealing) : 내부응력 제거, 조직의 연화 뜨임(tempering): 연성, 인장강도 부여, 내부응력 제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3.
고압가스 제조 장치의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온, 건조 상태의 염소가스에는 보통강을 사용한다.
2.
암모니아, 아세틸렌의 배관 재료에는 구리를 사용한다.
3.
저온에서 사용되는 비철금속 재료는 동, 니켈 강을 사용한다.
4.
암모니아 합성탑 내부의 재료에는 18-8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암모니아 배관 재료에 구리 사용시 부식 발생 [해설작성자 : .]
1. 상온 상압인 경우 건조 상태의 염소가스에는 탄소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암모니아와 구리가 만나면 부식이 발생하며, 아세틸렌과 구리가 반응하면 화합폭발의 우려가 있습니다 3. 동 니켈은 저온취성에 강하므로 보통 저온에서 사용합니다 4. 18-8 스테인리스 강은 암모니아 합성탑 내부 또는 상온상압 수증기가 포함된 탄산가스 배관에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땡보]
44.
가스 액화분리장치의 구성기기 중 왕복동식 팽창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압식 액체산소분리장치, 수소액화장치, 헬륨액화기 등에 사용된다.
2.
흡입압력은 저압에서 고압(20MPa)까지 범위가 넓다.
3.
팽창기의 효율은 85~90%로 높다.
4.
처리 가스량이 1000m3/h 이상의 대량이면 다기통이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 팽창비는 약 40정도로 크나 효율은 60-65% 정도로 낮은편이다. [해설작성자 : 빵철철딱매국꼬꼬아찌]
45.
자동정체식 조정기를 사용할 때의 장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잔류액이 거의 없어질 때까지 가스를 소비할 수 있다.
2.
전체 용기의 개수가 수동절체식보다 적게 소요된다.
3.
용기교환 주기를 길게 할 수 있다.
4.
일체형을 사용하면 다단 감압식보다 배관의 압력손실을 크게 해도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4. 일체형 -> 분리형 [해설작성자 : 데굴데굴]
46.
피스톤 행정용량 0.00248 m3, 회전수 175rpm의 압축기로 1시간에 토출구로 92kg/h의 가스가 통과하고 있을 때 가스의 토출효율은 약 몇 % 인가? (단, 토출가스 1kg을 흡입한 상태로 환산한 체적은 0.189 m3 이다.)
1.
66.8
2.
70.2
3.
76.8
4.
82.2
정답 : [
1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토출 가스량 = 효율(이론값 =1) * 행정용량 * 회전수 / 비체적(kg 당 부피로 위의 문제에서 주어진 0.189) 이다.) 따라서, 0.00248[m3]*175 [rpm]*[60분/1시간] / 0.189 (m3/kg) =137.778 (kg/h) 그런데 실제 토출량은 92 kg/h 이므로 답은 92/137.778 * 100% = 66.774 % 약 66.8 %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도시가스사업법에서 정의한 가스를 제조하여 배관을 통하여 공급하는 도시가스가 아닌 것은?
1.
석유가스
2.
나프타부생가스
3.
석탄가스
4.
바이오가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도시가스의 종류 : 천연가스(액화포함), 석유가스, 나프타부생, 바이오가스, 합성천연가스, 그밖에 메탄이 주성분인 가스로 도시가스 수급 안정과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을 위해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가스 [해설작성자 : 떙보]
48.
수소화염 또는 산소·아세틸렌 화염을 사용하는 시설 중 분기되는 각각의 배관에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장치는?
1.
역류방지장치
2.
역화방지장치
3.
긴급이송장치
4.
긴급차다장치
정답 : [
2
] 정답률 : 79%
49.
가스 액화 사이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클라우드식
2.
필립스식
3.
크라시우스식
4.
린데식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가스 액화는 단열 팽창방법(줄 -톰슨 효과)를 이용한다. 팽창기에 의한 방법으로는
클라우드(claude) = 팽창기에의한 단열교축 팽창 이용 필립스(philips) = 1개의 실린더에 2개의 피스톤이 있고 냉매는 수소, 헬륨을 이용 린데(linde) = 단열팽창(줄 - 톰슨)을 이용 그외 캐피자(kapitza) = 열교환기에 축랭기 사용, 공기압축압력 7 atm 캐스케이드 사이클 = 다원 액화 사이클 암모니아, 에틸렌, 메탄올을 냉매로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0.
왕복식 압축기의 연속적인 용량제어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바이패스 밸브에 의한 조정
2.
회전수를 변경하는 방법
3.
흡입 주밸브를 폐쇄하는 방법
4.
베인 컨트롤에 의한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베인 컨트롤에 의한 방법은 원심식 압축기의 용량제어 방법에 해당됨. [해설작성자 : 혁혁혁혁혁]
51.
적화식 버너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불완전연소가 되기 쉽다.
2.
고온을 얻기 힘들다.
3.
넓은 연소실이 필요하다.
4.
1차 공기를 취할 때 역화 우려가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적화식 버너의 특징
가스를 그대로 대기 중에 분출하여 연소, 필요한 산소는 불꽃 주변부의 대기에서 얻음. 불꽃은 길게 적황색을 형성하며 장점 : 완만한 연소반응, 역화의 염려가 적음,소음이 적고 공기조절이 필요없다.
단점 : 고온(약 900 ℃ 정도)을 얻기 어렵고, 불완전 연소의 가능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2.
도시가스 배관에서 가스 공급이 불량하게 되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관의 파손
2.
Terminal Box의 불량
3.
정압기의 고장 또는 능력부족
4.
배관 내의 물의 고임, 녹으로 인한 폐쇄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가스 공급 불량의 원인
1. 배관의 파손 2. 정압기의 고장, 능력부족 3. 배관내 이물질 생성으로 인한 막힘
터미널 박스는 단자함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단자함 : 전기방식시설의 전위 측정용 box [해설작성자 : 땡보]
53.
고압가스의 분출 시 정전기가 가장 발생하기 쉬운 경우는?
1.
다성분의 혼합가스인 경우
2.
가스의 분자량이 작은 경우
3.
가스가 건조해 있을 경우
4.
가스 중에 액체나 고체의 미립자가 섞여있는 경우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고체의 미립자가 섞여있는 경우 분출할때 마찰발생 -> 정전기 발생 [해설작성자 : 땡보]
단면적이 작은 개구부로부터 액체류,분체류(고체의 미립자) 등이 섞여 분출할 때 마찰에 의한 분출대전으로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다. [해설작성자 : 바회흡]
54.
1호당 1일 평균 가스 소비량이 1.44 kg/day 이고 소비자 호수가 50호 라면 피크시의 평균가스 소비량은? (단, 피크 시의 평균 가스 소비율은 17% 이다.)
1.
10.18 kg/h
2.
12.24 kg/h
3.
13.42 kg/h
4.
14.36 kg/h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피크 시 평균 가스 소비량(kg/h) =1일 1호당 평균 가스 소비량x피크 시 평균 가스 소비율 =1.44x50x0.17 =12.24kg/h [해설작성자 : 차화공]
55.
전기방식법 중 외부전원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압, 전류의 조정이 용이하다.
2.
전식에 대해서도 방식이 가능하다.
3.
효과범위가 넓다.
4.
다른 매설 금속체의 장해가 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다른 매설 금속체로의 장해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해설작성자 : 엘리프]
외부전원법 특징 장접 : 넓은 범위 / 관리 용이/ 전압,전류의 조성일정 / 전칙에 대해서도 방식 가능/ 장거리 배관에 전원장치가 적어도 됨 단점 : 초기설치비 비쌈 / 다른 매설 금속체로의 장해에 대해 검토 필요 / 전원 필요 / 과방식 우려 [해설작성자 : 땡보]
56.
고압가스 탱크의 수리를 위하여 내부가스를 배출하고 불활성가스로 치환하여 다시 공기로 치환하였다. 내부의 가스를 분석한 결과 탱크 안에서 용접작업을 해도 되는 경우는?
1.
산소 20%
2.
질소 85%
3.
수소 5%
4.
일산화탄소 4000ppm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작업할 수 있는 허용농도 1. 가연성가스 : 폭발하한의 0.25 이하 2. 독성가스 : 허용농도 이하 3. 산소가스 : 18% 이상 22% 이하 [해설작성자 : 한남대화공19]
2. 질소 85%경우 나머지를 산소로 치환한다고 해도 18~22%에 미달인 15%이므로 산소 부족으로 불가 3. 가연성 가스인 수소는 폭발하한값이 4%이므로 1/4농도인 1%이여야 함 4. 일산화탄소의 허용농도는 50 ppm [해설작성자 : 땡보]
1.산소 18~22% [해설작성자 : 바회흡]
57.
성능계수가 3.2인 냉동기가 10ton의 냉동을 위하여 공급하여야 할 동력은 약 몇 kW 인가?
일반도시가스공급시설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매 6개월에 1회 이상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압력조정기의 점검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입구압력을 측정하고 입구압력이 명판에 표시된 입구압력 범위 이내인지 여부
2.
격납상자 내부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격납상자의 견고한 고정 여부
3.
조정기의 몸체와 연결부의 가스누출 유무
4.
필터 또는 스트레이너의 청소 및 손상 유무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도시가스공급시설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매6개월에 1회 이상(필터 또는 스트레이너의 청소는 매 2년에 1회 이상) 다음 기준에 따라 안전점검을 실시한다. (1) 압력조정기의 정상 작동 유무 (2) 필터나 스트레이너의 청소 및 손상 유무 (3) 압력조정기의 몸체와 연결부의 가스누출 유무 (4) 도시가스공급시설에 설치된 압력조정기의 경우에는 출구압력을 측정하고 출구압력이 명판에 표시된 출구압력범위 이내로 공급 되는지 여부 (5) 격납상자 내부에 설치된 압력조정기는 격납상자의 견고한 고정 여부 (6) 건축물내부에 설치된 압력조정기의 경우는 가스방출구의 실외 안전장소에의 설치 여부
따라서 압력조정기의 입구압력이 아니라 출구 압력을 봐야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용기에 의한 액화석유가스 저장소의 저장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보관실 설치 시 저장설비는 용기집합식으로 하지 아니한다.
2.
용기보관실은 사무실과 구분하여 동일한 부지에 설치한다.
3.
실외저장소 설치 시 충전용기와 잔가스 용기의 보관장소는 1.5m 이상의 거리를 두어 구분하여 보관한다.
4.
실외저장소 설치 시 바닥으로부터 2m 이내의 배수시설이 있을 경우에는 방수재료로 이중으로 덮는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4. 실외저장소 설치 시 바닥으로부터 3m 이내의 배수시설이 있을 경우에는 방수재료로 이중으로 덮는다. [해설작성자 : 격조필]
78.
불화수소(HF) 가스를 물에 흡수시킨 물질을 저장하는 용기로 사용하기에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납용기
2.
유리용기
3.
강용기
4.
스테인리스용기
정답 : [
2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불화수소(HF) 는 유리를 녹입니다 [해설작성자 : 유리도 녹이는데]
79.
고압가스용 용접용기의 반타원체형 경판의 두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m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동체의 내경과 외경비
2.
강판 중앙단곡부의 내경과 경판둘레의 단곡부 내경비
3.
반타원체형 내면의 장축부와 단축부의 길이의 비
4.
경판 내경과 경판 장축부의 길이의 비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m : 반타원체형 내면의 장축부와 단축부의 길이의 비 [해설작성자 : 격조필]
80.
일반 용기의 도색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액화염소 - 갈색
2.
아세틸렌 - 황색
3.
액화탄산가스 - 회색
4.
액화암모니아 – 백색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의료용 회색 일반 청색 [해설작성자 : 1]
5과목 : 가스계측기기
81.
다음 중 측온 저항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Hg
2.
Ni
3.
Cu
4.
Pt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측온 저항체: 백금, 니켈, 동 [해설작성자 : 전북대화공19]
82.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의 검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불꽃이온화 검출기는 감도가 낮다.
2.
전자포획 검출기는 선형 감응범위가 아주 우수하다.
3.
열전도도 검출기는 유기 및 무기화학종에 모두 감응하고 용질이 파괴되지 않는다.
4.
불꽃광도 검출기는 모든 물질에 적용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불꽃이온화 검출기는 감도가 좋다. 2.전자포획 검출기는 선형 감응범위가 작다. 4.불꽃광도 검출기는 인,황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한다. [해설작성자 : 불수유리]
83.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가스미터는?
1.
막식가스미터
2.
루트미터
3.
습식가스미터
4.
오리피스미터
정답 : [
2
] 정답률 : 69%
84.
내경 70mm의 배관으로 어떤 양의 물을 보냈더니 배관 내 유속이 3m/s이었다. 같은 양의 물을 내경 50mm의 배관으로 보내면 배관 내 유속은 약 몇 m/s가 되는가?
1.
2.56
2.
3.67
3.
4.20
4.
5.88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Q= A*V Q는 유량 A 는단면적 V는 유속 Q는 모르니 X로놀고 내경70mm 경우 m로환산 0.07*0.07*3.14/4 = 는 단면적A 유속은 3 m/s 0.0038465 * 3= 0.0115395유량 이 나옵니다 마찬가지로 같은양의 물이라고 했으므로 0.0115395m3 / 0.0019625 = 5.88m/s [해설작성자 :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