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키 암호화 기법의 안전성은 키의 길이 및 키의 비밀성 유지 여부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암호화와 복호화 시 사용하는 키가 동일한 암호화 기법이다.
3.
알고리즘이 복잡하여 암호화나 복호화를 하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4.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많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공개키 암호화 기법 = 비대칭 암호화 기법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한다 데이터를 암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는 공개하고, 복호화 할 때의 키는 비밀로 한다 대표적으로 RSA가 있다 장점 :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적음 단점 : 암호화, 복호화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하고 파일 크기가 큼
비밀키 암호화 기법 = 대칭 암호화 기법OR 단일키 암호화 기법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한다 복호화 키를 아는 사람은 누구든지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으므로 복호화 키의 비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DES가 있다 장점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하고 파일 크기가 작음 단점 :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관리해야 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짐
[추가 해설] 비밀키암호화(ex. DES) 1. 속도가 빠르고 상대적으로 파일의 크기가 작다. 2. 사용자 수가 많아지면 관리해야 할 키의 크기가 많아진다.
공개키 (ex. RSA) 1. 처리속도가 비교적 느리고 용량이 크다. 2. 중앙집중형 [해설작성자 : 멀티미디어 전문가]
WAIS는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전문 주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들을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할 수 있게하는 서비스이다.
3.
Usenet은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4.
E-Commerce는 컴퓨터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usenet은 전자게시판의 일종으로 인터넷을 이용해 이야기를 나누는 공간이다. [해설작성자 : 김미미]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 접속하여 자신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Telnet 이다. [해설작성자 : 제인D]
1. Usenet: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의견을 주고받게끔하는 서비스 2. Telnet: 멀리 있는 컴퓨터도 이용가능하게함 3. IRC : chatting service 4. WAIS : 여기저기 흩어져있는 정보를 검색하게끔 [해설작성자 : 멀티미디어 전문가]
IRC : 인터넷 상에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서비스 [해설작성자 : 공기업합격가즈아]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 서버 방식 : 정보의 요청자 역할을 하는 클라이언트와 정보의 제공자 역할을 하는 서버로 이루어진 방식. 구조가 간단하고 구현이 쉬우며, 서버의 성능에 따라 네트워크의 성능이 좌우된다. [해설작성자 : 낼 셤 제발 합격해라!!!!]
P2P :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개인 대 개인 간의 파일 공유 기술 및 행위입니다. 동배간 처리 방식(Peer-To-Peer) : 모든 컴퓨터를 동등하게 연결하는 방식, 시스템에 소속된 컴퓨터들은 어느 것이든 서버가 될 수 있으며, 동시에 클라이언트도 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Lin여보♥]
4번: 한쪽에서는 정보를 전송, 한쪽에서는 정보를 수신하는 방식. ex) tv, 라디오 [해설작성자 : 123]
[네트워크운영방식] 2016/10/22 2016/03/05 ① 동배간처리방식(PEER-TO-PEER) ·컴-컴 동등하게 연결 ·각각 컴터 클라이언트인 동시에 서버가 될 수 O (<>클라이언트/서버방식) ·워크스테이션이나 pc를 단말기로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 多 사용 ② 클라이언트/서버방식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모두 처리 능력을 가지며, 분산처리 환경에 적합 ˙ 클라이언트(정보요청,제공받는자) / 서버(정보제공) ˙ 구조 간단, 구현 쉬움, 서버의 성능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좌우 ③ P2P 방식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개인 대 개인간의 파일 공유 기술 및 행위 [해설작성자 : 화욜합격자나야나]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PANs(Personal Area Networks)의 산업 표준이다.
2.
컴퓨터 주변기기에 다양한 규격의 커넥터들을 사용하는데 커넥터 간 호환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되었다.
3.
기존의 통신기기, 가전 및 사무실 기기들의 종류에 상관없이 하나의 표준 접속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4.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고속 디지털 전송 기술 중 하나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근거리 무선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신기술. 휴대 가능 장치들 간의 양방향 정보 전송 [해설작성자 : 똥둡]
*블루투스 (Bluetooth) : 1994년 에릭슨이 최초로 개발한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산업표준 [해설작성자 : 낼셤합격할구얏]
2번 USB : USB란? 기존의 직렬,병렬, PS/2포트 등을 통합시킨것 .주변장치 최대127개 까지연결 2번지문의 컴퓨터 '주변기기'에 다양한 규격의 커넥터(=연결포트)를 사용하기 위해 '커넥터간 호환되지않는 문제를 해결'하기위해만들었다는 설명으로보면 USB
4번 ADSL/VDSL 둘다가능 둘다 기존 전화선 사용 디지털전송기술임 차이점이라면 ADSL은 거리가 멀리까지 가능(농촌에서 쓴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하고 VDSL은 짧은거리 사용가능 (도심에서 사용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숭어]
IEEE1394 는 일단 직렬인터페이스이고 대량으로 고속 데이터통신(통신속도지원)을 위하여 애플사에서 개발한것. [해설작성자 : 숭어]
[관리자 입니다. 정답이 3번이라는 분들이 간혹 계십니다. 3번의 내용은 블루투스만 해당되는것이 아니고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모든 "표준 접속 규격"에는 모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내용 자체가 두리뭉실 하여 "표준 접속 규격에는" 거의 모두 해당되는 내용이므로 딱 블루투스에만 해당되는 내용은 아닙니다. 보기중 1번이 없었다면 3번이 답이라고도 볼수 있겠으나 블루투스에 관한 정확한 내용인 1번이 있었으므로 3번을 답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시험 문제의 정답으로 봤을 때 정답이 1번인 것은 맞으나 그렇다고 3번의 내용이 틀렸다고 볼 순 없습니다. 현 관리자 분의 관점은 "사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를 때 "씨가 있습니다"라는 보기가 있다면, 해당 보기는 수박도 씨가 있고 딸기도 씨가 있는 등 보편적으로 생각되는 모든 과일에 대한 설명이므로 틀린 보기로 봐야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논리는 해당 예시만 봐도 명확하게 잘 못되었다는 것 입니다.(사과에 씨가 있다는 것은 명확하므로) 3번 설명은 거의 모든 표준 접속 규격에는 해당되는 것은 맞으나 그렇다고 블루투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내용 또한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
[관리자 입니다.
사족을 달자면 내일시험님 이야기가 틀렸다는건 아닙니다.
다만 내일시험님 논리라면 2번도 맞는 말입니다.
블루투스는 다양한 커넥터 및 표준들이 존재하여 불편함이 있어서 하나의 블루투스라는 무선 근거리 표준 규격을 제정한것이기 때문입니다.
4번 보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블루투스에 해당할수 있는 빌미를 제공하고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확정 답안은 1번으로 발표되었고 추후 변경된 내용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정답 선택은 본인 자유입니다.
참고로 말씀 드리면 시험문제에서 옳은 것을 고르라고 할때는 가장 옳은 것을 옳지 않은 것을 고르라고 할때 가장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추가적인 이의제기는 자유게시판으로 부탁 드립니다. 토론이 끝나면 링크는 해설란에 남겨 드리겠습니다. 해설란이 자꾸 길어지면 보기가 안 좋습니다.]
<문제 해설> 저작재산권(=지적재산권, 지식재산권)의 제한사항이라는 말은 저작권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입니다. 1~3. 까지는 공정이용이나 방송사업자의 예외적인 권리로써 저작재산권이 제한되어 저작권자는 이를 보호 받을 수 없습니다. 4.의 경우 도서관 등 모든 공공 기관에 보관된 자료라고 할 지라도 이를 복제하는 저작권으로 보호 받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법학과 공시생]
4. 국가의 모든 공공기관이 아닌 대통령령으로 지정된 공공 기관에서 보관된 자료가 복제가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똥줄]
다음은 저작재산권이 제한되는 사항입니다. (저작권으로 보호X) 1. 학교 교육 목적에 이용 2. 시사보도에 이용 3. 시험문제로서 복제 4. 시각장애인 점자 복제 5. 방송사업자 일시적 녹화, 녹음 6. 재판절차에 이용 [해설작성자 : 엔시티드림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다음 중 Windows 7의 [시스템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Windows가 제대로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식별하도록 도와주는 고급 도구이며 문제를 찾아 격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2.
시작 모드 중 ‘선택 모드’는 기본 장치 및 서비스로만 Windows를 시작하여 발생된 문제를 진단하는데 유용하다.
3.
한 번에 하나씩 공용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끈 상태에서 Windows를 시작한 다음 다시 켤 수 있으므로, 서비스를 끌 때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켤 때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서비스가 문제의 원인 임을 알 수 있다.
4.
부팅 옵션 중 ‘안전 부팅’의 ‘최소 설치’를 선택하면 중요한 시스템 서비스만 실행되는 안전 모드로 Windows를 시작하며, 네트워킹은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기본 장치 및 서비스로만 Windows를 시작하는 모드는 진단모드입니다. [해설작성자 : 또떨어지면운다]
[시스템 구성]-[일반] 탭에서는 시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정상모드, 진단모드, 선택모드의 세가지가 있습니다. 진단모드: 기본 장치 및 서비스만 로드하여 문제 진단. 선택모드: 시스템 서비스 및 시작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설정 또는 해제하여 컴퓨터 재부팅 시 문제 발생여부를 확인 가능함. [해설작성자 : 피곤해]
다음 중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중앙처리장치를 설치하여 주기억장치나 주변장치들을 공유하고, 신뢰성과 연산능력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은?
1.
시분할 처리 시스템(Time Sharing System)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Multi-Programming System)
3.
듀플렉스 시스템(Duplex System)
4.
다중 처리 시스템(Multi-Processing System)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시분할 처리 시스템 - 여러 사용자가 단일 컴퓨터 시스템을 동시에 사용가능(1대의 컴퓨터에서 CPU의 처리시간을 사용자단위로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수있도록 함) 2.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 한대의 CPU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3. 듀플렉스 시스템 - 컴퓨터를 2대 설치하여 1대는 사용하고 1대는 예비기로 두어 1대가 고장나면 단시간에 예비기로 전환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이계진!!]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하나의 CPU로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기법 다중 처리 시스템-두개이상의 CPU로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어렵다]
[관리자 입니다. 듀얼시스템과 듀플렉스 시스템을 잘못 알고 오류 신고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적어 둡니다.
듀얼 시스템 : 2개의 CPU를 동시에 가동하여 같은 업무를 동시에 처리는 하는 방식 듀플렉스 시스템 : 2개의 CPU중 1개만 사용하고 한개의 CPU는 고장에 대비하여 예비로 남겨두는 방식 (위 내용들의 CPU는 컴퓨터로 대체 될수도 있습니다.)
<문제 해설> IDE(INTELLIGENT DRIVE ELECTRONICS) 의 경우 저가, 연결장치 수가 2개로 한정되며 용량은 최대 "528MB" 까지 사용 가능함. SCSI 는 7개~15개의 장치연결 가능, 별도의 컨트롤러가 필요하며 이 컨트롤러에 프로세서가 장치된다. RAID 는 여러 드라이브의 집합을 하나의 저장 장치처럼 취급. 각각 독립적이며 대용량 저장 장치 구축 가능. (스트리핑 방식, 미러링 방식, 패리티 방식) [해설작성자 : HJM]
EIDE는 500MB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최대 4개(주변장치 포함)까지 연결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21 chorok]
EIDE는 일반적으로 PATA를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유동균 컴활 ]
EIDE는 일반적으로 PATA를 의미한다 >에이드는 파스타랑 먹어야 제맛이지 라고 외웁시다 [해설작성자 : 컴활이기본자격증이라니실화냐]
다음 중 아래와 같이 워크시트에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보기의 수식과 그 결과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ID(A5,SEARCHB(A1,A5)+5,3) → ‘설악산’
2.
=REPLACE(A5,SEARCHB("한",A2),5,"") → ‘설악산’
3.
=MID(A2,SEARCHB(A4,A3),2) → ‘민국’
4.
=REPLACE(A3,SEARCHB(A4,A3),2,"명세서") → ‘분기 명세서’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SEARCHB(A4,A3)의 결과는 6이 나옵니다. 4가 아닙니다.
이때 함수명을 잘 봐야 합니다. SEARCHB와 SEARCH 함수는 다른 함수 입니다.
단순 SEARCH 함수 였다면 4가 될수 있는지만 문제에서는 SEARCHB를 사용하였으므로 아래와 같이 결과는 6이 됩니다.
지금 문제에 있는 함수는 SEARCH"B" 함수는 Byte 크기 기준으로 문자를 찾아서 그 위치를 알려 주는 것입니다.
그 뜻은 A4번셀 값 "수익"을 A3번셀에서 찾아서 그 위치를 알려 주는 것으로 한글 1자는 2칸(바이트)로 인식하고 띄어쓰기 공백은 1칸(1바이트)로 인식하므로 수익이라는 글자는 6번째부터 있다고 알려주게 된다.(4가 아님) 따라서 =REPLACE(A3,6,2,"명세서")과 동일한 식이 된다.
REPLACE함수는 문자를 바꿔주는 함수로 A3셀에서 6번재 칸부터 2글자를 "명세서"로 바꾸어 달라는 뜻입니다.
이때 REPLACE함수는 B가 붙어 있지 않으므로 한글,영어,띄어쓰기 공백등은 모두 1칸으로 처리 합니다.
6번째 칸은 결국 "분기 수익"의 맨 마지막칸이 됩니다. ==> "분기 수익" : 총 5글자로 인식 따라서 "분기 수익" + "명세서"가 되므로 정답은 "분기 수익명세서"가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번 : 공백을 문자열이 있는 셀에 SEARCHB() 함수로 찾으면 1을 반환합니다.
MID(A5, SEARCHB(A1,A5)+5,3) MID(A5, 1+5, 3) MID("아름다운 설악산", 6, 3) 6번째 글자인 "설" 부터 3개의 글자를 반환 설악산 [해설작성자 : dev]
조건에 맞는지 검사할 부분에 여러 열에 걸쳐 넣으려면 첫번 째 열이 조건에 맞는지 검사할 부분이어야 한다 이 경우 =SUMIF(B2:C15, E2, C2:C15)라고 할 수 있음. =SUMIF(B1:C15, E2, C1:C15)도 같은 결과.
보기 4번에 계산하고자 하는 영역에 C1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오류. C2부터 시작했다면 4번도 옳은 결과가 나옴. 문제 꼼꼼히 보시길 [해설작성자 : 컴활독학세달째]
+추가 DSUM은 SUMIF와 같은 맥락을 가진 함수. =DSUM(셀 범위, 열 번호, 조건) -> DSUM(A1:C15,3,E1:E2)는 A1:C15에서 C1(열번호 3)에서 E1:E2를 만족하는 숫자의 합계. DSUM에서 두번째 칸은 열 번호이므로 3이나 C1이나 똑같다. [해설작성자 : 우현]
4. SUMIF 함수에서 조건이 적용될 범위를 여러 열로 구성된 범위를 지정하면(ex.A1:C15) 범위의 첫 번째 열에(ex. A열) 조건을 적용합니다. 계산하고자 하는 영역에 C1이 포함됐든 아니든 상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일주일안에딴다]
DSUM(데이터베이스함수) SUMIF(일반함수) 데이터베이스함수는 맨위 셀을 포함하지만 일반함수는 맨위 셀을 포함하지 않는다. 4번은 일반함수에 맨위 셀인 A1셀부터 범위를 지정했기 때문에 틀린답이 된다! 위에 설명 쉽게 풀어봤습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3일전]
이거는 제가 어디서 봤었는데 외우기 쉬운... 좀 상스런 방법이 있어요 DSUM의 "D"는 "대가리"의 "D"라 첫번째 열, 즉 맨위 셀을 포함해야하지만 SUMIF에는 "D"가 없기때문에 맨위 셀을 포함시키지 않는다. 확실히 외워지더라고요 ㅋㅋㅋ [해설작성자 : 인턴 중 컴활 개꿀]
[관리자 입니다. D를 '대가리'라고 부르는거 제가 그렇게 가르치는데.. 저 말고도 그런분이 또 게신가 보네요. 사람은 머리라고 부르지만 동물들은 머리라고 부르지 않고 '대가리'라고 부릅니다. 동물에게 쓰는건 비속어가 아니라서 해설로 승인하여 드렸습니다. 참고하세요.]
아래 워크시트의 [C3:C15] 영역을 이용하여 출신지역별로 인원수를 [G3:G7] 영역에 계산하려고 한다. 다음 중 [G3]셀에 수식을 작성한 뒤 채우기 핸들을 사용하여 [G7]셀까지 수식 복사를 할 경우 [G3]셀에 입력할 수식으로 옳은 것은?(오피스 2007 기준 문제)
1.
=SUM(IF($C$3:$C$15=LEFT(F3,2),1,0))
2.
{=SUM(IF($C$3:$C$15=LEFT(F3,2),1,0))}
3.
=SUM(IF($C$3:$C$15=LEFT(F3,2),1,1))
4.
{=SUM(IF($C$3:$C$15=LEFT(F3,2),1,1))}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SUM(IF($C$3:$C$15)=(LEFT(F3,2)),1,0))} ($C$3:$C$15)범위에서 Left(f3,2)->(**지역 중에서 **에 해당하는 부분)이 같은 조건에 부합하면 1 아니면 0으로 반환 = if($C$3:$C$15=left(f3,2),1,0) <-조건이 참이면 1을 반환 거짓이면 0 반환 반환된 값의 합계를 구함 =sum(if($C$3:$C$15=left(f3,2),1,0)) 채우기 핸들을 사용하여 수식 복사 =배열 수식 적용 (Ctrl+Shift+Enter) [해설작성자 : 지잡대생]
배열 수식에 대해 조금 더 해설합니다. 보기 1번이 아닌 2번이 정답인데도, 실제 엑셀에 적용해보면 엑셀의 버전이 높은 경우 1번 수식을 입력하여도 문제와 같은 답을 도출합니다. 그것은 엑셀 버전이 높아짐에따라 채우기 핸들 사용시 ctrl+shift+enter라는 과정 없이도 배열수식이 적용되도록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엑셀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수식에 자동적으로 배열수식이 적용된 것일뿐 실제로는 {}가 포함된 식이 되어야 합니다. (다만 버전이 높은 경우 따로 수식에 이러한 {}가 보이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채우기 핸들을 사용하였을 때 배열수식이 적용되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2007버전의 엑셀에서는 해당 수식이 배열수식이 아닌 경우 적용이 되지 않고 오류값이 나옵니다. 버전이 높아져 바뀐 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곽철아니가엑셀을]
틀 고정은 특정 행 또는 열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주로 표의 제목 행 또는 제목 열을 고정한 후 작업할 때 유용하다.
2.
선택된 셀의 왼쪽 열과 바로 위의 행이 고정된다.
3.
틀 고정 구분선을 마우스로 잡아끌어 틀 고정 구분선을 이동시킬 수 있다.
4.
틀 고정 방법으로 첫 행 고정을 실행하면 선택된 셀의 위치와 상관없이 첫 행이 고정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틀 고정은 구분선을 이동시킬수 없습니다.
틀 고정 특징 *데이터의 양이 많은 경우, 특정한 범위의 열 또는 행을 고정시켜 셀 포인터의 이동과 상관없이 화면에 항상 표시할 경우 사용함 *화면에 표시되는 틀 고정 형태는 인쇄 시 적용되지 않음 *틀 고정을 수행하면 셀 포인터의 왼쪽과 위쪽으로 고정선이 표시됨. *틀 고정 구분선은 마우스로 위치를 조정할수 없음. [해설작성자 : KTY961016]
다음 중 VBA에서 프로시저, 형식, 데이터 선언과 정의 등의 선언 집단을 의미하는 것은?
1.
매크로
2.
모듈
3.
이벤트
4.
폼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매크로 : 반복적인 작업수행을 사용자가 하나의 명령어로 저장해 신속한 처리를 가능하도록 한것 모듈 : VBA의 선언문과 프로시저의 집합 이벤트 : 프로그램 사용중에 일어나는 사건 폼 : 데이터의 입력,수정,삭제,조회들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 [해설작성자 : 컴단박]
2. 모듈 - 프로시저, 형식, 데이터 선언과 정의 등의 선언 집단을 의미함. [해설작성자 : 그린컴퓨터아트학원_천안_Kaffa ☎041.566.1711]
<문제 해설> 3.레코드를추가하는 단축키는 <Ctrl>+<+>이다. 4.삭제된 레코드는 복원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컴활재수8ㅅ8]
1. 마지막 레코드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레코드/추가삭제 1.레코드 추가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것으로, 항상 마지막에 추가된다. -레코드를 추가할 때는 지정된 필드 속성에 맞게 데이터를 입력해야한다. -특정 필드나 레코드 선택기를 클릭한 후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도록 커서가 마지막에 있는 빈 레코드로 이동한다 리본메뉴이용: [홈]-[레코드]-[새로만들기]를 클릭 바로가기메뉴이용: [새 레코드]를 선택함 키이용: Ctrl키와 +키를 같이 누름 탐색단추 이용
2.레코드 삭제 -여러 레코드를 한꺼번에 삭제하려면 레코드 선택기를 드래그하여 여러 개의 레코드를 선택한 후 수행한다. -레코드를 삭제하면 삭제 여부를 묻는 대화상자가 표시되며, <예>를 클릭하면 삭제 된다. -삭제된 레코드는 복원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옥히]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를 이용하여 기존 테이블에 내용을 추가하려는 경우 기본 키에 해당하는 필드의 값들이 고유한 값이 되도록 데이터를 수정하며 가져올 수 있다.
2.
하나 이상의 Excel 워크시트에 있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Access의 새 테이블이나 기존 테이블에 데이터 복사본으로 만들 수 있다.
3.
Access에서는 가져오려는 데이터 원본에 255개가 넘는 필드(열)가 있으면 처음 255개 필드만 가져온다.
4.
Excel 데이터는 가져오기 명령으로 한 번에 하나의 워크시트만 가져올 수 있으므로 여러 워크시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려면 각 워크시트에 대해 가져오기 명령을 반복해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텍스트 가져오기 마법사]는 가져오는 도중에 데이터를 수정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YC 120714] [테이블 가져오기 마법사]는 기본키를 지정하는 기능이 없다. 기본키를 지정하려는 경우 [새테이블로 추가]일 경우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3일뒤]
분할 표시 폼은 데이터시트 보기와 폼 보기를 동시에 표시하기 기능이며, 이 두 보기는 같은 데이터 원본에 연결되어 있어 항상 상호 동기화된다.
3.
분할 표시 폼을 만든 후에는 컨트롤의 크기 조정은 할 수 없으나, 새로운 필드의 추가는 가능하다.
4.
폼 속성 창의 ‘분할 표시 폼 방향’ 항목을 이용하여 폼의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등 데이터시트가 표시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폼 분할 1)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단에는 열 형식으로, 하단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2개의 폼이 한 화면에 작성됨 2) 폼을 만들면 기본적으로 레이아웃 보기 형태로 표시되므로 컨트롤 크기의 조정 및 이동, 필드 추가가 가능함 3) 두 형식은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사용하므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항상 동기화 됨 [해설작성자 : 정은이 화이팅]
분할 표시 폼은 데이터시트보기와 폼 보기를 동시에 표시하기 기능이며, 이 두 보기는 항상 상호 동기화! 분할 표시 폼 만든 후 컨트롤의 크기 조정 가능! 데이터 원본 변경은 폼보기와 데이터시트보기 둘 다 가능! 단, 레이아웃보기에서는 데이터 변경xxx [해설작성자 : 붙을때됬다이가]
다음 중 폼 만들기 도구로 빈 양식의 폼에서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 상자, 레이블, 단추 등의 필요한 컨트롤들을 삽입하여 작성해야 하는 것은?
1.
폼
2.
폼 분할
3.
여러 항목
4.
폼 디자인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2. 폼 분할: 위에는 데이터 시트를 보는 폼을 만들고 아래에는 데이터시트에서 선택한 레코드에 관한 정보를 주는 폼을 만든다. 3. 여러 항목: 행마다 레코드가 하나인 데이터시트에 여러 레코드를 표시하는 폼을 만든다. 4. 폼 디자인 : 빈 양식의 폼에서 사용자가 직접 텍스트 상자, 레이블, 단추 등의 필요한 컨트롤들을 삽입하여 작성한다. [해설작성자 : 호앤슬♥]
1. 폼 : 열 형식의 폼이 작성되며, 관계가 설정된 테이블이 있을 경우 하단에 데이터시트 보기 형태로 표시됨 2. 폼 분할 : 하나의 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단에는 열 형식으로, 하단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2개의 폼이 한 화면에 작성됨 3. 여러 항목 : 테이블 형식의 폼이 작성됨. [해설작성자 : 3일만에 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