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동배간처리(Peer-To-Peer)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와 컴퓨터가 동등하게 연결되는 방식이다.
2.
각각의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인 동시에 서버가 될 수 있다.
3.
워크스테이션이나 PC를 단말기로 사용하는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 많이 사용된다.
4.
유지보수가 쉽고 데이터의 보안이 우수하며 주로 데이터의 양이 많을 때 사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동배간 처리방식은 각각의 컴퓨터가 클라이언트인 동시에 서버가 될 수있는 방식이며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에 비해 유지보수 및 데이터의 보안유지가 어렵다. [해설작성자 : 힘내세요]
유지보수가 쉽고 데이터의 보안이 우수하며 주로 데이터의 양이 많을 때 사용-> 중앙 집중 방식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cf)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 전송할 데이터의 양과 회선 사용시간이 많을 때 효율적 -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를 1:1 독립적으로 연결하여 언제든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 [해설작성자 : 한번에 붙어버리자!]
멀티미디어는 비선형성의 특징을 가집니다.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됩니다. [해설작성자 : 컴활붙여줭]
*멀티 미디어의 특징* - 디지털화 : 아날로그 데이터 ->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통합 처리 - 쌍방향성 : 정보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의견을 통한 상호 작용에 의해 데이터가 전달 - *비선형성* :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처리 - 정보의 통합성 : 여러 미디어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를 통합하여 처리 [해설작성자 : 다들 한번에 붙으세요!^0^]
다음 중 컴퓨터의 그래픽 데이터 표현에 사용되는 벡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미지를 화소(pixel)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2.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그린다.
3.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도 계단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4.
파일 형식은 WMF, AI 등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이미지를 화소(pixel)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비트맵(Bitmap)방식은 테두리가 거칠게 표현 되고 사실적인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다. BMP, GIF, JPEG 등의 형식이있다. 벡터(Vector) 방식은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가 매끄럽게 표현된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합격좀ㅠㅠ]
* 벡터 표현 방식 - 점과 점을 연결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 이미지를 확대해도 테두리가 거칠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표현된다. - 단순한 도형과 같은 개체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 파일 형식에는 DXF, AI, WMF 등이 있다.
* 비트맵 표현 방식 - 이미지를 화소(pixel)의 집합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 이미지를 확대하며 테두리가 계단 현상이 된다. -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므로 사진과 같은 사실적인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다. - 벡터 방식에 비해 많은 메모리를 차지한다. - 파일 형식에는 BMP, TIF, GIF, JPEG, PCX, PNG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주세요 ㅠㅠㅠ]
다음 중 소프트웨어의 저작권에 따른 분류에서 데모버전과 가장 유사한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1.
프리웨어(Freeware)
2.
셰어웨어(Shareware)
3.
포스트카드웨어(Postcardware)
4.
상용 소프트웨어(Commercial Software)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셰어웨어] 제조사들이 정품 구매를 확대하기 위해 공급하는 일종의 샘플로,일정기간 사용한 뒤에는 대금을 지불하고 정식사용자로 등록해야 한다. [데모버전]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전에 사용자가 실험적으로 써보고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가 공짜로 나눠주는 프로그램.
둘다 정식프로그램 구입전 이용해볼 수 있는 체험판으로써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이요 ]
*포스트카드웨어 : 사용자가 소프트웨어 제공자에게 대가 지불의 한 형태로서 우편엽서 한 장만을 보내기만 하면 되는 프리웨어 [해설작성자 : 붙어보자구]
[상용 소프트웨어] 상업적 목적으로나,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합격소취]
IEEE 802.11 기술 규격의 브랜드명으로 wireless fidelity의 약어이다.
2.
무선 신호를 전달하는 AP(access point)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와 AP 없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애드혹(ad hoc) 모드가 있다.
3.
유선랜을 무선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거리에 제한이 없고 전송속도가 3G 이동통신에 비해 느리며 전송비용이 고가이다.
4.
IEEE 802.11b 규격은 최대 11Mbps, IEEE 802.11g 규격은 최대 54M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3. 유선랜을 무선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 거리에 제한이 있고 전송속도가 3G 이동통신에 비해 빠르며 전송비용이 저가이다. [해설작성자 : 청린]
확정답안은 3번으로 발표되었으며 이후 논란이 되고 있는 문제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해설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Wi-Fi의 구체적인 명칭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wireless fidelity는 아니라고 밝힘(http://boingboing.net/2005/11/08/wifi-isnt-short-for.html) 3. 무선화한 것이므로 사용거리에 제한이 있고, 규격에 따라 3G에 비해 빠르며 전송비용이 저가이다. [해설작성자 : 문제가 틀림]
다음 중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인 ‘Tracert’의 실행 결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P 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 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2.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해당 서버가 문제인지 인터넷 망이 문제인지 확인할 수 있다.
3.
인터넷 속도가 느릴 때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4.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Netstat=다른 컴퓨터의 IP 주 소 및 포트 정보를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컴활58]
Tracert는 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이다. 인터넷 서버까지의 경로를 추적 IP주소, 목적지까지 거치는 경로의 수 각 구간사이의 데이터 왕복 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사이트가 열리지 않을 때, 어는 구간이 정체를 일으키는지, 어느 구간에서 정체를 일으키는지 확인 Netstat- 현재 자신의 컴퓨터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의 IP주소 및 포트 정보를 볼 수 있다.-> 바이러스나 해킹 여부를 진단 고퍼- 검색 WAIS-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 검색 [해설작성자 : 얀]
다음 중 Windows 7의 [메모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텍스트 파일이나 웹 페이지를 편집하는 간단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2.
[이동] 명령으로 원하는 줄 번호를 입력하여 문서의 특정 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자동 줄 바꿈이 설정된 경우에도 이동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3.
특정 문자나 단어를 찾아서 바꾸거나, 창 크기에 맞추어 텍스트 줄을 바꾸어 문서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4.
머리글과 바닥글을 설정하여 문서의 위쪽과 아래쪽 여백에 원하는 텍스트를 표시하여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편집]탭에 [이동] 명령으로 특정 줄로 이동할 수 있지만, 자동 줄 바꿈을 설정한 경우 [이동]명령을 사용할 수 없게됩니다.
3. 특정문자나 단어를 찾아 바꾸기 : [편집]-[바꾸기] 창 크기에 맞추어 텍스트 줄 바꾸기 : [서식]-[자동 줄 바꿈] 4. 머리글, 바닥글 : [파일]-[페이지 설정] [해설작성자 : 위크]
메모장 특별한서식이 필요없는 간단한텍스트 아스키형 텍스트형식의 문서만 열거나 저장할수 있으며 문서전체에 대해서만 글골의 종류 크기를 변경가능 그림차트등 OLE개체 삽입 ㄴㄴ ANSI 유니코드UTF-8등 인코딩형식으로 저장가능 문서의 텃행에 .LOG라고입력하면 현재 시간 날짜 끝에 표시 주요메뉴 페이지설정;용지크기 방향여백설정머리글바닥글작성 찾기;대/소문자 구분하거나 찾을방향구분가능 바꾸기;찾은내용을 바꿀내용으로 변경 이동중 행기준으로 커거를 이동할수있지만 자동줄바꿈이 해제된상태에서만 이동가능 시간/날짜;커서가 있는 위치에서 현재시간과 날짜입력 자동 줄 바꿈; 창크기에 맞게 텍스트를 표시하고 다음줄로 넘김 글꼴; 글꼴종류 글꼴스타일 크기등지정 상태표시줄; 상태표시줄의 표시여부작성 [해설작성자 : 나경이]
메모장 - 보조 프로그램 - 글자모양을 지정할 수는 있으나, 부분서식 변경은 불가 - txt, htm(인터넷 문서) 주요메뉴 - 페이지설정: 용지 크기, 방향, 여백, 머리글/바닥글(본문의 바깥쪽에서 출력) - 찾기, 바꾸기 - 이동: 특정 줄로 커서 이동, 자동 줄바꿈이 체크되면 이동 명령 사용 불가 - 자동 줄바꿈: 창의 크기가 꽉 차면 알아서 다음 줄로 넘겨주는 기능 [해설작성자 : 대칭적인]
ASCII 코드: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주로 데이터 통신용이나 PC에서 많이 사용된다.
4.
EBCDIC 코드: BCD 코드를 확장한 코드체계로 256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Unicode 란 각 나라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위해 나온 코드체계로 사용중인 운영체제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코드값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코드입니다 언어와 상관없이 모든문자를 16비트(2바이트)로 표현하므로 최대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BCD 코드: 2세대 컴퓨터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기본 코드로 6bit로 구성 ASCII 코드: 미국에서 추진된 정보 교환용으로 7bit로 구성됨 / 데이터 통신용과 개인용 컴퓨터에 주로 사용됨 / 확장 ACII 코드는 8비트를 사용하여 256가지의 문자를 표현함 EBCDIC 코드: 표준 2진화 10진 코드를 확장한 코드로 8bit로 구성됨 유니코드: 국재 표준으로 제정된 2byte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계 / 문자당 영어, 비영어 공통적으로 10bit로 구성함 / 완성형에 조합형을 반영하여 현대 한글의 모든 표현이 가능함 [해설작성자 : ㄹㅇㅋㅋ]
<문제 해설> 물리적 단위 : 비트(Bit) - 바이트(Byte) - 워드(Word) 논리적 단위 :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 파일(File) - 데이터베이스(Database) [해설작성자 : 합격ㄱㄱ]
추가 설명 • 비트 : 자료(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로 2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2진수 1자리 • 바이트 :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로 8개의 비트가 모여 1바이트 구성 • 워드 :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로 하프워드, 풀워드, 더블워드로 분류 • 필드 :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로 의미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단위 • 레코드 : 자료 처리의 단위로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서 구성 • 파일 :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로 여러 레코드가 모여서 구성 •데이터베이스 : 여러 개의 관련된 파일의 집합 [해설작성자 : 많이 안바라 턱걸이만하자]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어장치, 연산장치, 주기억장치가 하나의 반도체 칩에 내장된 장치이다.
2.
클럭 주파수와 내부 버스의 Bit 수로 성능을 평가한다.
3.
트랜지스터의 집적도에 따라 기본적인 처리 속도가 결정된다.
4.
현재는 작은 규모의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휴대용 기기에서부터 메인 프레임이나 슈퍼컴퓨터까지 사용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장치, 연산장치,레지스터가 1개의 반도체 칩(IC)에 내장된 장치로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중앙처리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주기억장치가 내장된것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 합격! ]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주기억장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필기유효끝나서다시봄]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가 1개의 반도체 칩(ic)에 내장된 장치로서 개인pc에서 cpu로 사용된다. 설계 방식에 따라 risc와 cisc로 구분된다.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명령어 적음, 레지스터 많음, 서버나 워크스테이션에 사용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명렁어 많음, 레지스터 적음, 개인pc에 사용 [해설작성자 : h]
RISC : 레지스터 많음, 프로그래밍 복잡, 저가,빠름, 전력소모적음, 주소지정 간단, 서버`워크스테이션 CISC : 레지스터 적음, 프로그래밍 간단, 고가, 느림, 전력소모 많음, 주소지정 복잡, 개인용 컴퓨터 CISC는 customer (고객-개인용 컴퓨터)라 고가고 프로그래밍 간단으로 외우기 [해설작성자 : 시험 19시간ㅋ남음ㅋ]
아래의 워크시트에서 ‘영어’가 중간값을 초과하면서 ‘성명’의 두 번째 문자가 “영”인 데이터를 필터링하고자 한다. 다음 중 고급 필터 실행을 위한 조건의 입력 값으로 옳은 것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조건문에 수식을 이용할 경우 필드명을 다르게 입력합니다. 3.4번 제외 두번째 문자가 "영" 인테이터를 필터링 한다고 했으니 "?영*" 이 됩니다. 2번 정답 조건문에 수식을 이용하는걸 식별하는 방법은 문자나 셀앞에 "=" 가 있으면 조건문에 수식이용입니다.
MEDIAN(인수1, 인수2, …) 인수들의 중간 값 ?= 한자리 표현 *= 전체를 표현 [해설작성자 : 컴활58]
(+)'영어중간값'이 옳고, '영어'가 옳지 않은 이유
=$D2> 와 같이, 자기자신(D2)과 부등호(>)로 비교를 하는 조건문은 '논리값'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값의 조건문은 원본 데이터의 필드명과 중복되게 해서는 안된다. 그렇기에, '영어' 필드명은 원본 데이터의 영어 필드과 이름이 겹치기 때문에 답이 될 수 없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쑤아리질르어엇~~뿜뿜뿜뿜~]
[관리자 입니다. 간혹 보기 내용이 같다는 오류 신고가 있습니다. 절대로 절대로 보기 내용은 다~~~ 다릅니다.
동일한 셀 범위에 둘 이상의 조건부 서식 규칙이 True로 평가 되어 충돌하는 경우 [조건부 서식 규칙 관리자] 대화상자의 규칙 목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즉,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 하나만 적용된다.
2.
[홈] 탭 [편집] 그룹의 [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을 이용하면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을 적용한 순서대로 찾아 이동할 수 있다.
3.
조건부 서식을 만들 때 조건으로 다른 워크시트 또는 통합 문서에 참조는 사용할 수 없다.
4.
셀 범위에 대한 서식 규칙이 True로 평가되면 해당 규칙의 서식이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 서식보다 우선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홈] 탭 [편집] 그룹의 [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을 이용하면 조건부 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의 범위를 알려준다. [해설작성자 : 에효]
조건부서식이 적용되고 있는 셀의 범위를 알려주지만 셀을 적용한 순서대로 찾아 이동할순없다. [해설작성자 : 한방에합격가자]
1.둘 이상의 조건부 서식의 조건이 참일 경우 규칙에 지정된 서식은 모두 적용되나, 서식이 충돌할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규칙의 서식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글꼴 색과 채우기 색을 지정하는 두규칙이 모두 참일 경우 모두 적용되나, 글꼴 색을 빨강,파랑으로 지정하는 두 규칙이 모두 참일때 우선순위가 높은 규칙에 대해서만 글꼴 색이 지정된다 <충돌>단어에 주의합시당 [해설작성자 : 내일셤^^ 합격하자^^]
<문제 해설> ③ 총점을 기준으로 순위를 구하고, 동일한 순위에 대해서는 국어 점수를 기준으로 SUM 배열수식(조건 포함)을 이용한 카운트 계산한다. ※ 아래 수식도 가능 {=RANK($F2,$F$2:$F$10)+ SUM(($F$2:$F$10=$F2)* ($B$2:$B$10>$B2)*1)} 단, 배열수식에서 조건이 2개이상 일 경우 *1 생략 가능 ④ {=SUM(($F$2:$F$10=$F2)*($B$2:$B$10>$B2))+ RANK($F2,$F$2:$F$10)} ※ SUM 배열수식 대신 “COUNT(IF~” 배열수식 도 가능 {=RANK($F2,$F$2:$F$10)+ COUNT(IF(($F$2:$F$10=$F2)*($B$2:$B$10>$B2),1))}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통합 문서를 공유한 후 하이퍼링크, 시나리오, 매크로 등의 기능은 변경할 수 없지만 조건부 서식, 차트, 그림 등의 기능은 변경할 수 있다.
3.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나 문서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
4.
공유 통합 문서를 열면 창의 제목 표시줄의 엑셀 파일명 옆에 [공유]라는 글자가 표시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 통합 문서를 공유하면 데이터의 단순한 입력과 편집이 가능하고 목표값 찾기, 통합, 매크로 등의 기능은 변경할 수 없다. CF>통합 문서를 공유한 후 하이퍼링크, 시나리오, 조건부 서식, 차트, 그림 등의 나머지 기능은 변경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노량진 KSB]
<문제 해설> 4. search는 찾고자하는 단어 위치를 대소문자 관계없이 숫자로 표현하는 함수로 'Seoul-Unesco'에서 u가 나온 4번째가 표시된다. 즉 =REPLACE("February",4,5,""), 이것은 4번째자리부터 5자리(ruary)까지 공백으로 대체하라는 말이므로 결과는 Feb 가 나와야 한다. [해설작성자 : 60..]
1.fixed(숫자, 소숫점몇째자리까지 표시할지(한자리 밑에서 반올림됨), true:콤마삭제, false:콤마유지) 2.eomonth (end of month) > 달의 마지막 날을 표시, 1번째값 날짜, 2번째값 추가할 달 수 3. row() 행을 표시, 인자값이 범위이면 가장 상단의 행을 반환 : ROW(A3:A6) >> 3 choose(몇번째를 고를지 선택,값1,값2,값3,...) : 동, 서, 남, 2015 중에 3번째값인 남 [해설작성자 : dev]
2. EOMONTH(날짜,월수) 지정한 날짜를 기준으로 몇개월 이전 혹은 몇개월 이후 달의 마지막 날짜를 구함. '월수'에 양수가 나오면 이후 날짜를, 음수면 이전 날짜를 대상으로 구한다. [해설작성자 : 대소이 화이팅 알럽 ]
현재 워크시트의 앞이나 뒤의 시트를 선택할 때에는 <Ctrl>+<Page Up>키와 <Ctrl>+<Page Down>키를 이용한다.
2.
현재 워크시트의 왼쪽에 새로운 시트를 삽입할 때에는 <Shift>+<F11>키를 누른다.
3.
연속된 여러 개의 시트를 선택할 때에는 첫 번째 시트를 선택하고 <Shift>키를 누른 채 마지막 시트의 시트 탭을 클릭한다.
4.
그룹으로 묶은 시트에서 복사하거나 잘라낸 모든 데이터는 다른 한 개의 시트에 붙여 넣을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④ 그룹으로 묶은 시트에서 복사하거나 잘라낸 데이터를 한개의 시트에 붙여넣을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시트그룹은 ctrl을 누른상태에서 시작시트와 마지막시트를 누르면 전부 그룹화되며 범위지정 후 채우기-시트그룹 을 누르면 그룹화한 모든 시트에 범위지정된 부분이 붙여넣기가 됩니다. 즉 단순히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잘라서 붙여넣으면 오류가 납니다.
[추가 해설] 그룹으로 묶은 시트에서 복사하거나 잘라낸 모든 데이터는 한개의 시트에 붙여넣을 수 없습니다. 복사하거나 잘라낸 그대로 여러개의 시트에 붙여집니다.예를 들어 시트1 시트2 그룹으로 지정한 상태에서 [A1]셀을 복사하여 시트3에 붙여넣기 하면 시트3-시트1데이터,시트4-시트2데이터가 복사됩니다.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먹었다.]
다음 중 데이터 조작어(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하거나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언어이다.
2.
비절차식 데이터 조작 언어는 사용자가 어떠한 데이터가 필요한지를 명시할 뿐, 어떻게 구하는지는 명시할 필요가 없다.
3.
비절차식 데이터 조작 언어는 절차식 데이터 조작 언어보다 배우기 쉽고 사용하기 쉽지만 코드의 효율성은 떨어진다.
4.
SELECT, UPDATE, CREATE, DELETE 문이 해당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데이터 정의어(DDL)예:CREATE,ALTER,DROP 데이터 조작어(DML)예:SELECT,UPDATE,INSERT,DELETE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관리자 입니다.] 4번이 틀린 이유는 CREATE 때문입니다. CREATE 는 DDL에 속합니다.
문제에서 묻는것은 DML에 관한 것입니다.
[추가 해설] [DB언어] - 정의어(DDL) : DB 생성(CREATE), 수정(ALTER), 삭제(DROP) - 조작어(DML) : DB 실질적 처리언어, 특정한 레코드 삽입(INSERT), 삭제(DELETE), 갱신(UPDATE), 검색(SELECT) - 제어어(DCL) : DB 관리 목적, 권한부여(GRANT), 권한취소(REVOKE), 정상완료(COMMIT), 복귀(ROLLBACK) [해설작성자 : 화욜합격자나야나]
다음 중 쿼리 실행 시 값이나 패턴을 묻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사용자에게 조건 값을 입력받아 사용하는 쿼리는?
1.
선택 쿼리
2.
요약 쿼리
3.
매개 변수 쿼리
4.
크로스탭 쿼리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③ 매개변수 쿼리 : 쿼리 실행할 때 검색할 대상이 되는 정보를 물어보는(입력 받아 실행하는) 쿼리로 반드시 [ ]와 함께 작성 <참고 정리> ① 선택 쿼리 : 기본적인 단순 쿼리로 하나 이상의 테이블, 기존 쿼리 또는 이 두 가지의 조합에서 특정 질문에 대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쿼리 ② 요약 쿼리 : 집계 함수(SUM,AVG, COUNT, MAX, MIN 등)를 이용하여 그룹별 계산을 하기 위한 쿼리 ④ 크로스탭 쿼리 : 특정한 필드의 합계, 평균, 개수와 같은 요약 값을 열과 행 방향의 표 행태로 표시하며, 행 머리글은 최대 3개까지, 열 머리글은 1개만 가능 (12/09/12, 14/10/18, 15/6/27, 15/10/17 출제)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마법사로 완성된 보고서의 [인쇄 미리 보기] 상태에서는 [페이지 설정]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레이블 사이의 간격이나 여백을 변경할 수 있다.
2.
마법사의 각 단계에서 레이블 크기, 텍스트 모양, 사용 가능한 필드, 정렬 기준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마법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인쇄될 우편물 레이블 미리 보기’를 선택한 경우 완성된 보고서가 [인쇄 미리 보기] 상태로 표시된다.
4.
마법사에서 사용 가능한 필드 지정 시 우편물 레이블에 추가 가능한 필드의 개수는 최대 5개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④ 우편 레이블 마법사의 각 줄에는 10개의 항목까지 추가할 수 있다. <참고 정리> ※ 레이블(우편물 레이블 마법사) - 우편 발송을 위해 편지봉투에 붙일 주소 레이블을 작성하는 보고서 - 마법사에서는 텍스트, 숫자, 날짜/시간, 통화, 예/아니요 및 첨부 파일 데이터 형식의 필드만 추가할 수 있으며, 메모, OLE 개체 또는 하이퍼링크 데이터는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를 완료 후 레이블 보고서를 디자인 보기에서 추가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다음 중 아래와 같은 필드로 구성된 <SERVICE> 테이블에서 실행 가능한 쿼리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INSERT INTO SERVICE(등급, 비용) VALUES ('C', 7000);
2.
UPDATE SERVICE SET 등급 = 'C' WHERE 등급 = 'D';
3.
INSERT INTO SERVICE (등급, 비용, 번호) VALUES('A', 10000, 10);
4.
UPDATE SERVICE SET 비용 = 비용*1.1;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테이블에 값을 삽입(INSERT)하는 경우에는 기본키에 해당하는 '번호' 필드는 Null 값(비어있음)이면 안 되므로 값을 반드시 입력해야 된다. CF> 테이블의 값을 갱신(UPDATE)하는 경우에는 기본키에 해당하는 '번호' 필드에 값을 반드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작성자 : 노량진 KSB]
<SERVICE> 테이블에는 '번호' 필드가 기본키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 반드시 '번호' 필드에 값이 입력되어야 하는데, 1번의 INSERT 문은 '번호' 필드가 누락되었으므로 실행 시 키 위반 오류가 발생합니다.
다음 중 <사원> 테이블에서 주소가 ‘서울’인 사원의 이름과 부서를 입사년도가 오래된 사원부터 최근인 사원의 순서로 검색하기 위한 SQL문으로 옳은 것은?
1.
SELECT 이름, 부서 FROM 사원 ORDER BY 주소=‘서울’ ASC WHERE 입사년도;
2.
SELECT 이름, 부서 FROM 사원 ORDER BY 입사년도 DESC WHERE 주소=‘서울’;
3.
SELECT 이름, 부서 FROM 사원 WHERE 입사년도 ORDER BY 주소=‘서울’ DESC;
4.
SELECT 이름, 부서 FROM 사원 WHERE 주소=‘서울’ ORDER BY 입사년도 ASC;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ODER BY절에서의 ASC는 오름차순이며, DESC는 내림차순이다. 오래된 사원부터 최근 사원까지 구하는 것이므로 오름차순 ASC를 써야한다. [해설작성자 : 내일이마지막]
SQL구문에서 SELECT문의 기본형식은 SELECT 필드 FROM 테이블 WHERE 조건 으로 WHERE절은 지시사항이 없을시 생략가능하며 만약 정렬지시사항이 있을경우 WHERE 조건 ORDER BY 필드 형태로 나타내면된다.(이 경우에도 조건에 대한 지시사항이 없을시 WHERE절은 생략) 기본형식에 따라 1,2번 보기는 오답이며 3번의경우 WHERE절에 들어가야할 조건과 ORDER BY절에 들어가야할 필드명이 바뀌었다. [해설작성자 : 반다크홈]
<문제 해설> 클래스모듈:새로운 개체를 정의하기 위한 모듈. 클래스 모듈에서 정의한 프로시저는 개체의 속성과 매서드가 된다. 사용자 정의 개체가 새로운 개체를 정의하는 것을 말합니다.따라서 사용자정의 개체를 만들 때는 클래스 모듈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이마지막]
② 사용자 정의 개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클래스 모듈과 폼 또는 보고서와 연결된 폼 모듈 및 보고서 모듈이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
<문제 해설> 2. 기본적으로 컨트롤을 작성한 순서대로 탭 순서가 설정된다. 탭순서 대화상자에서 <자동순서>단추를 클릭하면 폼이나 보고서에 삽입된 컨트롤의 위치를 기준으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왼쪽에서 오른쪽 순으로 탭 순서가 자동 설정된다. [해설작성자 : 내일이마지막]
분할 표시 폼을 이용하여 동일한 테이블에 대한 전체 목록과 각 레코드에 대한 단일 폼을 함께 보여줄 수 있다.
2.
[레이아웃 보기] 상태에서는 [필드 목록] 창을 이용하여 원본으로 사용하는 테이블이나 쿼리의 필드를 추가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기본 폼과 하위 폼은 일대다 관계이다.
4.
[폼 보기] 상태에서는 [컨트롤] 그룹의 ‘로고’, ‘제목’, ‘날짜 및 시간’ 등의 제한적 컨트롤만 사용 가능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④ [컨트롤] 그룹의 ‘로고’, ‘제목’, ‘날짜 및 시간’ 등의 제한적 컨트롤만 사용 가능한 경우는 [레이아웃 보기] 상태이며, [폼 보기] 상태에서는 데이터의 입력, 삭제, 수정 등이 가능하다. ※ 레이아웃 보기 방식 : 필드 목록을 이용하여 필드 추가 및 컨트롤의 크기 및 위치 변경, 삭제 가능하지만, 데이터 입력, 삭제, 수정 등 데이터 변경은 불가능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컴활 인강 정익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