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블데크(double deck) 방식은 단층형 승강기를 이용하며, 복합용도의 초고층건물에 적합하다.
2.
스카이로비(sky lobby) 방식은 초고속의 셔틀(shuttle) 승강기를 설치한다.
3.
승강기 조닝(zoning)은 수송시간 단축, 유효면적 증가 등의 이점이 있다.
4.
컨벤셔널(conventional) 방식은 여러 층으로 구성된 1존(zone)을 1뱅크(bank)의 승강기가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더블데크(double deck) 방식: 한 개의 승강로에 2대의 엘리베이터를 수직으로 연결해 엘리베이터 두 대가 한 덩어리처럼 붙어서 움직이는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탑승칸 두 대를 연결해 동시에 움직이는 2층 엘리베이터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ㅇㅇ]
3.
연립주택 분류 중 중정형 주택(patio hou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트리움 하우스(atrium house)라고도 한다.
2.
내부세대의 좋지 않은 채광을 극복하기 위해 일부 세대들을 2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3.
격자형의 단조로운 형태를 피하기 위해 돌출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4.
경사지의 자연 지형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이 활용되며, 한 세대의 지붕이 다른 세대의 테라스로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테라스 하우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다길잊어]
4.
「건축법」상 '주요구조부'에 속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ㄷ, ㅂ
4.
ㄴ, ㄹ, ㅁ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주요구조부에는 '내력벽,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이 있다. *예외:비내력벽, 사이기둥, 최하층바닥, 작은보, 차양, 옥외계단 등 [해설작성자 : 민디]
5.
「범죄예방 건축기준 고시」상 범죄예방 건축기준 용어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근통제'란 출입문, 담장, 울타리, 조경, 안내판, 방범시설 등을 설치하여 외부인의 진ㆍ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2.
'영역성 확보'란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적극적 연계를 통해 지역 공동체(커뮤니티)를 증진하는 것을 말한다.
3.
'활동의 활성화'란 일정한 지역에 대한 자연적 감시를 강화하기 위하여 대상 공간 이용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시설물 및 공간 계획을 하는 것을 말한다.
4.
'자연적 감시'란 도로 등 공공 공간에 대하여 시각적인 접근과 노출이 최대화되도록 건축물의 배치, 조경, 조명 등을 통하여 감시를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영역성 확보"란 공간배치와 시설물 설치를 통해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소유권 및 관리와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익명]
6.
박물관 건축계획에서 배치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분동형(pavilion type)은 단일 건축물 내에 크고 작은 전시실을 집약하는 형식으로, 가동적인 전시연출에 유리하다.
2.
개방형(open plan type)은 분산된 여러 개의 전시실이 광장을 중심으로 건물군을 이루는 형식으로, 많은 관람객의 집합, 분산, 선별 관람에 유리하다.
3.
중정형(court type)은 중정을 중심으로 전시실을 배치한 형식으로, 실내ㆍ외 전시공간 간 유기적 연계에 유리하다.
4.
폐쇄형(closed plan type)은 분산된 여러 개의 전시실이 작은 광장 주변에 분산 배치 되는 형식으로, 자연채광을 도입하는 데 유리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집약형은 단일 건축물 내에 크고 작은 전시실을 집약하는 형식으로, 가동적인 전시연출에 유리하다. 2. 분동형은 분산된 여러 개의 전시실이 광장을 중심으로 건물군을 이루는 형식으로, 많은 관람객의 집합, 분산, 선별 관람에 유리하다. 3. 중정형(court type)은 중정을 중심으로 전시실을 배치한 형식으로, 실내ㆍ외 전시공간 간 유기적 연계에 유리하다. 4. 중정형은 분산된 여러 개의 전시실이 작은 광장 주변에 분산 배치 되는 형식으로, 자연채광을 도입하는 데 유리하다. [해설작성자 : 민디]
<문제 해설> 3.녹색건축 인증등급은 토지이용 및 교통, 에너지 및 환경오염, 재료 및 자원, 물순환 관리, 유지관리, 생태환경, 실내환경의 7개 전문분야의 평가 항목별 점수를 합산하여 최우수(그린1등급), 우수(그린2등급), 우량(그린3등급), 일반(그린4등급)의 4등급으로 나누어진다. [해설작성자 : 민디]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녹조법 변동에 따라서 인증 유효기간은 10년으로 변동됐습니다
16.
도서관 건축계획 중 출납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유개가식은 도서가 손상되기 쉽고 분실 우려가 있다.
2.
안전개가식은 도서 열람의 체크 시설이 필요하다.
3.
반개가식은 열람자가 직접 책의 내용을 열람하고 선택할 수 있어 출납시설이 불필요하다.
4.
폐가식은 대출받는 절차가 복잡하여 직원의 업무량이 많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17.
병원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호단위의 크기는 1조(8~10명)의 간호사가 담당하는 병상수로 나타낸다.
2.
병동부의 소요실로는 병실, 격리병실, 처치실 등이 있다.
3.
「의료법 시행규칙」상 '음압격리병실'은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전실 및 음압시설 등을 갖춘 1인 병실을 말한다.
4.
CCU(Coronary Care Unit)는 요양시설과 같이 만성화되어 재원 기간이 긴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간호단위 구성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4.CCU(Coronary Care Unit)는 심근, 협심증 환자를 대상으로 집중 치료하는 간호단위다. [해설작성자 : 민디]
18.
건축화조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ㄴ. 코브라이트 조명에 대한 설명입니다 ㄹ. 루버 천장조명에 대한 설명입니다 다운 라이트 조명은 천장에 구멍을 뚫어 조명 기구를 넣은것입니다 [해설작성자 : 오다길잊어]
19.
㉠에 해당하는 공포의 구성 부재 명칭은?
1.
주두
2.
평방
3.
살미
4.
창방
정답 : [
1
] 정답률 : 47%
20.
건축법령상 공개 공지 또는 공개 공간(이하 공개공지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개공지등을 설치하는 경우 건축물의 용적률, 건폐율, 높이제한 등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다.
2.
공개 공지는 필로티의 구조로 설치하여서는 아니되며, 울타리를 설치하는 등 공개공지등의 활용을 저해하는 행위를 해서는 아니 된다.
3.
공개공지등의 면적은 대지면적의 100분의 10 이하의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하며, 이 경우 「건축법」 제42조에 따른 조경면적을 공개공지등의 면적으로 할 수 있다.
4.
공개공지등에는 일정 기간 동안 건축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민들을 위한 문화행사를 열거나 판촉활동을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제27조의2(공개 공지 등의 확보) 2. 필로티의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익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