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활하중에서 작용점은 각 구조부재에 가장 큰 하중효과를 일으키는 위치에 작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2.
고정하중은 건축구조물 자체의 무게와 구조물의 생애주기 중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수평하중을 말한다.
3.
풍하중은 각각의 설계풍압에 유효수압면적을 곱하여 산정한다.
4.
지진하중은 지진에 의한 지반운동으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고정하중은 구조체와 이에 부착된 비내력 부분 및 각종 설비 등의 중량에 의하여 구조물의 존치 기간에 지속해서 작용하는 연직하중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2.
강구조 용접접합부에서 용접 후 검사 시에 발생될 수 있는 결함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드
2.
블로 홀
3.
언더컷
4.
오버랩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비드란 용접 작업에서 모재(母材)와 용접봉이 녹아서 생긴 띠 모양의 길쭉한 파형(波形)의 용착 자국을 말한다. 따라서 결함이라 보기 힘들다. [해설작성자 : 민디]
3.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어 있지 않을 경우, 주철근의 최대 철근비는?
1.
1%
2.
4%
3.
6%
4.
8%
정답 : [
4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기둥의 축방향 주철근의 철근비는 최소 0.01 이상 최대 0.08 이하이어야 하므로 답은 8%이다. 다만, 축방향 주철근이 겹침이음되는 경우의 철근비는 0.04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4.
보통중량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설계기준항복강도가 400MPa인 철근을 사용할 경우, 처짐을 계산하지 않아도 되는 1방향슬래브(슬래브 길이 l)의 최소두께를 지지조건에 따라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해당부재는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부재이다)
1.
단순지지 : l/18
2.
1단 연속 : l/24
3.
양단 연속 : l/28
4.
캔틸레버 : l/10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단순지지 : l/20 [해설작성자 : 민디]
5.
우리나라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의 일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진성능수준-설계지진에 대해 시설물에 요구되는 성능수준. 기능수행수준, 즉시복구수준, 장기복구/인명보호수준과 붕괴방지수준으로 구분
2.
변위의존형 감쇠장치-하중응답이 주로 장치 양 단부 사이의 상대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감쇠장치로서, 추가로 상대변위의 함수에 종속될 수도 있음
3.
성능기반 내진설계-엄격한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설계하는 사양기반설계에서 벗어나서 목표로 하는 내진성능수준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설계기법의 적용을 허용하는 설계
4.
응답스펙트럼-지반운동에 대한 단자유도 시스템의 최대응답을 고유주기 또는 고유진동수의 함수로 표현한 스펙트럼
정답 : [
2
] 정답률 : 54%
6.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적조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의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위험단면은 벽체 중심과 단부 사이의 1/4 지점으로 한다.
2.
휨모멘트에 대한 설계 시 1방향 기초판 또는 2방향 정사각형 기초판에서 철근은 기초판 전체 폭에 걸쳐 균등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3.
말뚝기초의 기초판 설계에서 말뚝의 반력은 각 말뚝의 중심에 집중된다고 가정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계산할 수 있다.
4.
기초판 윗면부터 하부철근까지 깊이는 직접기초의 경우는 150mm 이상, 말뚝기초의 경우는 3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조적조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의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위험단면은 벽체 중심과 단부 사이의 1/2 지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7.
조적식구조의 재료 및 강도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성분을 지닌 재료 또는 첨가제들은 에폭시수지와 그 부가물이나 페놀, 석면섬유 또는 내화점토를 포함할 수 없다.
2.
모멘트저항벽체골조의 설계전단강도는 공칭강도에 강도감소계수 0.8을 곱하여 산정한다.
3.
그라우트의 압축강도는 조적개체 강도의 1.3배 이상으로 한다.
4.
보강근의 최소 휨직경은 직경 10mm에서 25mm까지는 보강근의 8배이고, 직경 29mm부터 35mm까지는 6배로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2%
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서 계수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의 크기에 따라 비균열등급, 부분균열등급, 완전균열등급으로 구분된다.
2.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때의 응력계산 시 균열단면에서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저항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3.
비균열등급과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4.
완전균열단면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균열환산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의 크기에 따라 비균열등급, 부분균열등급, 완전균열등급으로 구분된다. [해설작성자 : 민디]
9.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1방향 바닥구조의 최대 허용처짐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활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부재길이의 1/180 이하
2.
활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부재길이의 1/360 이하
3.
전체 처짐 중에서 비구조 요소가 부착된 후에 발생하는 처짐부분이 부재길이의 1/480 이하
4.
전체 처짐 중에서 비구조 요소가 부착된 후에 발생하는 처짐부분이 부재길이의 1/240 이하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1. 평지붕구조 - 활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부재길이의 1/180 이하 2. 바닥구조 - 활하중에 의한 순간처짐이 부재길이의 1/360 이하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비구조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한 3. 지붕 또는 바닥구조 - 전체 처짐 중에서 비구조 요소가 부착된 후에 발생하는 처짐부분이 부재길이의 1/480 이하
과도한 처짐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는 비구조요소를 지지 또는 부착한 4. 지붕 또는 바닥구조 - 전체 처짐 중에서 비구조 요소가 부착된 후에 발생하는 처짐부분이 부재길이의 1/240 이하 [해설작성자 : 민디]
10.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라펫, 건물외부의 치장 벽돌 및 외부치장마감석재는 내진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2.
비구조요소의 내진설계는 구조체의 내진설계와 분리하여 수행할 수 없다.
3.
건축비구조요소는 캔틸레버 형식의 구조요소에서 발생하는 지점회전에 의한 수직방향 변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4.
설계하중에 의한 비구조요소의 횡방향 혹은 면외방향의 휨이나 변형이 비구조요소의 변형한계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11.
목구조에 사용되는 구조용 합판의 품질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착성으로 내수 인장 전단 접착력이 0.7MPa 이상인 것
2.
함수율이 13% 이하인 것
3.
못접합부의 최대 전단내력의 40%에 해당하는 값이 700N 이상인 것
4.
못접합부의 최대 못뽑기 강도가 60N 이상인 것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못뽑기 강도는 못접합부의 최대 못뽑기 강도가 90N 이상인 것 [해설작성자 : 시험에 나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