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도가 일정한 정육면체형 물체의 각 변의 길이가 처음의 3배로 되었을 때 이 정육면체의 바닥면에 발생되는 자중에 의한 수직 응력의 크기는 처음의 몇 배가 되겠는가?
1.
1
2.
3
3.
9
4.
27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2.
균일분포하중 ω를 받고 있는 길이가 L인 단순보의 처짐을 δ로 제한한다면 균일 분포하중의 크기는 어떻게 표혀되겠는가? (단, 보의 단면은 폭이 b이고 높이가 h인 직사각형이고 탄성계수는 E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54%
3.
코일 스프링의 소선의 지름을 d, 코일의 평균 지름을 D, 코일 전체 길이가 L인 경우 인장하중 W를 작용시킬 때 전체의 처짐량(δ)을 나타내는 식은? (단, G는 전단 탄성계수이고, n은 코일의 감김 수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39%
4.
아래 그림에서 모멘트의 최대값은 몇 kNㆍm인가? (단, B점은 고정이다.)
1.
10
2.
16
3.
26
4.
40
정답 : [
1
] 정답률 : 28%
5.
길이가 2m인 환봉에 인장하중을 가하였더니 길이 변화량이 0.14cm였다. 이 때의 변형률은?
1.
70 × 10-6
2.
700 × 10-6
3.
70
4.
700
정답 : [
2
] 정답률 : 62%
6.
그림과 같은 균일 원형단면을 갖는 양단 고정봉의 C점에 비틀림 모멘트 T=98Nㆍm를 작용시킬 때, 하중점(C점)에서의 비틀림 각은 몇 rad 인가? (단, 전단탄성계수 G=78.4GPa, 극관성모멘트 Ip=600cm4)
1.
4 × 10-4
2.
4 × 10-5
3.
5 × 10-4
4.
5 × 10-5
정답 : [
4
] 정답률 : 20%
7.
지름 d인 원형단면 봉이 비틀림 모멘트 T를 받을 때, 발생되는 최대 전단응력 τ를 나타내는 식은? (단, IP는 단면의 극단면 2차 모멘트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8.
내부 반지름 1.25m, 압력 1200kPa, 두께 10mm인 원형 단면의 실린더형 압력 용기에서의 축방향 응력(σt:longi-tudinal stress)과 후프응력(σz)를 구하면?
1.
σt=75MPa, σz=150MPa
2.
σt=150MPa, σz=75MPa
3.
σt=37.5MPa, σz=75MPa
4.
σt=75MPa, σz=37.5MPa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9.
그림과 같은 복합 막대가 각각 단면적 AAB=100mm2, ABC=200mm2을 갖는 두 부분 AB와 BC로 되어있다. 막대가 100kN의 인장하중을 받을 때 총 신장량을 구하면 몇 mm인가? (단, 재료의 탄성계수(E)는 200GPa이다.)
1.
2
2.
4
3.
6
4.
8
정답 : [
2
] 정답률 : 28%
10.
그림과 같은 규일 단면의 돌출보(overhanging beam)에서 반력 RA는?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1.
ωℓ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42%
11.
어떤 재료의 탄성계수 E=210GPa이고 전단 탄성계수 G=83GPa이라면 이 재료의 포아송 비는? (단, 재료는 균일 및 균질하며, 선형 탄성거동을 한다.)
1.
0.265
2.
0.115
3.
1.0
4.
0.435
정답 : [
1
] 정답률 : 80%
12.
탄성계수 E=200GPa, 좌굴응력 σB=320MPa인 강재 기둥에 오일러(Euler) 공식을 적용할 수 있는 한계 세장비는? (단, n은 양단지지 상태에서 따른 좌굴 계수이다.)
1.
62.5√n
2.
78.5√n
3.
85.5√n
4.
90.5√n
정답 : [
2
] 정답률 : 44%
13.
그림과 같이 균일 분포하중(ω)을 받는 균일 단면 외팔보의 자유단 B에서 의 처짐량은? (단, 보의 굽힘 강성 EI는 일정하고, 자중은 무시한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47%
14.
그림과 같은 보는 균일단면 부정정보이다. 반력 RB를 구하는데 필요한 조건은?
1.
지점 B에서의 반력에 의한 처짐
2.
지점 A에서의 굽힘모멘트의 방향
3.
하중 작용점 P에서의 처짐
4.
하중 작용점 P에서의 굽힘응력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15.
5cm×10cm 다면의 3개의 목재를 목재용 접착재로 접착하여 그림과 같은 10cm×15cm의 사각 단면을 갖는 합성보를 만들었다. 접착부에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약 몇 kPa인가? (단, 이 보의 길이는 2m이고, 양단은 단순지지이며 중앙에 P=800N의 집중하중을 받는다.)
1.
77.6
2.
35.5
3.
8
4.
160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6.
다음 그림과 같이 단면적인 A인 강봉의 축선을 따라 하중P가 작용할 때, 임의의 경사 평면에서 전단응력이 최대가 될 때의 면의 각(α)과 이 경우에 해당하는 전단응력(τmax)은 얼마인가?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7.
그림에서 블록 A를 뽑아내는 데 필요한 힘 P는 몇 N이상인가? (단, 블록과 접촉면과의 마찰 계수 μ=0.4이다.)
1.
4
2.
8
3.
10
4.
12
정답 : [
4
] 정답률 : 30%
18.
내부 반지름 Ri, 외부반지름 Ro인 속이 빈 원형 단면의 극(polar)관성 모멘트는?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19.
그림과 같이 초기온도 20℃, 초기길이 19.95cm, 지름 5cm인 봉을 간격이 20cm인 두 벽면 사이에 넣고 봉의 온도를 220℃로 가열했을 때 봉에 발생되는 응력은 몇 MPa인가? (단, 균일 단면을 갖는 봉의 선팽창계수 a=1.2×10-5/℃이고, 탄성계수 E=210GPa이다.)
1.
0
2.
25.2
3.
257
4.
504
정답 : [
1
] 정답률 : 50%
20.
지름 6mm인 곧은 강성을 지름 1.2m의 원통에 감았을 때 강선에 생기는 최대 굽힘 응력은 약 몇 MPa인가? (단, 탄성계수 E=200GPa이다.)
1.
500
2.
800
3.
900
4.
1000
정답 : [
4
] 정답률 : 10%
2과목 : 기계열역학
21.
다음 T-S 선도에서 과정 1-2가 가역일 때 빗금 친 부분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엔탈피
2.
엔트로피
3.
열량
4.
일량
정답 : [
3
] 정답률 : 50%
22.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열교환기)에 냉매 R-134a가 온도 5℃, 엔탈피 380kJ/kg, 질량 유량 0.1kg/s로 유입되어 포화증기로 유출된다. 공기는 25℃로 유입되어 10℃로 나온다. 공기의 비열은 1.004kJ/kgㆍ℃이다.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질량 유량은?
1.
0.142kg/s
2.
0.270kg/s
3.
0.851kg/s
4.
1.15kg/s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음 사항은 기계열역학에서 일과 열(熱)에 대한 설명이다. 이 중 틀린 것은?
1.
일과 열은 전달되는 에너지이지 열역학적 상태량은 아니다.
2.
일의 기본단위는 J(joule)이다.
3.
일(work)의 크기는 무게(힘)와 힘이 작용하여 이동한 거리를 곱한 값이다.
4.
일과 열은 정함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24.
비가역 단열변화에 있어서 엔트로피 변화량은 어떻게 되는가?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량은 없다.
4.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25%
25.
1kg의 기체가 압력 50kPa, 체적 2.5m3의 상태에서 압력 1.2MPa, 체적 0.2m3의 상태로 변하였다. 엔탈피의 변화량은 약 몇 kJ인가? (단, 내부에너지의 증가 U2-U1=0이다.)
1.
306
2.
206
3.
155
4.
115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26.
다음 열역학 성질(상태량)중 종량적 성질인 것은?
1.
질량
2.
온도
3.
압력
4.
비체적
정답 : [
1
] 정답률 : 42%
27.
증기동력시스템에서 이상적인 사이클로 카르노사이클을 택하지 않고 랭킨사이클을 택한 주된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이론적으로 카르노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
랭킨사이클의 효율이 동일한 작동 온도를 갖는 카르노 사이클의 효율보다 높다.
3.
수증기와 액체가 혼합된 습증기를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펌프를 제작하는 것이 어렵다.
4.
보일러에서 과열 과정을 정압 과정으로 가정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28.
다음 P-h 선도를 이용하여 증기압축 냉동기의 성능계수를 구하면 얼마인가?
1.
3.5
2.
4.5
3.
5.5
4.
6.5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냉동용량이 35kW인 어느냉동기의 성능계수가 4.8이라면 이 냉동기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동력은?
1.
약 9.2kW
2.
약 8.3kW
3.
약 7.3kW
4.
약 6.5kW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30.
증기터빈에서 증기의 상태변화로서 가장 이상적인 것은?
1.
폴리트로픽 변화(n=1.3)
2.
폴리트로픽 변화(n=1.5)
3.
가역단열변화
4.
비가역단열변화
정답 : [
3
] 정답률 : 19%
31.
고열원과 저열원 사이에서 작동하는 카르노사이클 열기관이 있다. 이 열기관에서 60kJ의 일을 얻기 위하여 100kJ의 열을 공급하고 있다. 저 열원의 온도가 15℃라고 하면 고 열원의 온도는?
1.
128℃
2.
288℃
3.
447℃
4.
720℃
정답 : [
3
] 정답률 : 40%
32.
피스톤-실린더 장치 안에 300kPa, 100℃의 이산화탄소 2kg이 들어있다. 이 가스를 PV1.2=constant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피스톤 위에 추를 더해가며 온도가 200℃가 될 때까지 압축하였다. 이 과정 동안의 열전달량은 약 몇 kJ인가? (단, 이산화탄소의 정적비열(Cv_=0.653kJ/kgㆍK이고, 정압비열(Cp)=0.842kJ/kgㆍK이며, 각각일정하다.)
1.
-189
2.
-58
3.
-20
4.
130
정답 : [
2
] 정답률 : 37%
33.
온도가 350K인 공기의 절대압력이 0.3MPa, 체적이 0.3m3, 엔탈피가 100kJ이다. 이 공기의 내부에너지는?
1.
1kJ
2.
10kJ
3.
15kJ
4.
100kJ
정답 : [
2
] 정답률 : 42%
34.
움직이고 있떤 중량 5ton의 차에 브레이크를 걸었더니 42.7m미끄러진 후에 완전히 정지하였다. 노면과 바퀴 사이의 마찰계수를 0.2라 하면, 제동 중에 발생된 열량은 약 몇 kJ인가?
1.
49
2.
419
3.
839
4.
17800
정답 : [
2
] 정답률 : 54%
35.
다음 기체 중 기체상수가 가장 큰 것은?
1.
수소
2.
산소
3.
공기
4.
질소
정답 : [
1
] 정답률 : 44%
36.
이상적인 시스템에 하루 2200kcal를 공급한다고 한다. 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평균 동력은 약 얼마인가? (단, 1kcal은 4180J이다.)
1.
63W
2.
88W
3.
98W
4.
106W
정답 : [
4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정상상태 정상유동 과정의 팽창밸브가 있다. 입구에 액체가 유입되며, 이 과정을 스로트로 간주할 수 있다. 입구상태를 1, 출구상태를 2로 각각 나타낼 때, 다음 중 어느 관계식이 가장 정확한가?
1.
U1=U2(내부에너지)
2.
h1=h2(엔탈피)
3.
s1=s2(엔트로피)
4.
v1=v2(비체적)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38.
포화증기를 단열 압축시키면 일반적으로 어떻게 되겠는가?
1.
압력이 높아지고 습도가 증가한다.
2.
압력은 높아지나 온도는 일정하다.
3.
압력과 온도가 높아져 과열증기가 된다.
4.
압력은 높아지나 온도는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39.
물 10kg을 1 기압 하에서 20℃로부터 60℃까지 가열할 때 엔트로피의 증가량은 약 몇 kJ/K인가? (단, 물의 정압비열은 4.18kJ/이다.)
1.
9.78
2.
5.35
3.
8.32
4.
41.8
정답 : [
2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상태 1에서 상태 2로의 열역학 과정 중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변화를 무시할 때 일을 로 계산할 수 있는 경우는? (단, P는 압력, V는 체적이다.)
1.
가역 정상상태 정상유동 과정
2.
비가역 정상상태 정상유동 과정
3.
가역 밀폐 시스템의 과정
4.
비가역 밀폐 시스템의 과정
정답 : [
1
] 정답률 : 10%
3과목 : 기계유체역학
41.
그림과 같이 단면적이 A인 관으로 밀도가 ρ인 비압축성 유체가 V의 유속으로 들어와 지름이 절반인 노즐로 분출 되고 있다. 제트에 의해서 평판에 작용하는 힘은?
1.
ρV2A
2.
2ρV2A
3.
4ρV2A
4.
16ρV2A
정답 : [
3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실형의 1/25인 기하학적으로 상사한 모형 댐이 있다. 모형 댐의 상봉에서 유속이 1m/s일 때 실형의 대응점에서의 유속은 몇 m/s인가?
1.
0.04
2.
0.2
3.
5
4.
25
정답 : [
3
] 정답률 : 8%
43.
일정 간격의 두 평판사이로 흐르는 완전 발달된 비압축성 정상유통에서 x는 유동방향, y는 직교방향의 좌표를 나타낼 때 압력강하와 마찰손실의 관계가 될 수 있는 것은? (단, P는 압력, τ는 전단응력, μ는 점성계수이다.)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40%
44.
직경이 10cm인 수평 원 관으로 3km 떨어진 곳에 원유(점성계수 μ=0.02 Paㆍs, 비중 s=0.86)를 0.2m3/min의 유량으로 수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력은 약 몇 W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