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시트에서 C1셀에 수식 ‘=SUM(A$1:$B1)’을 입력한 후 C3 셀까지 채우기 핸들을 이용하여 값을 채울 경우 C3셀의 결과 값은?
1.
15
2.
36
3.
12
4.
21
정답 : [
2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 가 붙어있는 부분의 행이나 열은 변동이 없습니다.
25.
[차트 1]을 완성한 후 [차트 2]와 같이 변경하려고 한다. 이 때 사용되지 않은 기능은?
1.
축 제목서식의 텍스트 맞춤방향을 변경하였다.
2.
[차트종류]-[사용자 정의종류]를 선택하여 [이중 축 혼합형]을 사용하여 보조 축 값을 등록
3.
축 서식을 사용하여 최소값, 최대값을 변경하였다.
4.
범례 서식을 사용하여 범례의 위치를 변경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위 차트는 축이 하나 뿐이다. 이중축이 아님.
26.
단축키를 눌러 한번의 명령 실행으로 여러 가지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작업을 완성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피벗 테이블
2.
데이터 통합
3.
매크로
4.
통합문서 공유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피벗 테이블은 데이터를 자신의 의지대로 정렬하여 보여주는 기능. 테이터 통합은 여러 데이터를 말 그대로 합쳐서 사용(여러 함수 사용 가능) 통합문서 공유는 문서를 공유하는 기능
27.
다음 중 피벗 테이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원본 데이터가 입력된 시트에 피벗 테이블을 작성할 수도 있고 새로운 시트에 작성할 수도 있다.
2.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 원본 데이터를 변경하면 피벗 테이블에 자동으로 반영되지 않는다.
3.
피벗 테이블을 작성한 후에 사용자가 새로운 수식을 추가하여 표시할 수 없다.
4.
페이지, 행, 열에 배치된 항목은 피벗 테이블 작성 후에도 마음대로 이동시키거나 새로운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피벗테이블 바로가기-->수식을 선택하고 계산필드나, 계산항목을 이용하여 추가가 가능하다.
28.
Visual Basic 편집기 창에서 실행할 매크로를 선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그림을 나타내었다. 다음 중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1.
메뉴 중 [도구]의 [매크로]명령으로 나타난 창이다.
2.
매크로 이름을 선택하고 [실행]단추를 클릭하면 엑셀창에서 매크로가 실행된다.
3.
매크로 선택하고 [편집]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 기록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매크로 모듈창이 열린다.
4.
매크로 이름을 선택하고 [옵션]단추를 클릭하면 매크로 이름과 바로 가기키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매크로 이름은 편집 단추를 눌러 수정가능, 옵션단추는 바로가기키와 설명을 수정할수 있다.
29.
다음 중 사용자 정의 도구 명령을 도구모음 에 추가하는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보기]-[도구모음]-[사용자 정의]
2.
[도구]-[사용자 정의]
3.
도구모음 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단축 메뉴에서 [사용자 정의]를 클릭한다.
4.
[보기]-[사용자 정의]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4번은 숨겨진 행/열필터 등의 내용을 저장해둬 효율적으로 활용할때 사용하는 기능
30.
다음 그림의 E3 값을 VLOOKUP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채우기 핸들로 모든 단가를 계산할 생각이다. 이때 [E3]에 옳바르게 사용된 함수식은?
1.
VLOOKUP(B3,$C$20:$D$25,3)
2.
VLOOKUP(B3,C20:D25,3)
3.
VLOOKUP(B3,B20:D25,3)
4.
VLOOKUP(B3,$B$20:$D$25,3)
정답 : [
4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일단 채우기 핸들을 하기 위해서 상품코드, 상품명, 단가가 있는 부분이 절대값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그 부분이 절대값이 된것을 찾으면 곧바로 4번이 정답인것을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1.
다음 중 워크시트의 데이터 입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자열 데이터는 셀의 왼쪽에 정렬된다.
2.
수치 데이터는 셀의 오른쪽에 정렬되며 공백과 특수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기본적으로 수식 데이터는 워크시트상의 해당 셀에 수식 결과 값이 표시된다.
4.
특수 문자입력은 한글자음(ㄱ, ㄴ, ㄷ등)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눌러 나타나는 목록상자에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숫자 데이터는 숫자만 적을 수있고 다른 문자나 공백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32.
특정 셀의 값이 다른 파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되게 하는 기능은?
1.
워크시트
2.
차트
3.
통합
4.
하이퍼링크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특정 셀의 값이 다른 파일이나 웹페이지로 연결되게 하는 기능은 하이퍼링크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3.
차트 마법사 3단계에서 수행할 수 없는 것은?
1.
차트제목
2.
범례표시여부 및 위치
3.
데이터 테이블 표시여부
4.
계열위치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3단계(차트옵션) : 제목,축,눈금선,범례,데이터테이블,데이터레이블
34.
다음 중 틀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1.
문서의 내용이 많은 경우 셀 포인터를 이동하면 문서의 제목 등이 보이지 않을 때 사용한다.
2.
틀고정은 행과 열에 대해 동시에 실행할 수 있다.
3.
틀고정 취소는 틀고정 선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된다.
4.
일단 설정된 틀고정 위치의 변경은 틀 고정 취소 후 다시 설정할 수 밖에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틀고정 취소는 창-->틀고정취소를 선택하면 된다.
35.
다음은 데이터의 정렬(sort)방식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
1.
오름차순이든 내림차순이든 빈 셀(space)은 맨 뒤쪽에 정렬된다.
2.
오름차순 정렬시에는 한글이 영문보다 순위가 앞선다.
3.
내림차순 정렬시 문자형식으로 저장된 1(‘1)은 숫자 2보다 순위가 뒤진다.
4.
내림차순 정렬시 대소문자 구분을 지정하면 대문자가 소문자보다 순위가 앞선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오름차순은 숫자>문자(특수문자>한글>영문)>논리값>오류값>빈 셀 순, 내림차순은 오류값>논리값>문자(영문>한글>특수문자)>숫자>빈 셀 순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6.
세 값의 집합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차트 어느 것인가?
1.
거품형
2.
분산형
3.
표면형
4.
영역형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거품형 : 세 값의 집합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 차트,3차원 차트 존재함 2. 분산형 : 점의 흩어진 정도를 표시하는 차트 3. 표면형 : 3차원 표면형 --> 두 개의 데이터 집합에서 최적의 조합 4. 영역형 차트 : 전체 영역과 특정 값의 영역을 비교해 전체와 부분간의 관계를 표현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37.
다음 중 ‘하이퍼링크 삽입’의 대화상자로 링크를 만들 수 없는 것은?
1.
전자 메일 주소
2.
폼 도구 모음을 사용하여 만든 컨트롤이나 매크로가 연결된 단추나 그래픽
3.
새 문서
4.
현재 문서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기존 파일/웹페이지, 현재 문서, 새 문서, 전자 메일 주소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8.
다음 중 텍스트 파일 가져오기 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텍스트 파일을 가져오는 방법은 [파일]-[열기]와, [데이터]-[외부데이터 가져오기]-[텍스트 파일 가져오기]가 있다.
2.
①의 2가지 방법은 모두 “텍스트 마법사‘를 통해서 Excel 파일로 전환된다.
3.
①에서 [열기] 명령의 실행 방법은 항상 새 통합문서가 열리면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셀에서부터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4.
①에서 [텍스트 파일 가져오기] 명령의 실행 방법은 현재 열려있는 시트의 지정한 위치에 데이터를 가져와서 편집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사용자가 가져올 위치를 직접 지정할 수가 없다.
39.
다음 중 함수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MAX() 인수로 입력된 숫자 중 가장 큰 숫자를 구해주는 함수
2.
COUNT() 인수목록내에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3.
PROPER() 텍스트를 모두 대문자로 변환하여 주는 함수
4.
DSUM() 지정한 조건에 맞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필드값들의 합을 구하는 함수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PROPER() 는 단어의 첫 문자만 대문자로 변환시켜 주는 함수
40.
다음 중 1982년 12월 4일에서 오늘까지 경과된 날짜를 구하는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DATE(1982,12,4)-DAY()
2.
=DAY()-DATE(1982,12,4)
3.
=YEAR()-DATE(1982,12,4)
4.
=TODAY()-DATE(1982,12,4)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경과한 날구하는 식은 무조건 TODAY()-DATE( ) 입니다. 외워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