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화씨 → 섭씨로 변환 ℃=(℉−32)÷1.8 ℃=(86−32)÷1.8=54÷1.8=30℃ 섭씨 → 켈빈으로 변환 K=℃+273.15=30+273.15=303.15K [해설작성자 : 수험생]
3.
다음 가스유량계중 그 측정원리가 다른 3개와 같지 않은 것은?
1.
오리피스미터
2.
벤츄리미터
3.
피토우관
4.
로우터미터
정답 : [
4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오피러스미터, 벤츄리미터, 피토우관 - 차압 로우터미터 - 부력과 중력의 균형을 이용 [해설작성자 : 삼각동]
4.
독성가스를 냉매가스로 하는 냉매설비 중 수액기의 내용적이 얼마 이상일 때 가스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방류둑을 설치해야 하는가?
1.
10,000ℓ
2.
5,000ℓ
3.
2,000ℓ
4.
1,000ℓ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용노동부령 제308호)
제295조(냉동제조시설의 방류둑 등 설치) "사업주는 독성가스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제조시설의 수액기 내용적이 0.5세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냉매의 누출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류둑 또는 그에 준하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기준 내용적: 0.5 m3 이상 설치 이유: 독성가스 유출 시 주변으로의 확산 방지 (안전 확보) [해설작성자 : 수험생]
5.
금속재료에서 고온일 때 가스에 의한 부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소에 의한 탈탄
2.
암모니아에 의한 강의 질화
3.
이산화탄소에 의한 금속 카아보닐화
4.
황화수소에 의한 부식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이산화탄소가 아닌 일산화탄소입니다. [해설작성자 : 석화고 운전과 가스짱]
6.
액화가스 용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액화가스의 충전량은 액면계로 측정한다.
2.
액화가스의 압력은 충전량에 관계 없다.
3.
액화가스를 충전할 때는 펌프의 캐비테이션에 주의해야 한다.
4.
에틸렌, 메탄 등의 가스는 단열된 용기가 아니면 충전할 수 없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액화가스의 충전량은 잔량측정기로 측정한다. [해설작성자 : 가을빛추억]
7.
기준 냉동 싸이클에서 토출 가스 온도가 가장 높은 냉매는?
1.
R – 22
2.
R - 11
3.
R – 12
4.
NH3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토출가스 온도 높다” → R-717 (암모니아) “토출가스 온도 낮다” → R-12 또는 R-134a [해설작성자 : 수험생]
8.
액화석유가스 충전설비의 점검, 확인 주기는?
1.
1일에 1회
2.
1주일에 1회
3.
3월에 1회
4.
6월에 1회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시행규칙」 제28조 충전설비 및 기기 등의 안전점검을 매일 1회 이상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보관해야 함. [해설작성자 : 수험생]
9.
공기 액화 분리 장치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그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장치내 질소산화물 생성
2.
공기중의 O2혼입
3.
공기 취입구로 부터의 아세틸렌의 침입
4.
윤활유의 열화에 의한 탄화수소의 생성
정답 : [
2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고온에서 산소와 질소가 반응하여 NOₓ 생성. 산화성 물질로 폭발 위험 존재 2. 애초에 공기를 분리하는 장치이므로 산소 혼입은 정상 작동 범위. 별도 위험 아님 3. 연소성이 매우 강한 가연성 가스로, 산소와 만나면 폭발 위험 큼 4. 고온에서 탄화수소가 발생하면 산소와 반응해 폭발 위험 [해설작성자 : 수험생]
10.
고압가스 일반제조의 기술기준이다. 에어졸 제조 기준에 맞지 않는 것은?
1.
에어졸의 분사제는 독성가스를 사용하지 말 것
2.
에어졸 제조는 35℃에서 그 용기의 내압을 8㎏/cm2이하로 할 것
3.
에어졸 제조설비의 주위 4m 이내에는 인화성 물질을 두지말 것
4.
에어졸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기를 가열할 때에는 열습포 또는 40℃ 이하의 더운물을 사용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8m 이상 둘것 [해설작성자 : 프로 칼잡이]
11.
저온장치 단열법 중 분말진공 단열법에서 충진용 분말로 부적당한 것은?
1.
퍼얼라이트
2.
규조토
3.
알루미늄
4.
글라스울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글라스 울 은 유리솜 이라 분말이 아님 [해설작성자 : 프로 칼잡이]
12.
다음은 도시가스가 안전하게 공급되기 위한 조건이다. 이 중 틀린 것은?
1.
공급하는 가스에 공기중의 혼합비율의 용량이 1/1000상태에서 감지할 수 있는 냄새를 첨가해야 한다.
2.
정압기 출구에서 측정한 가스압력은 150mmH2O 이상 250mmH2O 이내를 유지해야 한다.
3.
웨베지수는 표준 웨베지수의 ±4.5% 이내를 유지해야 한다.
4.
표준상태에서 건조한 도시가스 1m3당 황전량은 0.5g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13.
독성가스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갖추어야할 것이 아닌 것은?
1.
소화장비
2.
고무장갑
3.
제독제
4.
방독 마스크
정답 : [
1
] 정답률 : 67%
14.
다음 중 가연성 가스와 공기가 확산으로 급격히 혼합되어 일어나는 연소는?
1.
증발연소
2.
확산연소
3.
분해연소
4.
표면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81%
15.
압력조정기 출구에서 연소기 입구까지의 배관 및 호스는 얼마이내의 압력으로 기밀시험을 실시해야 하는가?
가연성 물질을 공기로 연소시키는 경우에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높게하면 연소속도와 발화온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1.
연소속도는 크게되고, 발화온도도 높아진다.
2.
연소속도는 크게되고, 발화온도는 낮아진다.
3.
연소속도는 낮게되고, 발화온도는 높아진다.
4.
연소속도는 낮게되고, 발화온도도 낮아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27.
압축기의 주요한 이상현상의 원인 및 조치 중에서 윤활유의 압력저하 원인에 대한 조치가 잘못된 것은?
1.
윤활유 펌프 불량시 점검 및 수리한다.
2.
관로기밀 불량으로 공기 혼입시 점검 및 수리한다.
3.
윤활유의 온도 저하시 온도를 높인다.
4.
관로의 오손 및 마멸시 플러싱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윤활유 압력저하 주요 원인과 적절한 조치 - 윤활유 펌프 불량 - 조치: 펌프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수리 또는 교체합니다. - 관로 기밀 불량으로 인한 공기 혼입 - 조치: 배관 연결부를 점검하고 누설 부위를 수리하여 기밀을 확보합니다. - 윤활유 온도 저하 - 조치: 예열 장치를 사용하거나 환경 온도를 조절하여 윤활유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합니다. - 윤활유 부족 또는 열화 - 조치: 윤활유의 양과 상태를 점검하고, 부족하면 보충하고 열화되었으면 교체합니다. - 필터 막힘 - 조치: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체하여 윤활유 흐름을 원활하게 합니다. - 압력계나 센서 이상 - 조치: 계측 장비를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교체합니다. - 배관의 오손 또는 마모 - 조치: 단순 오염은 플러싱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마모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배관을 교체해야 합니다. 단순 플러싱은 부적절한 조치로 간주될 수 있어요. [해설작성자 : 가스 합격하고 싶어요ㅠ]
28.
비체적과 밀도의 관계식 중 적절한 것은?
1.
밀도 = 22.4 / 분자량
2.
비체적 = 분자량 / 22.4
3.
밀도 = 1 / 비체적
4.
비체적 = 분자량 * 22.4
정답 : [
3
] 정답률 : 46%
29.
아세틸렌 검지를 위한 시험지와 반응 색은?
1.
KI전분지 - 청색
2.
염화제 1동 착염지 - 적색
3.
염화 파라듐지 - 적색
4.
초산납 시험지 - 흑색
정답 : [
2
] 정답률 : 41%
30.
다음의 고압가스의 양을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운반책임자를 동승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아세틸렌 가스 400 m3
2.
일산화탄소 700 m3
3.
액화 석유가스 2000 ㎏
4.
액화염소 6500 ㎏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운반책임자 동승기준 압축가스 - 가연성가스 - 300m2 이상 조연성가스 - 600m2 이상 액화가스 - 가연성가스 - 3000Kg 이상 조연성가스 - 6000Kg 이상 [해설작성자 : 가을빛추억]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안전운행 기준상 운행 중 가스의 온도는 몇 ℃를 초과 해서는 안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