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중 당해 설비내의 압력이 상용압력을 초과할 경우 즉시, 사용압력이하로 되돌릴 수 있는 안전장치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안전밸브
2.
감압밸브
3.
바이패스밸브
4.
파열판
정답 : [
2
] 정답률 : 50%
23.
공기 액화 분리장치에는 어떤 가스 때문에 가연성 단열재를 사용할 수 없다. 어느 가스 때문인가?
1.
질소
2.
수소
3.
산소
4.
알곤
정답 : [
3
] 정답률 : 57%
24.
액화암모니아 50kg을 충전하기 위한 용기의 내용적은 몇 ℓ인가? (단, C=1.86 이다.)
1.
93
2.
70
3.
40
4.
27
정답 : [
1
] 정답률 : 61%
25.
20RT의 냉동능력을 갖는 냉동기에서 응축온도가 +30℃, 증발온도가 -25℃일 때 냉동기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냉동기의 성적계수(COP)는 얼마인가?
1.
4.51
2.
14.51
3.
17.46
4.
7.46
정답 : [
1
] 정답률 : 26%
26.
폭발범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중 아세틸렌 가스의 폭발범위는 2.5∼81% 이다.
2.
공기중에서 보다 산소중에서의 폭발범위는 좁아진다.
3.
고온 고압일 때 폭발범위는 대부분 넓어진다.
4.
한계산소 농도치 이하에서는 폭발성 혼합가스를 생성하지 않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산소 중의 폭발범위는 공기 중의 폭발범위보다 넓어진다. [해설작성자 : 해설좀많이써줘]
27.
도시가스배관을 도로에 매설하는 경우 보호포는 중압이상의 배관의 경우에 보호판의 상부로부터 몇 cm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가?
1.
20cm
2.
30cm
3.
40cm
4.
60cm
정답 : [
2
] 정답률 : 63%
28.
고압가스 공급자의 안전점검 기준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충전용기 및 부속품, 가스렌지의 합격표시 유무
2.
충전용기와 화기와의 거리
3.
충전용기 및 배관설치상태
4.
독성가스의 경우 흡수장치, 보호구 등에 대한 적합여부
정답 : [
1
] 정답률 : 53%
29.
도시가스 도매사업의 가스공급시설에서 가스 누출 경보기의 설치기준이 아닌 것은?
1.
가스가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적절하게 설치할 것
2.
가스 누출 경보기 설치수는 도시가스의 누출을 신속하게 검지하고 경보하기에 충분한 수량일 것
3.
가스 누출 검지기의 기능은 가스종류에 적합할 것
4.
가스 누출 검지기는 높이와 관계없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 : [
4
] 정답률 : 77%
30.
LPG나 액화 가스와 같이 저비점이고 내압이 4-5 kg/cm2 이상인 액체일 때 사용되는 펌프의 메카니컬 시일 형식은?
1.
더블 시일형
2.
인사이드 시일형
3.
아웃사이드 시일형
4.
밸런스 시일형
정답 : [
4
] 정답률 : 69%
2과목 : 가스장치 및 기기
31.
고압가스 운반책임자의 자격이 될 수 없는 자는?
1.
안전관리원
2.
안전관리책임자
3.
안전관리총괄자
4.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운반에 관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한 자
정답 : [
3
] 정답률 : 41%
32.
다음 중 막식 가스 미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계량이 정확하다.
2.
대수요에 용이하다.
3.
설치 후 유지관리가 편리하다.
4.
사용 중 기차의 변동이 거의 없다.
정답 : [
3
] 정답률 : 42%
33.
온도를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1.
잠열
2.
숨은열
3.
현열
4.
기화열
정답 : [
3
] 정답률 : 59%
34.
저온장치 내부에서 수분과 탄산가스가 존재 되었을 때 미치는 영향 중 옳은 것은?
1.
얼음 및 드라이 아이스가 생성된다.
2.
수분은 윤활제로서 역할을 한다.
3.
가연성 가스가 침입될 시 안정제가 된다.
4.
오존이 들어오면 중화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35.
고압가스 냉매 설비의 기밀 시험시 압축공기를 공급할 때 공기의 온도는?
1.
40℃ 이하
2.
70℃ 이하
3.
100℃ 이하
4.
140℃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56%
36.
금속재료에 S, P, Ni, Mn과 같은 원소들이 함유하면 강에 영향을 미치는데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S :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2.
P : 상온취성을 개선시킨다.
3.
Mn : S와 결합하여 황에 의한 악영향을 완화시킨다.
4.
Ni : 저온취성을 개선시킨다.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함유 원소의 영향 탄소 : 탐소 함유량이 증가하면 인장강도와 항복점은 증가, 연신율과 충격치는 감소. 탄소함유량이 0.9% 이상이 되면 ㅁ반대로 인장강도와 항복점은 감소하여 취성이 증가한다. 망간 : 강의 경도, 강도, 점성강도를 증가시킨다. 인 : 경도를 증대하나 상온취성의 원인이 된다. 황 :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해설작성자 : Chat gpt]
37.
천연가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주성분은 CH4 이다.
2.
채굴된 천연가스에는 CO2, C3H8 등이 포함되어 있다.
3.
천연가스는 액체상태로 지하에 매장되어 있다.
4.
천연가스는 기화시에 체적이 약 600배로 팽창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38.
다음 가스용기의 밸브 중 충전구 나사를 왼나사로 정한 것은 어느 것인가?
1.
N2O
2.
C2H2
3.
CO2
4.
O2
정답 : [
2
] 정답률 : 66%
39.
공기를 함유하지 않은 할로겐 가스에는 내식성이 크지만 습 할로겐 가스에는 부식이 되는 관은?
1.
동관
2.
연관
3.
주철관
4.
강관
정답 : [
1
] 정답률 : 43%
40.
일산화탄소의 경우 가스누출 검지 경보장치의 검지에서 발신까지 걸리는 시간은 경보농도의 1.6배 농도에서 몇 초 이내이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60
정답 : [
4
] 정답률 : 32%
41.
다음 중 지연성 가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염소
2.
불소
3.
이산화질소
4.
이황화탄소
정답 : [
4
] 정답률 : 46%
42.
염소(Cl2)가스를 취급하다가 눈(目)이 중독되어 충혈 되었을 때, 응급처치의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1.
알콜로 소독한다.
2.
비누로 세수한다.
3.
붕산수 3% 정도로 씻어낸다.
4.
눈을 감고 쉰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43.
아세틸렌은 몇 % 이상의 구리합금을 사용해서는 안되는가?
1.
35
2.
42
3.
53
4.
62
정답 : [
4
] 정답률 : 64%
44.
도시가스배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희생양극법에 의한 전위 측정용 터미널은 몇 m 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는가?
1.
200m
2.
300m
3.
500m
4.
600m
정답 : [
2
] 정답률 : 57%
45.
저온저장 탱크에는 그 저장탱크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보다 저하함에 따라 그 저장탱크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다음 중 옳지 아니한 것은?
1.
진공 안전밸브
2.
다른 저장탱크 또는 시설로 부터의 가스도입 배관(균압관)
3.
압력과 연동하는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한 송액 설비
4.
안전밸브
정답 : [
4
] 정답률 : 47%
3과목 : 가스일반
46.
LP가스 생산과 관계없는 것은?
1.
원유를 정제하여 부산물로 생산
2.
가스전에서 부산물로 생산
3.
나프타 분해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산
4.
석탄을 건류하여 부산물로 생산
정답 : [
4
] 정답률 : 63%
47.
가스 중 음속보다 화염전파 속도가 큰 경우 충격파가 발생 하는데 이 때 가스 연소 속도로써 옳은 것은?
1.
0.3-100m/s
2.
100-300m/s
3.
700-800m/s
4.
1000-3500m/s
정답 : [
4
] 정답률 : 70%
48.
고압가스 제조설비에 누설된 가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재해조치를 해야 하는 가스가 아닌 것은?
1.
황화수소
2.
시안화수소
3.
아황산가스
4.
탄산가스
정답 : [
4
] 정답률 : 71%
49.
강제 기화장치 중 온수를 매체로 하는 기화방식이 아닌 것은?
1.
전기 가열식
2.
대기온 가열식
3.
증기 가열식
4.
가스 가열식
정답 : [
2
] 정답률 : 43%
50.
가정에서 액화 석유가스(LPG)가 누설될 때 가장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1.
리트머스 시험지 색깔로 식별
2.
냄새로서 식별
3.
누출시 발생되는 흰색 연기로 식별
4.
성냥 등으로 점화시켜 봄으로써 식별
정답 : [
2
] 정답률 : 71%
51.
액화 염소가스의 1일 처리능력이 38,000㎏ 일 때 수용정원이 350명인 공연장과의 안전 거리는 얼마로 유지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