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원은 국가 관료라는 지위를 가졌으나 경제적 여건은 일반 하급 관료에 비해 좋지 않은 편이었다.
3.
임금의 초상화를 그리는 도화서 소속 화가는 다른 화원에 비해 국가가 인정한 최상급 화가라는 자격을 부여받았다.
4.
도화서 소속 화가는 수입의 가장 많은 부분을 사적으로 주문된 그림을 제작하는 데서 얻었다.
5.
적은 녹봉에도 불구하고 화원이 되려는 경쟁이 치열했으므로 화원직의 세습은 힘들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1. 알 수 없음 2. 퇴근 후 사적 주문 그림으로 다른 하급 관료보다 풍요로웠음. 3. 화원의 일인 것 맞는데 ‘다른 하원에 비해’가 아님. 4. 정답 5. 조선 후기에는 독점함 [해설작성자 : 피셋초보]
2.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1.
주서는 사초에 근거하여 육조의 국정 업무 자료를 선별해 수정한 뒤 책으로 엮어 왕에게 보고하였다.
2.
형조에서 수집한 지방의 공문서는 승정원의 형방 승지를 통해 왕에게 보고되었다.
3.
왕이 사간원에 내리는 공문서는 사간원에 배치된 승지를 통해 전달되었다.
4.
사관의 역할을 겸하였던 주서와 승지는 함께 「승정원일기」를 작성하였다.
5.
경복궁에 보관되어 있던 「승정원일기」는 영조 대의 화재로 소실되었다.
정답 : [
2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1. 사초 + 승정원에서 처리한 공문서와 상소문 모음 2. 정답 3. 왕이 직접 내린다는 내용이 X 4. 함께 작성 X 5. 영조가 복원함 [해설작성자 : 피셋초보]
3.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것은?
1.
「농사직설」을 통한 벼농사 보급 이전의 조선에는 수인성 병균에 의한 질병이 발견되지 않았다.
2.
15~16세기 조선의 하천에서 번성하던 시겔라균이 17세기 이후 감소하였다.
3.
17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논의 미생물 생태계가 변화되어 이질 감소에 기여하였다.
4.
17세기 이후 조선에서 개간 대상 지역이 바뀌어 인구 밀집지역이 점차 하천 주변에서 산간 지역으로 바뀌었다.
5.
17세기 이후 조선 농법의 변화는 건조한 지역에도 농지를 개간할 수 있도록 하여 이질과 장티푸스 발병률을 낮추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9%
4.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것은?
1.
안전 제일의 원칙은 신고전주의 경제학에서 말하는 이윤 극대화를 위한 계산 논리에 부합한다.
2.
전자본주의 농업사회 농민들은 모험적인 시도가 큰 벌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했다.
3.
안전 추구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전자본주의 농업사회의 기술적 장치는, 사회적 장치들이 최소한의 생존을 보장하는 환경하에 발달했다.
4.
루손 지역의 농민들이 정액제로의 전환을 꺼렸던 것은 정액제를 택했을 때 생계에 관련된 위험성이 분익제를 택했을 때보다 작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5.
어느 농가의 수확량이 이전 연도보다 두 배로 늘었을 경우, 이전 연도 수확량의 절반을 내기로 계약하는 정액제를 택하는 것이 분익제를 택하는 것보다 이윤이 크다.
정답 : [
5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1. 안전제일의 원칙은 신고전주의의 논리에 부합하지 X 2. 인식했지만 가족 파멸시킬 수 있는 실패를 피하려고 함. 3. 필요로 한가지 보장한다는 말이 본문에 없음. 4. 정액제가 분익제보다 위험함. 분익제는 수확이 없으면 소작료를 요구하지 X 5. 정답. [해설작성자 : 피셋초보 ]
5.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1.
공공 공간으로서의 미술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사회 정의와 공동체 통합을 추구하는 활동이다.
2.
공공장소를 미화하는 미술은 공공 미술 작품의 미적 가치보다 사용가치에 주목하는 시도를 포함한다.
3.
공적인 관심을 증진하는 미술은 공중이 공유하는 문화 공간을 심미적으로 디자인하여 미술과 실용성을 통합하려는 활동이다.
4.
공공장소 속의 미술은 사회 변화를 위한 공적 관심의 증대를 목표로 공중 모두에게 공공장소에 대한 보편적 미적 만족을 제공한다.
5.
공공의 이익을 위한 미술은 공간적 제약을 넘어서 공중이 미술을 접할 수 있도록 작품이 존재하는 장소를 미술관에서 공공장소로 확대하는 활동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12%
6.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것은?
1.
약 섭씨 140도에서 포도당과 단백질 사슬 끝에 있는 아미노산이 반응하면 팝콘향을 내는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2.
마이야르 반응으로 생성되는 화학물질의 종류는 아미노산과 당의 종류보다는 주변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3.
아크릴피리딜은 당 분자의 사슬 구조 끝에 있는 포도당과 아르기닌이 반응함으로써 생성된다.
4.
멜라노이딘 계열 분자는 요리의 색을 결정할 뿐, 암을 유발하는 데 관여하지 않는다.
5.
마이야르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발암물질의 양은 반응 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약 섭씨 140도에서 포도당과 단백질 사슬 끝에 있는 아미노산이 반응하면 팝콘향을 내는 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포도당이 아미노산의 한 종류인 시스테인과 반응할 때 생성되는 아세틸피롤린은 팝콘향을 낸다.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