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주요 학습과 활동이 "열린교실" 내에서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계획 [해설작성자 : 하반기 취뽀 가즈아]
3.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애인 출입문의 전면 유효거리는 1.2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2.
접근로의 기울기는 18분의1 이하이어야 하며, 다만 지형상 곤란한 경우에는 12분의1까지 완화할 수 있다.
3.
건물을 신축하는 경우, 장애인용 화장실의 대변기 전면에는 1.4m×1.4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4.
장애인용 승강기의 승강장바닥과 승강기바닥의 틈은 2cm 이하이어야 하며, 승강장 전면의 활동공간은 1.2m×1.2m 이상 확보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4. 승강장 바닥과 승강기 바닥의 틈은 3cm 이하로 설치/승강기의 전면에는1.4 m×1.4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 [해설작성자 : 반혜원]
4.
(가)에 해당하는 주거단지 계획 용어는?
1.
슈퍼블록(super block)
2.
본엘프(Woonerf)
3.
쿨데삭(Cul-de-sac)
4.
커뮤니티(community)
정답 : [
3
] 정답률 : 48%
5.
주택법령상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5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 해당하는 주택을 말한다.
2.
소형주택의 경우 세대별로 독립된 주거가 가능하도록 욕실 및 부엌을 설치하면 지하층에 세대를 설치할 수 있다.
3.
단지형 연립주택의 경우 건축위원회의 심의를 받은 경우에는 주택으로 쓰는 층수를 10개 층까지 건축할 수 있다.
4.
소형주택과 주거전용면적이 85제곱미터를 초과하는 주택 1세대를 함께 건축하는 경우에 이 둘을 하나의 건축물에 건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1. 도시형 생활주택이란 전용면적 85m2이하인 30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을 의미한다. 2. 소형주택은 세대당 주거전용면적 50m2 이하인 주거형태를 말한다. 세대별로 독립된 주거가 가능하도록 욕실과 부엌을 설치할 수 있다.(전용면적 30미만:욕실을 제외한 부분을 하나의 실로 구성해야함) 지하층에 세대구성 불가함. 3. 단지형 연립주택은 연면적 660m2를 초과하며 심의를 받은 경우 최대 5개층까지 건축가능 4. 단지형과 원룸형은 하나의 건물에 함께 지을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도서관의 건축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서관의 현대적 기능은 교육 및 연구시설을 넘어 지역사회와 연계된 공공문화활동의 중심체 역할을 하므로 이러한 특징을 건축계획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2.
도서관은 이용자 안전을 보장하고 도서보관이 용이하도록 접근에 대한 강한 통제와 감시가 확보되어야 한다.
3.
도서관은 이용자와 관리자, 자료의 동선이 교차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도서관 공간구성에서 중심 부분은 열람실 및 서고이며 미래의 확장 수요에 건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