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및 부동산 가격 하락은 부의 효과(wealth effect)를 통해 소비를 더 크게 위축시킬 수 있다.
4.
전월 물가상승률이 10%에서 금월 1%로 하락하였다면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2%
7.
어떤 상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정하자.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이 이윤 극대화를 추구할 경우, 완전경쟁시장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잉여와 독점시장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잉여의 차이는? (단, P는 가격, Q는 수요량이고, 사회적 잉여는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합이다.)
어느 나라의 생산함수가 Y=AK0.4L0.6로 주어진 경우, 경제 성장률, 노동 증가율, 총요소생산성 변화율이 각각 5%, 5%, 1%라고 할 때, 다음 성장회계모형을 이용하여 자본의 기여도를 구하면?
1.
0.5%
2.
0.7%
3.
1.0%
4.
3.0%
정답 : [
3
] 정답률 : 39%
10.
다음은 시장 개방 후 어느 나라의 X재에 대한 국내 수요곡선과 국내 공급곡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현재 X재의 국내가격이 P0일 때, 정부가 수입 관세를 부과하여 X재의 국내가격이 P1으로 상승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관세부과를 제외한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
1.
관세부과 후 생산자잉여는 A만큼 감소한다.
2.
관세부과 후 경제 전체의 후생은 B+D만큼 감소한다.
3.
관세부과 후 정부는 C만큼의 관세수입을 얻는다.
4.
관세부과 후 소비자잉여는 A+B+C+D만큼 감소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0%
11.
공공재가 가지고 있는 중요한 두 가지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효율성, 형평성
2.
비경합성, 비배제성
3.
공공성, 가치성
4.
외부성, 대중성
정답 : [
2
] 정답률 : 47%
12.
X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1.
X재의 보완재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2.
X재의 대체재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
3.
X재가 정상재이고 소비자의 소득이 감소하는 경우
4.
X재가 열등재이고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는 경우
정답 : [
1
] 정답률 : 60%
13.
현재 국제 유가 급등으로 휘발유 가격이 폭등했다. 이때, 정부가 교통·에너지·환경세의 세율을 인하한다면, 휘발유 시장의 변화로 옳은 것은? (단, 소비자는 휘발유와 음식에만 자신의 소득을 지출하고 휘발유와 음식은 모두 정상재이며, 교통·에너지·환경세의 세율을 제외한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
1.
휘발유의 소비량은 변화 없다.
2.
휘발유의 소비량은 감소한다.
3.
휘발유의 시장 가격은 변화 없다.
4.
휘발유의 시장 가격은 하락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1%
14.
완전고용 상태에 도달한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업률은 자연실업률과 일치한다.
2.
마찰적 실업이 존재하지 않는다.
3.
실업자는 실망실업자로만 구성된다.
4.
모든 경제활동인구가 취업할 수 있게 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45%
15.
작년에 어느 나라의 감자 가격이 하락했음에도 감자에 대한 소비량은 감소했다. 이때, 이 나라에서 감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자는 기펜재(Giffen goods)이다.
2.
대체효과에 의해 감자의 소비량은 증가한다.
3.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면 감자의 소비량은 감소한다.
4.
감자 가격 하락에 따른 가격효과의 경우, 소득효과의 절댓값이 대체효과의 절댓값보다 작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16.
국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채의 수익률곡선이란 국채의 만기와 만기수익률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2.
만기수익률과 국채가격은 정(+)의 관계에 있다.
3.
유동성 프리미엄이론에 따르면 투자자들이 유동성위험을 감안하여 장기채권보다는 단기채권을 더 선호한다.
4.
일반적으로 정부의 국채발행은 확장적 재정정책을 위한 재원조달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40%
17.
어느 기업이 생산하는 물품에 대해 종량세를 부과하는 경우,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조세 부담이 가장 큰 것은? (단, 종량세의 세율은 같고, 해당 물품에 대한 수요곡선은 우하향하는 직선이고 공급곡선은 우상향하는 직선이다.)
1.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2,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1.8
2.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3,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0.7
3.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0.7,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0.3
4.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1.8,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0.2
정답 : [
1
] 정답률 : 48%
18.
잠재산출량 수준에서 생산하던 경제의 균형이 어떤 외생적 충격으로 인해 A에서 B로 이동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LRAS는 장기총공급곡선, SRAS는 단기총공급곡선, AD는 총수요곡선, P는 물가, Y는 실질 GDP이다.)
1.
A에서 B로의 이동을 야기했던 충격에는 예상하지 못한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이 포함된다.
2.
A에서 B로 이동할 때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난다.
3.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임금 등의 요소가격이 하락하면 경제는 C의 장기균형에 도달한다.
4.
정부는 이자율 인하나 정부지출 증가를 통해 경제가 C의 장기균형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19.
갑은 작년 4월에 연 2% 금리가 적용되는 정기예금에 가입했다. 소비자물가지수(CPI)의 변화가 다음과 같을 때, 해당 정기예금의 실질금리는? (단, 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로 계산한다.)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2
] 정답률 : 45%
20.
A국은 오랜 기간 동안 B국에 대해 대규모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어서 B국으로부터 무역수지 흑자 축소 요청을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