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직원은 컴퓨터 하드디스크 고장으로 교체 중에 있다. 다음 중 PC하드디스크 연결방법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E-IDE
2.
SATA
3.
DP
4.
SCSI
정답 : [
3
] 정답률 : 90%
19.
경리부에서 이번 분기 프린터 구입에 있어 프린터의 인쇄속도를 비교 중이다. 다음 중 프린터 인쇄속도와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PPM : 1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
2.
LPM : 10분당 인쇄되는 행 수
3.
CPS : 10초당 인쇄되는 자수
4.
PPH : 1시간당 인쇄되는 페이지수
정답 : [
1
] 정답률 : 81%
20.
시스템을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확장카드나 기타 장치를 뜻하는 것은?
1.
프로토콜
2.
에뮬레이터
3.
유틸리티
4.
네트워크 어댑터
정답 : [
4
] 정답률 : 95%
21.
RF방식의 마우스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방해물이 있으면 전혀 통과하지 못하고 10M이내의 수신거리에서만 사용가능하다.
2.
무선 입출력 장치는 항상 같은 방향으로 마주 보고 있어야 한다.
3.
무선주파수 방식이다.
4.
IR방식이라고도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RF(라디오 주파수) 방식과 IR(적외선) 방식 의 차이 RF : 주파수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장애물이 있어도 신호가 전달. 호가 벽이나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어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하다는 점. 금속성 물질이 신호를 방해할 수 있음. IR : 적외선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차단될 수 있어 반드시 수신부가 노출된 공간에 있어야 함. 장애물이 있으면 신호가 전달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MS Copilot (AI)]
22.
키보드의 접점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멤브레인 - 두 장의 필름을 겹쳐 놓고 그 위에 고무로 만든 키 캡 작동기를 올려놓은 구조로 주로 저가형 또는 보급형에 널리 사용된다.
2.
펜타그래프 - X자형의 특이한 키캡 지지대 덕분에 키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도 중앙을 눌렀을 때와 같이 입력이 되는 특징이 있으며, 소형화와 슬림화가 쉽고 비교적 저렴하여 노트북 및 미니사이즈 키보드에 자주 이용된다.
3.
기계식 - 각각의 키마다 독립적인 스위치가 존재하여 이를 PCB기판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키의 감촉과 정확성이 우수해 고가의 서버나 키보드 사용률이 높은 곳에 주로 사용된다.
4.
버클링 스프링 - 물리적인 접점을 가지지 않는 키보드 방식으로서, 캐퍼시터와 일련의 회로가 스위치의 역할을 대신한다.
IEEE1394 : 애플에서 개발한 직렬통신 방식으로, 최대 300MB/s 속도로 통신이 가능하다.
2.
유선(RJ-45) : 공유기에 연결하면 메인 PC가 꺼져있더라도 네트워크 프린터로 사용할 수 있으며, SEND기능, FAX전송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3.
USB :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형태다. USB 1.0의 A타입-A타입 케이블이 사용된다.
4.
무선(Wi-Fi) : 기본적으로 공유기와 무선으로 연결 가능한 제품을 뜻함. (Direct Wi-Fi 지원 시 PC만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26.
PC에 마우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이용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는?
1.
USB
2.
PS/2
3.
Serial
4.
IEEE1394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IEEE1394는 주로 비디오 카메라 및 외부 저장 장치와 같은 고대역 네트워크 및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다 [해설작성자 : .]
27.
주기억 장치로부터 수행할 명령을 가져와 레지스트리에 쓰기까지의 시간은?
1.
Search Time
2.
Instruction Time
3.
Seek Time
4.
Access Time
정답 : [
2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Search Time : 디스크의 헤드를 움직여 원하는 데이터가 있는 트랙으로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 2. Instruction Time : CPU에서 명령어를 해독하고 실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3. Seek Time :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계적인 저장 장치에서 주소를 찾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 4. Access Time : 저장 장치에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총 시간 [해설작성자 : .]
28.
ATX 메인보드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메인보드나 카드 등의 크기나 모양을 폼팩터(Form Factor)라고 하는데 ATX 방식은 바로 메인보드의 폼팩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ATX 메인보드의 특징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ATX는 구성 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확장성과 쿨링 성능을 개선하긴 했지만, CPU, MCH(Northbridge), ICH(Southbridge)를 반드시 횡렬로 일직선으로 배치하는 것은 아니며, 방열효과나 팬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설계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실제로는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부품 배치에 차이가 있고, 쿨링을 위해 별도의 팬이나 히트싱크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뚱멈]
29.
파워서플라이의 출력 DC 전압의 종류로 잘못된 것은?
1.
+3.3V
2.
+5V
3.
+10V
4.
+12V
정답 : [
3
] 정답률 : 78%
30.
메인보드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의 종류로 잘못된 것은?
1.
I/O 칩셋
2.
ActiveX
3.
바이오스
4.
배터리
정답 : [
2
] 정답률 : 93%
3과목 : 디지털 논리회로
31.
다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조치 방법은?
1.
HDD 재설치
2.
OS 업데이트
3.
드라이버 업그레이드
4.
BIOS 플래시
정답 : [
4
] 정답률 : 67%
32.
PC가 부팅할 때, 키보드의 Num Lock, Caps Lock, Scroll Lock의 LED가 한번 깜박거린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1.
키보드에 전원이 공급되었음을 의미한다.
2.
키보드 제어기와 CPU와 정보를 교환하며 자체 검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3.
키보드가 부팅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키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0%
33.
사용자 시스템에 Windows10 OS를 설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설치하는 동안 모든 설정과 파일이 그대로 유지되기를 원한다. 다음 중 사용해야 하는 업그레이드 방법은?
1.
네트워크 설치
2.
클린 설치
3.
인플레이스 업그레이드
4.
이미지 배포
정답 : [
3
] 정답률 : 78%
34.
사용자가 피아노 건반을 PC에 연결하려는 경우 피아노 건반과 PC에 연결하기 위해 확인해야 되는 인터페이스는?
1.
MIDI
2.
USB
3.
TCP
4.
HDMI
정답 : [
1
] 정답률 : 74%
35.
다음 중 PC의 RAM에 이상이 있을 경우 나타나는 증상은?
1.
POST 비프음
2.
캐패시터 팽창
3.
검은 화면
4.
잘못된 BIOS 시간
정답 : [
1
] 정답률 : 74%
4과목 : PC유지보수
36.
다음의 작업 관리자 메뉴 중 Windows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및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사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는?
1.
프로세스
2.
성능
3.
앱기록
4.
사용자
정답 : [
1
] 정답률 : 57%
37.
다음은 파워서플라이 커넥터의 일부분이다. 장착할 수 없는 장치를 찾으시오.
1.
케이스 팬(Fan)
2.
HDD
3.
ODD
4.
VGA
정답 : [
4
] 정답률 : 86%
38.
바이러스 침투를 막기 위해 부트섹터와 파티션 테이블에 기록이 되지 않도록 하는 Anti Virus Protection이 포함되어있는 Award BIOS의 메뉴로 올바른 것은?
1.
Standard CMOS Setup
2.
BIOS Features Setup
3.
Chipset Features Setup
4.
Power Management Setup
정답 : [
2
] 정답률 : 78%
39.
컴퓨터에 전원이 들어오면 BIOS내의 설정 값에 의해 컴퓨터가 장치들을 점검하고 사용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과정은?
1.
BOOT
2.
OS
3.
POST
4.
RAM
정답 : [
3
] 정답률 : 75%
40.
다음 그림은 메인보드 전면패널(F-Panel) 단자 그림이다. 규격에 맞는 커넥터를 찾으시오.
1.
1, 3 : HDD LED
2.
2, 4 : POWER S/W
3.
5, 7 : POWER LED
4.
6, 8 : RESET S/W
정답 : [
1
] 정답률 : 76%
41.
Windows에서 SYSTEM.INI를 편집하고자 한다. 편집이 불가능한 경우는?
1.
메모장을 이용하여 편집한다.
2.
MSCONFIG를 이용하여 편집한다.
3.
SYSEDIT를 이용하여 편집한다.
4.
SCANDISK를 이용하여 편집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81%
42.
메인보드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칩셋은 메인보드 상에 납땜으로 고정된 부품으로서 메인보드에서 사용 가능한 CPU 및 메모리 종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2.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메모리(RAM) 슬롯의 경우 전체 슬롯을 사용하지 말고, 1개 또는 2개의 여유 슬롯을 남겨 두어야 한다.
3.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고자 할 때 그 부품이 메인보드에서 지원 가능한 형태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4.
만약 장착한 CPU의 성능에 비해 실제 동작 속도가 현저히 낮게 동작한다고 판단될 경우 BIOS의 캐쉬 설정 부분이 활성 상태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비활성으로 되어 있으면 활성으로 설정을 바꾼다.
정답 : [
2
] 정답률 : 78%
43.
컴퓨터를 조립 및 분해하는 과정에서 주의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컴퓨터의 모든 커넥터는 반대로 연결 할 경우 들어가지 않으므로 방향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2.
정전기의 발생을 조심하여야 한다.
3.
잘 모르는 것이 있으면 매뉴얼을 참고하여야 한다.
4.
조립과 분해를 할 경우 주위를 정리하면서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88%
44.
다음 문제의 원인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1.
오래된 BIOS 문제
2.
파워서플라이 정격 출력 부족
3.
RAM 불일치 문제
4.
오래된 펌웨어 문제
정답 : [
2
] 정답률 : 83%
45.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 시스템 바이오스의 정보가 이전 상태와 같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점검해야 하는 것으로 올바른 것은?
1.
키보드 컨트롤러
2.
캐시
3.
배터리
4.
CPU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CMOS 배터리: 시스템의 날짜 및 시간 설정이 틀리거나 BIOS 설정이 초기화된 경우, CMOS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 배터리는 BIOS 설정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므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BIOS 설정 확인: BIOS 설정이 제대로 저장되지 않았거나 변경되었을 수 있습니다. BIOS에 들어가서 설정을 다시 확인하고 필요시 저장 후 종료하세요.
하드웨어 연결 상태: RAM, 그래픽 카드, 하드 드라이브 등의 하드웨어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느슨하게 연결된 부품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BIOS 업데이트: 오래된 BIOS 버전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제조업체의 웹사이트에서 최신 BIOS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윤새우]
46.
Windows에서 하나의 NIC에 여러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1.
라우팅 서비스
2.
공유 액세스
3.
바인딩
4.
멀티 프로토콜
정답 : [
3
] 정답률 : 49%
47.
TCP/IP 계층 중에서 응용계층에 해당하며 원격장치의 설정 및 네트워크 사용을 감시하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Telnet
2.
FTP
3.
SNMP
4.
IPX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TELNET : 원격 시스템에 로그인, 원격으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토콜 FTP : 파일 전송용 프로토콜 SNMP :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네트워크 장치, 서버 상태 감시 및 관리용 IPX (Internet Packet Exchange) : Novell Netware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해설작성자 : .]
48.
NetBIOS Protocol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이름지원 : 네트워크상에 자신의 컴퓨터와 그 컴퓨터가 속한 그룹명을 나타낸다.
2.
Session지원 :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거나 접속을 해제한다.
3.
Datagram지원 : 네트워킹의 기반이 되는 Datagram을 전송하고 받는 기능을 제공한다.
4.
Internet지원 :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 Internet에 컴퓨터를 연결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49.
패킷 스위칭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패킷은 통신회선과 패킷스위치를 통해 전달된다.
2.
store-and-forward 전송방식을 이용한다.
3.
링크에 도착한 패킷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필요 없다.
4.
패킷스위칭은 일반적으로 통계적 다중화(Statistical Multiplexing)을 이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50.
TCP/IP 프로토콜 군에서 UDP가 동작되는 계층은?
1.
전송 계층
2.
응용 계층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4.
인터넷 계층
정답 : [
1
] 정답률 : 58%
5과목 : PC네트워크
51.
스위칭 방법 중 컷스루(Cut-Through) 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가상 헤더에 목적지의 IP 주소와 송신측의 IP 주소, IP 헤더로 사용되는 TCP 프로토콜 유형번호, 헤더 및 사용자 데이터의 길이를 더한 값을 넣는 것이다.
2.
헤더의 목적지 주소만을 검색해서 프레임을 목적지 포트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3.
프레임의 시작인 프리앰블(Preamble)부터 FCS(Frame Check Sequence)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확인한 후 목적지 포트로 전송하는 방법이다.
4.
전체 프레임을 수신한 후 CRC 코드만을 삽입하여 목적지로 전송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52.
인터넷 프로토콜인 IP가 IPv4에서 IPv6로 성능이 개선되었다. 개선된 점이 아닌 것은?
1.
확장된 IP 주소공간(Expanded Addressing)
2.
규모 조정이 가능한 라우팅(Scalable Routing)
3.
네트워크에서의 감사기능과 보안기법 제공
4.
IPv4에 비해 IPv6는 헤더부분 축소
정답 : [
4
] 정답률 : 87%
53.
OSI 7 계층의 구조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네트워크→ 데이터 링크→ 물리→ 세션→ 표현 → 응용→ 전송
2.
응용→ 표현→ 세션→ 물리→ 데이터 링크→ 전송→ 네트워크
3.
세션→ 표현→ 물리→ 응용→ 전송→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4.
물리→ 데이터 링크→ 네트워크→ 전송 → 세션→ 표현→ 응용
정답 : [
4
] 정답률 : 72%
54.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