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유기적 건축-낙수장(Falling Water)
2.
르 꼬르뷔제(Le Corbusier)-근대건축의 5원칙-라투레트 수도원(Sainte Marie de La Tourette)
3.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적을수록 풍부하다(Less is more)-시그램 빌딩(Seagram Building)
4.
필립 존슨(Philip Johnson)-지역주의-로이드 보험 본사(Lloyd's of London)
정답 : [
4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리처드 로저스 - 하이테크 건축 [해설작성자 : 합격좀]
2.
기후대에 따른 토속건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온건조기후에서는 일사가 충분하므로 이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개구부의 수가 많고 크기 또한 크다.
2.
고온다습기후에서는 증발에 의한 냉각효과가 잘 일어나므로 습공기의 실내 체류 시간이 최대한 길게 설계되었다.
3.
온난기후에서는 따뜻한 기후가 유지되므로 처마 등의 차양으로 연중 최대한 일사가 들지 않도록 하였다.
4.
한랭기후에서는 열손실을 최소로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용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최소화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50%
3.
학교건축계획에서 교과교실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각 학급이 전용 일반교실을 가지며 특정 교과는 특별교실을 두고 운영한다.
2.
각 교과의 순수율이 높은 교실이 주어지며 시설의 수준이 높아진다.
3.
학생의 이동이 적으며 교실 이용률이 100%라 하더라도 반드시 순수율이 높다고 할 수 없다.
4.
초등학교 저학년에 가장 적합하며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홈베이스가 필요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교과교실형 - 모든 교실이 특정한 교과를 위해 만들어지고 일반 교실은 없다. + 이동시 소지품 보관장소와 동선에 주의 1. 일반교실특별교실(U.V형)의 내용이다. 3. 학생의 이동이 심하며 순수율이 높아지며, 이용율이 반드시 높다고 할 수 없다. 4. 종합교실형 A형(u형)의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욱아 보고있니?]
4.
난방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난방은 난방 휴지기간이 길면 동결의 우려가 있으나 증기난방에 비하여 쾌감도는 높다.
2.
증기난방은 현열을 이용하므로 배관 관경이 크고 열의 운반능력 또한 커서 연속난방에 적합하다.
3.
온풍난방은 예열시간이 짧아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나 소음이 크고 쾌감도가 낮다.
4.
복사난방은 방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난방효과가 있으며 방열기가 필요 없어 바닥면의 이용도가 높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5.
건축법령상 '건축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택의 대문
2.
공장의 담장
3.
높이 6미터의 고가수조
4.
지붕과 기둥만 있는 차고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고가수조는 8M 넘는경우 [해설작성자 : 우주대스타밍밍]
6.
「건축법 시행령」상 리모델링이 쉬운 구조의 요건이 아닌 것은?
1.
각 세대는 인접한 세대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통합하거나 분할할 수 있을 것
2.
구조체에서 건축설비, 내부 마감재료 및 외부 마감재료를 분리할 수 있을 것
3.
개별 세대 안에서 구획된 실(室)의 크기, 개수 또는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을 것
4.
세대 내부 내력벽 및 기둥의 길이 비율을 높여 경제성 확보 및 공기 단축을 유도할 수 있을 것
정답 : [
4
] 정답률 : 56%
7.
우리나라 전통건축 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첨차는 보방향으로 걸리고, 살미는 도리방향으로 걸리는 공포부재이다.
2.
평방은 외진기둥을 한 바퀴 돌면서 기둥머리를 연결한 부재로, 다포식의 경우에는 평방만으로 간포의 하중을 견디기 어려워 그 위에 창방을 올린다.
3.
소로는 주두와 모양이 같고 크기가 작은 부재로, 장혀나 공포재(첨차, 살미 등) 밑에 놓여 상부 하중을 아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4.
장혀는 포와 포 사이에 놓여 화반을 받치고 있는 부재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1. 첨자는 도리방향으로 놓인 부재이며, 살미첨자는 보방향의 첨자이다.
2. 평방과 창방이 바뀜.
4. 장혀(장여) : 도리 밑에 놓인 도리받침부재로 도리에 비해 폭이 좁으며 도리와 함께 서까래의 하중을 분담한다. - 장혀(긴장혀, 통장혀) : 다포식 건물 - 단장혀 : 주심포식 건물 - 뜬장혀 : 도리없이 장혀만 있는 것. [해설작성자 : 욱아 보고있니?]
8.
르네상스 시대 건축가와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정답 : [
1
] 정답률 : 26%
9.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다음 그림과 같이 복도의 벽에 손잡이를 설치할 때 규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4
] 정답률 : 35%
10.
업무시설 용도의 건축물에서 승강기 설치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승용승강기는 비상용승강기 구조로 하지 않는다)
1.
승강기 대수는 1시간 동안 실제 운반해야 할 총인원수를 5분간 1대가 운반하는 인원수로 나눈 값으로 산정한다.
2.
승강기 운행형식 중 스킵스톱운행은 2대 이상의 승강기를 병설하는 경우에 주로 적용하여 승강장 수를 줄일 수 있으나 시설비가 많이 든다.
3.
건축법령상 6층 이상의 거실 면적의 합계가 5,000m2인 경우 16인승 승용승강기로 계획한다면 1대를 설치한다.
4.
건축법령상 높이 31m를 넘는 각 층의 바닥면적 중 최대 바닥면적이 5,000m2인 경우 비상용승강기는 2대를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0%
11.
공연장 평면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레나(arena)형은 무대배경을 만들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2.
프로시니엄(proscenium)형은 가까운 거리에서 가장 많은 관객을 수용할 수 있고 연기자와의 접촉면도 넓다.
3.
오픈 스테이지(open stage)형은 연기자가 다양한 방향감 때문에 통일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쉽지 않다.
4.
가변형 무대(adaptable stage)는 작품의 성격에 따라 연출에 적합한 성격의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프로시니엄형의 특징 - 연기자와 관객의 접촉면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많은 관람객을 두려면 거리가 멀어져 객석 수용능력에 제한을 받는다.
+ 추가적 내용 - 연기자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관객을 대하게 된다. - 배경이 한폭의 그림과 같은 느낌을 주게 되어 전체적인 통일의 효과를 얻는 데 가장 좋은 형태이다. - 강연, 독주, 음악회, 연극공연에 좋다 [해설작성자 : 욱아 보고있니?]
12.
기계식 주차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시간 내에 많은 차량의 주차가 가능하다.
2.
고층의 입체적인 주차가 가능하므로 지가(地價)가 비싼 대지에 유리하다.
3.
기계 고장 시 승강 및 피난이 어렵다.
4.
자주식에 비해 운영비가 많이 든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기계식 주차는 오래걸려요 [해설작성자 : 밥익힘]
13.
게슈탈트(gestalt) 이론에 따른 지각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속성(good continuation)-형이나 그룹이 방향성을 잃고 단절되어 지각되는 경향
2.
폐쇄성(closure)-불완전한 형이나 그룹이 완전한 형이나 그룹으로 완성되어 지각되는 경향
3.
근접성(proximity)-형이나 그룹이 가까이 있을수록 분리된 것으로 지각되는 경향
4.
유사성(similarity)-유사한 모양의 형이나 그룹을 하나의 부류로 지각하지 못하는 경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