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쓰레기 없는 푸른 날을 꿈꾸고 있습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바다를 서서히 죽이는 보이지 않는 독입니다. 우리의 관심만이 다시 바다를 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2.
우리가 버린 쓰레기는 바다로 흘러갔다가 해양 생물의 몸에 축적이 되어 해산물을 섭취하면 결국 다시 우리에게 돌아오게 됩니다.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고 일회용품을 줄이는 것이 바다도 살리고 우리 자신도 살리는 길입니다.
3.
여름만 되면 피서객들이 마구 버린 쓰레기로 바다가 몸살을 앓는다고 합니다. 자기 집이라면 이렇게 함부로 쓰레기를 버렸을까요? 피서객들의 양심이 모래밭 위를 뒹굴고 있습니다. 자기 쓰레기는 자기가 집으로 되가져가도록 합시다.
4.
산업 폐기물이 바다로 흘러가 고래가 죽어 가는 장면을 다큐멘터리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이대로 가다간 인간도 고통받게 되지 않을까요? 정부에서 산업 폐기물 관리 지침을 만들고 감독을 강화하지 않는다면 바다는 쓰레기 무덤이 되고 말 것입니다.
정답 : [
3
] 정답률 : 86%
2.
다음 대화에 나타난 말하기 방식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백 팀장은 팀원들에 대한 유대감을 드러내는 표현을 사용하며 자신의 바람을 전달하고 있다.
2.
고 대리는 백 팀장의 제안에 반대하는 이유를 명시적으로 밝히며 백 팀장의 요청을 거절하고 있다.
3.
임 대리는 발언 초반에 백 팀장 발언의 취지에 공감하여 백 팀장의 체면을 세워 주고 있다.
4.
임 대리는 대화 참여자의 의견을 묻는 의문문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견을 간접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4%
3.
관용 표현 ㉠~㉣의 의미를 풀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심한 어려움을 겪었다
2.
㉡: 오랫동안 일을 하여 그 일에 익숙한
3.
㉢: 돌아서 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4.
㉣: 비슷한 지위나 힘을 가지는
정답 : [
3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입추의 여지가 없었다 : 송곳 끝도 세울 수 없을 정도라는 뜻으로, 발 들여놓을 데가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꽉 들어찬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해설작성자 : 멍멍복실]
4.
다음 글에서 (가)~(다)의 순서를 자연스럽게 배열한 것은?
1.
(가)-(나)-(다)
2.
(가)-(다)-(나)
3.
(나)-(가)-(다)
4.
(다)-(나)-(가)
정답 : [
2
] 정답률 : 83%
5.
㉠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수심이 얕아서 항구로 개발하기 어려운 공간이다.
2.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평야가 발달하지 않은 공간이다.
3.
지역의 경제적 여건에 비해 인구가 적지 않은 공간이다.
4.
누구나 인정할 만한 지역의 명산물로 안개가 유명한 공간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누구나X, '나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 필자에 한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사자성어로 적절한 것은?
1.
刻舟求劍
2.
捲土重來
3.
臥薪嘗膽
4.
針小棒大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 刻舟求劍 각주구검 = 어리석고 미련하여 융통성이 없음 2. 捲土重來 권토중래 = 실패하고 떠난 후 실력을 키워 다시 도전함 3. 臥薪嘗膽 와신상담 =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고난도 감수함 4. 針小棒大 침소봉대 = 작은 일을 크게 과장하여 말함 [해설작성자 : 리지현]
7.
다음 글을 감상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동일 구절을 반복하여 '너'에 대한 섭섭한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2.
날짜 수를 대조하여 헤어진 기간이 길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3.
동일한 어휘를 연쇄적으로 나열하여 감정의 기복을 표현하고 있다.
4.
단계적으로 공간을 축소하여 '너'를 만날 수 있다는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8.
(가)와 (나)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가): 음성 기관의 움직임이 모어의 음성에 맞게 자동화되어 (나):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면이 있음을
(가): 음성 기관의 움직임이 모어의 음성에 맞게 자동화되어 (나): 유아기에 수행한 훈련이 효과적이지 않음을
4.
(가): 낯선 음성은 무의식적으로 발음하도록 훈련되어 (나):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면이 있음을
정답 : [
1
] 정답률 : 85%
9.
㉠~㉣ 중 한글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4.
㉢, ㉣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섭섭지 ㉣ 생각건대 [해설작성자 : 리지현]
10.
㉠~㉣의 한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到着
2.
㉡: 佛像
3.
㉢: 境地
4.
㉣: 記憶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4. 기억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인간의 정신 활동은 프레임 없이 일어나지 않는다.
2.
프레임은 인간이 세상을 바라볼 때 어떤 편향성을 가지게 한다.
3.
인간의 지각과 사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프레임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다.
4.
프레임은 인간의 정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떤 맥락이나 평가 기준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12.
다음 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보잉은 시스템의 불완전성을, 에어버스는 인간의 실수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2.
베테유는 인간이 실수할 수 있는 존재라고 보지만 윌리엄 보잉은 그렇지 않다고 본다.
3.
에어버스의 조종사는 항공기 운항에서 자동조종시스템을 통제하고 조작한다.
4.
보잉의 조종사는 자동조종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항공기를 조종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77%
13.
다음 글에서 추론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자신이 처한 위험한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경우에는 공포감에 비해 불안감이 더 크다.
2.
전기ㆍ가스 사고가 날까 두려워 외출하지 못하는 사람은 불안한 상태에 있는 것이다.
3.
시험에 불합격할 수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사람은 공포감에 빠져 있는 것이다.
4.
과거에 큰 교통사고를 경험한 사람은 공포감은 크지만 불안감은 작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지문에서 실재하는 객관적 위협에 의해 야기된 상태 >공포 현재 발생하지 않았으며 미래에 일어날지 모르는 불명확한 위협에 의해 야기된 상태 >불안 라고 설명 1번과 4번. 지문에서 서로 영향을 줄 뿐 공포와 불안의 크기는 설명하지 않았다 3번. ~수도 있다(미래에 일어날 지 모름)> 불안 2번.~날까 두려워(미래에 일어날 지 모름)>불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ㄱ 뜻은 다른데 소리는 같음(동음이의 관계) ㄴ 모든 단어에 눈을 마주치면서 제대로 인식 = 정교한 독서 ㄷ 지문에 적힌 정속독 = 바르고 빠른 읽기 문제에 적힌 정속독 = 정교하고 빠른 읽기 ㄹ 지문(정교한 독서 + 빠른 독서 > 정속독, 정교한 독서가 우선) 문제에서 ㄹ 은 난독의 일종이다 > 정교한 독서가 빠진 것이 난독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글을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갑작스럽게 변화한 자연 현상을 감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2.
청각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3.
소나기가 그치고 맑은 구름이 펼쳐진 것을 통해 사랑의 속성을 드러내고 있다.
4.
매미 울음소리가 절정에 이르렀다가 사라진 직후의 상황을 반어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18.
다음 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계몽사상은 서사시의 시대에서 철학의 시대로의 전환을 이끌었다.
2.
플라톤의 이데아는 신탁이 사라진 시대의 비극적 세계를 표현한다.
3.
루카치는 각기 다른 기준에 따라 그리스 세계를 세 시대로 구분하였다.
4.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 비해 「오디세이아」에서는 신과 인간의 결합 정도가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계몽사상이 서사시의 시대에서 철학의 시대로의 전환을 이끌었다는 내용은 없음 2. 플라톤의 이데아는 철학의 시대에서 신과 인간의 세계가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신의 세계는 인격적 성격을 상실하여 바뀌는 추상성의 세계를 뜻함 3. 루카치는 신과 인간의 결합 정도를 가리키는 '총체성' 개념을 기준으로 그리스 세계를 세 시대로 구분함. 각기 다른 기준 X 하나의 기준(총체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1.
몽유자가 꿈속 인물들의 모임에 직접 참여하는지, 참여하지 않는지에 따라 몽유록의 유형을 나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