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쇠는 점성, 소성 또는 마찰에 의해 구조물에 입력된 동적 에너지가 소산되어 구조물의 진동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2.
중간모멘트골조는 지진력의 25%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이다.
3.
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진에 의한 진동으로 특정위치에서의 지반이 수평 2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인 가속도의 절대값의 최댓값이다.
4.
내진성능수준은 설계지진에 대해 시설물에 요구되는 성능수준으로 기능수행수준, 즉시복구수준, 장기복구/인명보호수준과 붕괴방지수준으로 구분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이중골조방식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1.
인장지배단면
2.
포스트텐션 정착구역
3.
스트럿-타이모델에서 스트럿, 절점부 및 지압부
4.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
정답 : [
4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인장지배/포스트텐션 : 0.85 스트럿 타이 모델 스트럿 절점부 및 지압부:0.75 무근 콘크리트: 0.5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산정에 사용되는 보정계수가 아닌 것은? (단,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구한다)
1.
마찰계수
2.
도막계수
3.
경량콘크리트계수
4.
철근배치 위치계수
정답 : [
1
] 정답률 : 56%
4.
그림과 같은 양단 지지조건을 가지는 강구조 압축재에 대한 탄성좌굴하중의 비 (a):(b):(c)는? (단, 압축재의 길이, 재질 및 단면은 모두 동일하며, 자중은 무시하고 유효좌굴길이계수는 이론값을 적용한다)
1.
4:2:1
2.
1:2:4
3.
16:4:1
4.
1:4:16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고정자유의 탄성좌굴하중 비는 0.25 양단힌지의 비는 1 양단고정의 비는 4 0.25 : 1 : 4 각 항에 4를 곱하면 1 : 4 : 16 [해설작성자 : 차에코푼스키]
5.
건축구조기준에서 강도설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으로 구조물을 설계하는 경우 하중조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정하중(D), 활하중(L), 지진하중(E), 풍하중(W), 적설하중(S)만 고려하며,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 저감은 고려하지 않는다)
1.
1.4D+1.0W
2.
1.2D+1.6L+0.5S
3.
1.2D+1.0E+1.0L+0.5S
4.
0.9D+1.3W+1.0L+0.2S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1.4(D+L) 2) 1.2(D+F+T)+1.6L+0.5(Lr or S or R) 3) 1.2D+1.6(Lr or S or R)+1.OL or 0.5W 4) 1.2D+1.0W+1.OL+0.5(Lr or S or R) 5) 1.2D+1.OE+1.OL+0.2S 6) 0.9D+1.OW 7) 0.9D+1.OE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그림과 같이 도심을 지나는 x축, y축에 대한 직사각형 단면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y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는 0이다.
2.
x축, y축에 대한 단면상승모멘트는 0이다.
3.
주축은 서로 직교하지 않고 45°의 각도를 이룬다.
4.
주축에 대한 단면상승모멘트는 0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7.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하며, 보의 길이는 일정하고, 보의 전 길이에 걸쳐 재질 및 단면은 동일하며, 부재는 선형 탄성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하중 P1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폭(b)이 2배가 되면 부재의 최대 처짐은 2배가 된다.
2.
하중 P1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높이(h)가 2배가 되면 부재의 최대 처짐은 1/4배가 된다.
3.
하중 P2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폭(b)이 2배가 되면 부재의 축방향 변위는 1/4배가 된다.
4.
하중 P2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높이(h)가 2배가 되면 부재의 축방향 변위는 1/2배가 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8.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에서 b점과 c점의 처짐을 각각 δb와 δc라고 할 때, 두 처짐의 비 δb/δc는?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하며, 보의 전 길이에 걸쳐 재질 및 단면은 동일하고, 부재는 선형 탄성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1/2
2.
2/3
3.
2/5
4.
3/7
정답 : [
3
] 정답률 : 50%
9.
조적구조의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적허리벽이 모멘트골조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 허리벽에 의한 기둥길이의 감소효과를 구조해석과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2.
조적채움벽이 모멘트골조로부터 이격되지 않아서 구조요소로 역할을 할 경우에는 채움벽의 영향을 구조해석에서 고려해야 한다.
3.
철근콘크리트모멘트골조 또는 철골모멘트골조의 내부에 밀착하여 채움벽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채움벽의 강성 및 강도 기여도를 고려해야 한다.
4.
철근콘크리트모멘트골조 또는 철골모멘트골조의 내부에 밀착된 채움벽체의 대각방향 압축대의 강도는 골조의 강성을 고려한 유효폭을 산정하여 골조의 강도 및 강성 증가 효과를 고려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조적허리벽이 모멘트골조로부터 이격되지 않은 경우에는 허리벽에 의한 기둥길이의 감소효과를 구조해석에 반영해야함. [해설작성자 : 차에코푼스키]
10.
목구조 부재설계기준에서 수평하중저항구조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격막구조는 콘크리트구조 및 조적조에 따라 유발되는 지진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모든 격막구조는 인장 및 압축 하중을 전달하도록 가장자리에 경계부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3.
개구부 주변의 경계부재는 전단응력을 분산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4.
격막의 덮개용 목질판상재를 경계부재의 이음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바닥격막구조는 콘크리트구조 및 조적조에 의하여 유발되는 지진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서는 안된다. 기둥, 보 등의 구조부재와 구조부재 사이의 접합부는 지진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해야함. [해설작성자 : 차에코푼스키]
11.
지반개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반의 지지력 증대, 기초의 부등침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2.
주입공법은 시멘트, 약액 등을 주입하여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3.
웰포인트 공법은 주로 연약 점토질지반 개량에 사용되는 치환공법이다.
4.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은 주로 사질지반 개량에 사용되는 다짐공법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웰포인트 공법은 사질지반에 사용하는 공법 샌드드래인 공법이 점토질 지반에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나는 윤오]
12.
건축물 내진설계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내진등급과 내진설계 중요도계수를 결정한다.
2.
내진등급은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 내진Ⅱ등급, 내진Ⅲ등급으로 구분된다.
3.
평면비정형성의 유형에는 비틀림비정형, 요철형평면, 격막의 불연속, 면외 어긋남, 비평행시스템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