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측광창(top side light) 형식은 관람자의 위치(중앙부)는 어둡고 전시 벽면의 조도는 밝다.
2.
측광창(side light) 형식은 직접 측면창에서 광선을 사입하는 방식으로 대규모 전시실에 적합하다.
3.
고측광창(clearstory) 형식은 천장 상부에서 경사 방향으로 광선을 벽에 사입하는 방식이다.
4.
정광창(top light) 형식은 천장의 중앙에 천창을 계획하며 전시실 채광방식 중 가장 불리한 방식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 정측광창(top side light monitor) 형식 - 관람자의 위치(중앙부)는 어둡고 전시 벽면의 조도가 밝은 이상적인 형식이다. - 천장이 높기 때문에 측광창의 광선이 약할 우려가 있다. 2. 측광창(side light) 형식 - 전시실 채광 방식 중 가장 불리하다. - 소규모 전시실 이외는 부적합하다. - 광선의 확산, 광량의 조절, 열전열설비를 병용하는 것이 좋다. 3. 고측광창(clerestory) 형식 - 천장에 가까운 측면에서 채광하는 방법 - 측광창식, 정측광창식의 절충 방식 4. 정광창(top light) - 전시실 중앙을 밝게 하여 전시 벽면 조도를 균등하게 한다. - 천장의 직접 광선을 막기 위해 천장 부분에 루버를 설치하거나 2중으로 한다. - 채광량이 많아 조각품 전시에 적합하고 유리창 내의 공예품 전시에는 부적합하다. [해설작성자 : 이제부터 공부 시작]
2.
공장건축의 레이아웃(layout)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정중심의 레이아웃은 선박과 같이 제품이 크고 수량이 적은 경우에 적합하다.
2.
제품중심의 레이아웃은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생산성이 높다.
3.
연속작업식 레이아웃은 다품종 소량생산, 주문 생산에 적합하다.
4.
고정식 레이아웃은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공정과 기계를 집합 배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 공정중심의 레이아웃 : 동일 종류의 공정, 즉 기계로 그 기능이 동일한 것. 혹은 유사한 것을 하나의 그룹으로 집합시키는 방식,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예상생산이 불가능한 경우, 표준화가 행해지기 어려운경우, 생산성이 낮으나 주문공장생산에 적합. 2. 연속작업식 레이아웃(=제품중심의 레이아웃) :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 기계기구를 제품의 흐름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 대량생산가능, 생산성 높음, 공정시간의 시간적 수량적 밸런스가 좋고 상품의 연속성이 가능하게 흐를 경우 성립 3. 고정식 레이아웃 : 주가되는 재료나 조립부품이 고정된 장소에 사람이나 기계는 그 장소에 이동해가서 작업이 행해지는 방식, 제품이 크고 수가 극히 적을 경우(선박, 건축) [해설작성자 : 일우엄마]
3.
단지의 동선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행자동선은 대지 주변부의 자동차전용 도로와 연결하고 오르내림을 없게 한다.
2.
보행자동선은 놀이터나 공원 등과 인접시켜 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고 가로의 활력을 도모하는 것이 좋다.
3.
쿨데삭(cul-de-sac)을 활용하면 입체적인 보차분리가 가능하며,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4.
오버브리지(overbridge), 언더 패스(under path), 지상인공지반 등은 평면적인 보차분리 방식이다.
<문제 해설> 1. 중정형 하우스 (patio house) - 각 호마다 전용의 중정을 갖고 있는 형식의 테라스 하우스로 1세대, 단층형의 주택이며, 거주 영역에 따라 L타입, U타입, B타입의 court-yard house 형식이 있다. 2. 타운하우스 (town house) - 테라스 하우스와 같이 각 호마다 전용의 뜰을 갖고 있으며 또한 공용의 뜰, 어린이 놀이터, 보도, 차도, 주차장 등의 오픈 스페이스를 갖고 있는 형식의 연립주택이다. 3. 로 하우스 (low house) - 타운하우스와 마찬가지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 건설비의 절약, 유지관리비의 절감을 고려한 형식으로 단독주택보다 높은 밀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반 공동시설도 단지 규모에 따라 적절히 배치할 수 있어 도시형 주택의 이상형이다.
+) 테라스 하우스 (terrace house) - 경사지에 적절한 절토에 의하여 자연 지형에 따라 건물을 테라스형으로 축조하는 것으로 각호마다 전용의 뜰(정원)을 갖는다. [해설작성자 : 이제부터 공부 시작]
5.
빛의 단위와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속의 단위는 루멘(lm)이며, 복사속 중에서 우리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빛의 양이다.
2.
광도의 단위는 니트(nt)이며, 단위면적에서 발산하는 광속이다.
3.
조도의 단위는 럭스(lx)이며, 어떤 면에 투사되는 광속의 밀도이다.
4.
휘도의 단위는 cd/m2이며, 특정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빛의 밝기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광속의 단위는 루멘(lm), 광원이 방출하는 가시광선의 총량 2. 광도의 단위는 칸델라(cd), 점광원에서 특정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의 단위 입체각당 광속 (일반적인 촛불 1개의 밝기) 3. 조도의 단위는 럭스(lx), 단위면적에 비춰지는 빛의 밝기 4. 휘도의 단위는 cm/m2, 광원에서 방출되거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이 사람 눈에 보이는 밝기
그러므로 틀린 것은 2번 입니다. 니트(nt)는 휘도의 단위로, 광원으로부터 복사되는 빛의 밝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이제부터 공부 시작]
6.
근대건축 사조 중의 하나인 데 스틸(De Stij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2.
국립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근대건축 확산에 이바지하였다.
3.
게리트 토머스 리트벨트(Gerrit Thomas Rietveld)의 슈뢰더 주택(Schröder House)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4.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의 신조형주의 이론은 데 스틸(De Stijl)의 미학적 기본원리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데 스틸(De Stijl) 건축 - 데 스틸 그룸은 1917년 네덜란드에서 정기간행물 '데 스틸(De Stijl)'지와 함께 창설되었다. - 화가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 이론으로부터 유래된 데 스틸의 조형적, 미학적 기본원리로 하여 회화, 조각, 건축 등 조형예술 전반에 걸쳐 전개하였다. - 단순, 명쾌, 획일, 간결, 객관성을 미학적, 윤리적 기초로 삼은 근대운동이다. - 슈뢰더 하우스(Schröder House)는 데 스틸 양식으로 세워진 가장 건축물이다. [해설작성자 : 이제부터 공부 시작]
7.
고층 사무소에 엘리베이터 6대를 대면배치하고자 한다. A사무소는 고층행, 저층행 구분 없이 한 그룹으로 운영하고 B사무소는 한쪽은 고층행, 한쪽은 저층행의 두 그룹으로 운영할 경우, 각 사무소의 엘리베이터 대면거리를 가장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다음 그림은 엘리베이터 평면도임)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2
] 정답률 : 41%
8.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상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세대 내의 층간바닥 기준에 적합한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공업화주택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