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출력용 HWP, PDF : [다운로드]

아래 화면과 같은 방식의 웹 버전 링크 복사 기능 : [바로가기]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 2025년04월05일 기출문제

1과목 : 과목 구분 없음

1. 건축구조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성이란 구조물이나 구조부재의 변형에 대한 저항능력이다.
   2. 가설구조물이란 건축구조물의 축조를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시설이다.
   3. 강도란 구조물이나 구조부재가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힘 또는 모멘트에 저항하는 능력이다.
   4. 부재력이란 하중 및 외력에 의하여 구조부재에 생기는 단위면적당 힘의 세기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건축물의 중요도 분류에서 중요도(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5층 아파트
   2. 연면적 30,000m2의 종합병원
   3. 연면적 1,500m2의 방송국
   4. 비상시의 긴급대피수용시설로 지정된 학교 건축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목구조의 결합방법 중 모서리 부분에서 각 부재의 끝면이 보이지 않도록 접합하는 방법은?
   
   1. 쐐기
   2. 장부
   3. 연귀
   4. 인사이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내진Ⅰ등급 구조물에서 층고가 4m인 층의 최대 허용층간변위[mm]는?
   
   1. 40
   2. 60
   3. 80
   4. 1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부재의 길이가 1m이고 한변의 길이가 10mm인 정사각형 단면에 2kN의 축방향 인장력이 작용하여 길이가 1mm 늘어났을 경우, 재료의 탄성계수[MPa]는? (단, 재료는 탄성범위 내에서 거동한다)
   
   1. 200
   2. 2,000
   3. 20,000
   4. 200,0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휨부재의 추가 장기처짐 설계에서 5년 이상 지속압축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지속하중에 대한 시간경과계수 의 값은?
   
   1. 1.0
   2. 1.2
   3. 1.4
   4. 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강구조 하중저항계수 설계법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셋플레이트:트러스의 부재, 스트럿 또는 가새재(브레이싱)를 보 또는 기둥에 연결하는 판요소
   2. 네킹:재료의 압축시험 시 항복하중에 도달하여 시험체가 잘록해지는 부분
   3. 필릿용접:용접되는 부재의 교차되는 면 사이에 일반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이 만들어지는 용접
   4. 비가새골조:부재 및 접합부의 휨저항으로 수평하중에 저항하는 골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그림과 같이 내민보에 등분포하중 10kN/m가 작용할 때, A 지점의 수직반력[kN]은?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1. 30
   2. 40
   3. 60
   4. 8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하중저항계수 설계법에 따른 강구조 부재설계 기준에서 압축부재의 상단부가 회전고정 및 이동자유, 하단부가 회전자유 및 이동고정일 경우 유효길이계수 의 이론값은?
   
   1. 0.8
   2. 1.2
   3. 2.0
   4. 2.1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인장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산정에 고려하지 않는 것은?
   
   1. 철근의 공칭지름
   2. 철근의 탄성계수
   3.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4.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 BE에 작용하는 부재력[kN]의 절댓값은? (단, 부재의 자중은 무시한다)
   
   1. 0
   2. 100
   3. 266.67
   4. 333.3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30MPa일 때, 콘크리트 등가 직사각형 압축응력블록의 깊이 계수 β1의 값은?
   
   1. 0.8
   2. 0.85
   3. 0.9
   4. 1.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한쪽에만 슬래브가 있는 반 T형보의 유효폭 산정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bw는 반 T형보의 복부 폭이며, 두께가 균일한 슬래브와 보를 일체로 타설하였다)
   
   1. 보의 경간의 1/4
   2. (보의 경간의 1/12) + bw
   3. (인접 보와 내측 거리의 1/2) + bw
   4. (한쪽으로 내민 플랜지 두께의 6배) + bw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4.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설계에서 인장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가 500MPa일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의 최솟값은? (단, 보의 단면은 인장지배단면이다)
   
   1. 0.004
   2. 0.005
   3. 0.006
   4. 0.0062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단면과 변형률 분포에서 설계휨강도를 계산할 때, 중립축 깊이 c[mm]의 값은? (단,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는 0.0099,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ck는 27MPa, 단면의 유효깊이는 600mm, εcu는 콘크리트의 극한변형률이다)
   
   1. 100
   2. 120
   3. 150
   4. 2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강합성구조에서 철근이 배근된 충전형 및 매입형 합성부재의 설계전단강도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단, 철근은 최소철근비 이상 배근되어 있다)
   
   1. 철근만의 설계전단강도
   2. 콘크리트만의 설계전단강도
   3. 강재단면만의 설계전단강도
   4. 강재단면의 공칭전단강도와 콘크리트의 공칭전단강도의 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보에서 자유단에 집중하중(P)이 작용할 때의 자유단 처짐(δa)과 등분포하중(w)이 작용할 때의 자유단 처짐(δb)이 동일할 경우, 등분포하중(w)의 크기는? (단, 두 보의 휨강성은 EI로 동일하며, 선형탄성거동 하고 자중을 포함한 기타 하중의 영향은 무시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얕은기초의 지반 분류에 따른 추정 수직 지지력[kN/m2]으로 옳은 것은?
   
   1. 모래:100
   2. 퇴적암:300
   3. 모래질 자갈:180
   4. 결정질 기반암:70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강구조에서 집중하중이나 반력에 바로 인접한 부위 웨브판의 국부파괴 한계상태는?
   
   1. 국부휨
   2. 웨브 횡좌굴
   3. 횡비틀림좌굴
   4. 국부크리플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그림과 같은 조건을 갖는 단순보의 전단력도와 휨모멘트도로 옳은 것은?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