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경이 2.22×10-3m, 길이가 0.317m인 작은 관에 0.275m/s의 속도로 유체가 층류로 흐를 때 유량은? (단, 이때 점도는 1.13×10-3Paㆍs, 액체의 밀도는 875㎏/m3이다.)
1.
1.06×10-6m3/s
2.
0.27m3/s
3.
5.23×10-5m3/s
4.
2.13×10-6m3/s
정답 : [
1
] 정답률 : 59%
4.
터보압축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량제어가 쉽고 범위도 넓다.
2.
무급유식이다.
3.
고속회전이 가능하다.
4.
설치면적이 적다.
정답 : [
1
] 정답률 : 52%
5.
강관 속을 물이 흐를 때 내부의 어느 한 지점에서의 전단력이 만약 2N이라 하고, 그 지점의 면적이 250cm2이라고 하면 이 지점의 전단응력은 몇 ㎏/mㆍs2인가?
1.
0.4
2.
0.8
3.
40
4.
80
정답 : [
4
] 정답률 : 55%
6.
점성계수의 차원에 해당하는 것은?
1.
[ML-1T-1]
2.
[MLT-1]
3.
[ML-1T-2]
4.
[MLT-2]
정답 : [
1
] 정답률 : 49%
7.
관로의 에너지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관로 안을 유체가 흐를 때 기계적 에너지는 하류로 내려가면서 감소한다.
2.
베르누이정리가 성립한다.
3.
기계적 에너지의 손실은 압력강하로 나타난다.
4.
관로에서는 입구나 출구 또는 관로 삽입기구에 의해 에너지 손실이 일어난다.
정답 : [
2
] 정답률 : 25%
8.
어떤 물체가 400m/s의 속도로 상온의 공기 속을 지나갈 때 물체표면의 온도 증가는 이론상 약 몇 K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 R은 29.27㎏ㆍm/㎏ㆍK, 비열비는 k는 1.4이다.)
1.
68.4
2.
79.7
3.
92.4
4.
122.5
정답 : [
2
] 정답률 : 27%
9.
표준상태의 대기 중에서 음속은 약 얼마인가? (단, 비열비 k : 1.4, g=9.8m/s2로 한다.)
1.
311m/s
2.
321m/s
3.
331m/s
4.
341m/s
정답 : [
3
] 정답률 : 35%
10.
오스왈드 점도계를 사용하여 어떤 액체의 점도를 측정하려고 시간을 측정했더니 15초가 소요되었고, 같은 온도에서 물은 3초였다면, 시료 액체의 점도(cP)는? (단, 물의 점도는 1cP이다.)
1.
3
2.
5
3.
10
4.
20
정답 : [
2
] 정답률 : 67%
11.
다음 중 물리량의 단위를 잘못 표현한 것은?
1.
표면장력 : N/m
2.
운동량 : ㎏ㆍm/s
3.
전단응력 : N/m2
4.
일 : N/m3
정답 : [
4
] 정답률 : 54%
12.
경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계층 내의 속도 구배는 경계층 밖에서의 속도구배보다 적다.
2.
층류층의 두께는 Re1/5에 비래한다.
3.
경계층 밖에서는 비점성유동이다.
4.
평판의 임계 레이놀즈 수는 2,100과 4,000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12%
13.
유체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섬세한 유량 조절이 가능한 밸브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게이트 밸브
2.
글로우브 밸브
3.
체크 밸브
4.
코크 밸브
정답 : [
2
] 정답률 : 55%
14.
내경 5㎝ 파이프 내에서 비압축성 유체의 유속이 5m/s이면 내경을 2.5㎝로 축소하였을 때의 유속은?
1.
5m/s
2.
10m/s
3.
20m/s
4.
50m/s
정답 : [
3
] 정답률 : 72%
15.
무게가 2,500㎏f인 액체의 체적이 5m3이다. 이 액체의 비중량(㎏f/m3)과 비체적(m3/㎏f)은 각각 얼마인가?
1.
비중량 : 500 비체적 : 0.002
2.
비중량 : 500 비체적 : 0.02
3.
비중량 : 250 비체적 : 50
4.
비중량 : 25 비체적 : 500
정답 : [
1
] 정답률 : 46%
16.
튜빙의 벽두께는 BWG(Birmingham Wire Gauge)번호로 나타내는데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두꺼운 것인가?
1.
10
2.
12
3.
16
4.
18
정답 : [
1
] 정답률 : 22%
17.
5㎏f/cm2ㆍabs에서 밀도가 1.425㎏/m3인 산소의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산소는 이상기체로 가정하고 기체상수 R= 26.50㎏ㆍm/㎏ㆍK이다.)
1.
1,051
2.
1,148
3.
1,324
4.
1,512
정답 : [
1
] 정답률 : 27%
18.
뉴톤 유체(Newtonian fluid)가 원관 내를 층류 흐름으로 흐르고 있다. 관내의 최대속도 Umax와 평균속도 V와의 관계 V/Umax는?
1.
2
2.
1
3.
0.5
4.
0.1
정답 : [
3
] 정답률 : 75%
19.
완전히 난류구역에 있는 거친 관에서의 손실수두는? (단, f는 관마찰계수, V는 평균유속, Re는 레이놀즈 수, P는 압력, μ는 점성계수, ρ는 밀도이다.)
1.
단지 Re에 좌우된다.
2.
단지 f, V에 좌우된다.
3.
주로 μ, ρ에 좌우된다.
4.
단지 P에 좌우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26%
20.
마하수가 1보다 작을때 유체를 빠르게 흐르게 하여고 한다. 이 때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2.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3.
단면적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4.
단면적과는 상관 없으므로 유체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2과목 : 연소공학
21.
탄화수소(CmHn) 1Nm3이 완전연소될 때 나오는 탄산가스의 양은 얼마인가?
1.
m
2.
m
3.
m + n
4.
m
정답 : [
2
] 정답률 : 63%
22.
다음 기체의 연소 반응 중 가스 단위체적당(Nm3) 발열량이 가장 큰 것은?
1.
H2 + O2 → H2O
2.
C2H2 + O2 → 2CO2+H2O
3.
C2H6 + O2 → 2CO2+3H2O
4.
CO + O2 → CO2
정답 : [
3
] 정답률 : 43%
23.
오토사이클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효율은 압축비에 대한 함수이다.
2.
압축비가 커지면 열효율을 작아진다.
3.
열효율은 공기표준 사이클보다 낮다.
4.
이상연소에 의해 열효율은 크게 제한을 받는다.
정답 : [
2
] 정답률 : 47%
24.
연료에 고정 탄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을 때 발생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매연 발생이 많다.
2.
발열량이 높아진다.
3.
연소 효과가 나쁘다.
4.
열손실을 초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25.
다음 중 임계압력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액체가 증발하기 시작할대의 압력을 말한다.
2.
액체가 비등점에 도달했을 때의 압력을 말한다.
3.
액체, 기체, 고체가 공존할 수 있는 최소 압력을 말한다.
4.
임계온도에서 기체를 액화시키는데 필요한 최저의 압력을 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26.
이상기체에 대한 상호 관계식을 나타낸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U는 내부에너지, Q는 열, W는 일, T는 온도, P는 압력, V는 부피, Cv는 정적열용량, Cp는 정압 열용량, R은 기체상수이다.)
1.
등적과정 : dU=dQ=CvㆍdT
2.
등온과정 : Q=W=RT In
3.
단열과정 :
4.
등압과정 : CpㆍdT=CvㆍdT+RㆍdT
정답 : [
3
] 정답률 : 45%
27.
용량이 2ton/h인 보일러에 발열량이 9,800㎉/㎏인 중유를 투입하였다면 버너의 용량(L/h)은 약 얼마인가? (단, 중유 비중은 0.95이고, 물의 증발잠열은 539㎉/㎏이다.)
1.
116
2.
123
3.
128
4.
134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보일러에 들어가는 것이 급수(물)이고 버너에 들어가는 것이 중유입니다. 보일러에 2ton/h 만큼의 급수가 들어가므로 이를 기반으로 수지를 맞춰줍니다. 2ton/h 만큼의 물은 2000*539kcal/h 의 발열량을 냅니다. 이를 버너에 들어가는 중유 xL/h와 수지를 맞춰줍니다. 중유 비중이 0.95이므로 0.95kg/L*x(L/h)*9800kcal/kg=2000*539kcal/h x=115.79(L/h) [해설작성자 : 가스공사재직자]
28.
600℃의 고열원과 300℃의 저열원 사이에 작동하고 있는 카르노사이클(carnot cycle)의 최대 효율은?
1.
34.36%
2.
50.00%
3.
52.35%
4.
74.67%
정답 : [
1
] 정답률 : 52%
29.
압력 3,000kPa, 체적 0.06m3의 가스를 일정한 압력하에서 가열 팽창시켜 체적이 0.09m3으로 되었을 때 절대일은?
1.
90kJ
2.
270kJ
3.
180kJ
4.
376.5kJ
정답 : [
1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3000kPa*(0.09-0.06)m3=90kJ [해설작성자 : 뿌빠삐]
30.
혼합기체의 확산속도는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은?
1.
아마겟(Amagat)의 법칙
2.
레덕(Leduc)의 법칙
3.
그레이엄(Graham)의 법칙
4.
레너드-존스(Lennard-Jones)의 법칙
정답 : [
3
] 정답률 : 46%
31.
등심연소의 화염의 높이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공기 유속이 낮을수록 화염의 높이는 커진다.
2.
공기 온도가 낮을수록 화염의 높이는 커진다.
3.
공기 유속이 낮을수록 화염의 높이는 낮아진다.
4.
공기 유속이 높고 공기 온도가 높을수록 화연의 높이는 커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38%
32.
상온상압의 공기에서 연소범위의 폭이 가장 넓은 가스는?
1.
메탄
2.
벤젠
3.
프로판
4.
n-부탄
정답 : [
1
] 정답률 : 31%
33.
수증기 1mol 이 100℃, 1atm에서 물로 가역적으로 응축될 때 엔트로피의 변화는 약 몇 ㎈/molㆍK인가? (단, 물의 증발열은 539㎈/g, 수증기는 이상기체라고 가정한다.)
1.
26
2.
540
3.
1,700
4.
2,200
정답 : [
1
] 정답률 : 35%
34.
엔트로피의 증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가역 과정의 경우 계와 외계의 에너지의 총합은 일정하고, 엔트로피의 총합은 증가한다.
2.
비가역 과정의 경우 계와 외계의 에너지의 총합과 엔트로피의 총합이 함께 증가한다.
3.
비가역 과정의 경우 물체의 엔트로피와 열원의 에트로피의 합은 불변이다.
4.
비가역 과정의 경우 계와 외계의 에너지의 총합과 엔트로피의 총합은 불변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35.
가스 폭발의 용어 중 DID의 정의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격렬한 폭발의 완만한 연소로 넘어갈 때까지의 시간
2.
어는 온도에서 가열하기 시작하여 발화에 이르기까지의 시간
3.
폭발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연성 물질의 위험성의 척도
4.
최초의 완만한 연소로부터 격렬한 폭굉으로 발전할 때까지의 거리
정답 : [
4
] 정답률 : 75%
36.
298.15K, 0.1MPa에서 메탄(CH4)의 연소엔탈피는 약 몇 kJ/㎏인가? (단, CH4, CO2, H2O의 생성엔탈피는 각각 -74,843kJ/kmol, -393,522kJ/kmol, -241,827kJ/kmol 이다.)
1.
-40,000
2.
-50,000
3.
-60,000
4.
-70,000
정답 : [
2
] 정답률 : 41%
37.
실린더 속에 N2가 0.5mol, O2가 0.2mol, H2가 0.3mol 이 혼합되어 있을 때 전체의 압력이 1atm 이었다면 이 때 산소의 부분압력은 몇 ㎜Hg인가?
1.
152
2.
179
3.
182
4.
194
정답 : [
1
] 정답률 : 38%
38.
다음 중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압비열은 정적비열보다 항상 크다.
2.
물질의 비열은 물질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3.
정적비열에 대한 정압비열의 비(비열비)가 큰 물질일수록 압축 후의 온도가 더 높다.
4.
물질의 비열이 크면 그 물질의 온도를 변화시키기 쉽고, 비열이 크면 열용량도 크다.
정답 : [
4
] 정답률 : 53%
39.
이상기체의 식 PVn=C(상수)에서 n=1이면 무슨 변화인가?
1.
등압변화
2.
단열변화
3.
등적변화
4.
등온변화
정답 : [
4
] 정답률 : 45%
40.
연료와 공기를 미리 혼합시킨 후 연소시키는 것으로 고온의 화염면(반응면)이 형성되어 자력으로 전파되어 일어나는 연소 형태는?
1.
확산연소
2.
분무연소
3.
예혼합연소
4.
증발연소
정답 : [
3
] 정답률 : 73%
3과목 : 가스설비
41.
고압가스의 저장량잉 몇 ㎏이상인 경우에 용기 보관실의 벽을 방호벽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 : [
3
] 정답률 : 40%
42.
왕복식 압축기의 연속적인 용량제어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바이패스 밸브에 의한 조정
2.
회전수를 변경하는 방법
3.
흡입 밸브를 폐쇄하는 방법
4.
베인 컨트롤에 의한 방법
정답 : [
4
] 정답률 : 52%
43.
LPG 저장용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의 재질은 주로 탄소강을 사용한다.
2.
스프링식 안전밸브를 주로 사용한다.
3.
내압시험 압력은 상용압력 이상으로 한다.
4.
용기의 색은 회색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37%
44.
어떤 고압장치가 상용압력의 30.0MPa 일 때 안전밸브의 최고 작동압력은 몇 MPa인가?
1.
30
2.
33
3.
36
4.
45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내압시험압력 = 상용압력 x 1.5
안전밸브 작동압력 = 내압시험압력 x 0.8 = 상용압력 x 1.5 x 0.8 = 30 x 1.5 x 0.8 = 36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5.
액화천연가스를 도시가스 원료로 사용할 때 액화천연가스의 특징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천연가스의 C/H비가 3이고 기화설비가 필요하다.
2.
천연가스의 C/H비가 4이고 기화설비가 필요 없다.
3.
천연가스의 C/H비가 3이고 가스제조 및 정제설비가 필요하다.
4.
천연가스의 C/H비가 4이고 개질설비가 필요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46.
아세틸렌(C2H2)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과 직접 접촉하여 폭발성의 아세틸라이드를 만든다.
2.
비점과 융점이 비슷아여 고체 아세틸렌은 융해한다.
3.
아세틸렌가스의 충전제로 규조토, 목탄 등의 다공성 물질을 사용한다.
4.
흡열 화합물이므로 압축하면 분해폭발 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 고체 아세틸렌은 승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증기 압축식 냉동기에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적정량의 냉매량을 조절하는 것은?
1.
압축기
2.
응축기
3.
팽창밸브
4.
증발기
정답 : [
3
] 정답률 : 34%
48.
가스 누설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냄새가 나는 물질(부취제)이 아닌 것은?
1.
T. H. T
2.
T. B. W
3.
D. M. S
4.
T. E. A
정답 : [
4
] 정답률 : 50%
49.
냉동기관의 이상적인 사이클에서 엔탈피가 변하지 않는 장치와 그 이유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증발기 - 등온 팽창
2.
팽창밸브 - 등온 팽창
3.
증발기 - 단열 팽창
4.
팽창밸브 - 단열 팽창
정답 : [
4
] 정답률 : 44%
50.
도시가스설비의 전기방식(防飾)의 방법이 아닌 것은?
1.
희생양극법
2.
외부전원법
3.
배류법
4.
압착전원법
정답 : [
4
] 정답률 : 66%
51.
기화기를 구성하는 주요 설비가 아닌 것은?
1.
열교환기
2.
액유출 방지장치
3.
열매 이송장치
4.
열매온도 제어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29%
52.
고압가스 제조시설의 플레어스텍에서 처리가스의 액체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는?
1.
Knock- out drum
2.
Seal drum
3.
Flame arrestor
4.
Pilot borner
정답 : [
1
] 정답률 : 47%
53.
가스렌지의 열효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냄비에 물 1,000g을 넣고 10분간 가열한 결과 처음 15℃인 물의 온도가 65℃가 되었다. 이 가스렌지의 열효율을 약 몇 %인가? (단, 물의 비열은 1㎉/㎏ㆍ℃, 가스 사용량은 0.008m3,가스 발열량은 13,000㎉/m3이며, 온도 및 압력에 대한 보정치는 고려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