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부분과 고정부분이 밀착되어 있어서 배출공간에서부터 흡입공간으로의 역류가 최소화 되며, 경질윤활유와 같은 유체수송에 적합하고 배출압력을 200atm 이상 얻을 수 있는 펌프는?
1.
왕복펌프
2.
회전펌프
3.
원심펌프
4.
격막펌프
정답 : [
2
] 정답률 : 49%
14.
원관 내를 물이 층류로 흐를 경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평균유속은 V=1/2×(최대유속)
2.
운동에너지 보정계수 α=0.5
3.
유량은 반지름의 네제곱에 비례함
4.
마찰계수 f=16·NRe
정답 : [
4
] 정답률 : 59%
15.
다음 중 체적탄성 계수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단, K는 비열비이다.)
1.
유체의 압축성에 반비례한다.
2.
압력과 동일한 차원을 갖는다.
3.
압력과 점성에 무관하다.
4.
단열변화에서는 체적탄성계수 K=kP의 관계가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7%
16.
관속 흐름에서 임계레이놀즈수를 2100으로 할 때 지름 1㎝인 관에 20℃의 물이 흐르는 경우의 임계속도는? (단, 20℃의 물의 동점성계수는 ν=1.01×10-6㎨이다.)
1.
0.21㎧
2.
0.42㎧
3.
2.1㎧
4.
21.1㎧
정답 : [
1
] 정답률 : 47%
17.
그림과 같은 관에서 유체가 등엔트로피 유동할 때 마하수 Ma<1이라 한다. 이때 압력과 속도의 변화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단, 압력은 P, 속도는 V이다.)
1.
V : 증가 P : 감소
2.
V : 증가, P : 감소
3.
V : 감소 P : 감소
4.
V : 감소 P : 증가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M< 아음속 M> 초음속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보유자]
18.
다음 중 등엔트로피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역단열과정이다.
2.
가역등온과정이다.
3.
마찰이 있는 등온과정이다.
4.
마찰이 없는 비가역과정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19.
단면이 매우 큰 저장탱크로부터 7.5㎝인 관을 통하여 1㎧의 속도로 비중 1.84인 용액을 10m 상부에 있는 저장탱크로 올리려고 한다. 전체 계에 걸친 마찰에 의한 손실은 3kgf m/kg이다. 펌프가 이루는 압력(kgf/cm2)은 약 얼마인가?
1.
2.4
2.
4.2
3.
5.1
4.
7.1
정답 : [
1
] 정답률 : 25%
20.
원관 내 유체의 흐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층류는 레이놀즈수가 약 2100 이하인 흐름이다.
2.
일반적으로 난류는 레이놀즈수가 약 4000 이상인 흐름이다.
3.
일반적으로 관중심부의 유속은 평균유속보다 크다.
4.
일반적으로 최대유속에 대한 평균속도의 비는 난류가 층류보다 작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난류가 층류보다 크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보유자]
2과목 : 연소공학
21.
포화증기를 일정 체적하에서 압력을 상승시키면 어떻게 되는가?
1.
포화액이 된다.
2.
압축액이 된다.
3.
과열증기가 된다.
4.
습증기가 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22.
15℃의 공기 1kg을 부피 1/4로 압축할 경우 등온 압축에서의 소요일량은 몇 kg·m인가? (단, 공기의 기체상수는 29.3kg·m/kg·K이다.)
1.
265
2.
610
3.
5080
4.
11700
정답 : [
4
] 정답률 : 42%
23.
프로판가스 1L를 완전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약 몇 g인가?
1.
3
2.
5
3.
7
4.
9
정답 : [
3
] 정답률 : 46%
24.
확산화염의 연소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소생성물은 화염면의 양측면으로 확산됨에 따라 없어진다.
2.
연료와 산화제의 경계면이 생겨 서로 반대 측면에서 경계면으로 연료와 산화제가 확산해 온다.
3.
가스라이터의 연소는 전형적인 기체연료의 확산화염이다.
4.
연료와 산화제가 적당 비율로 혼합되어 가연혼합기를 통과할 때 확산 화염이 나타난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25.
카르노 냉동 사이클에서 냉동기의 성적계수(w)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TA : 냉동유지온도, TB : 열방출온도이다.)
1.
2.
3.
4.
정답 : [
3
] 정답률 : 45%
26.
다음 중 액체연료의 연소형태가 아닌 것은?
1.
액면연소
2.
분해연소
3.
분무연소
4.
등심연소
정답 : [
2
] 정답률 : 79%
27.
가스화재 시 밸브 및 콕크를 잠그는 경우는 어떤 소화인가?
1.
질식소화
2.
제거소화
3.
냉각소화
4.
억제소화
정답 : [
2
] 정답률 : 73%
28.
프로판 가스 1Nm3을 완전연소시켰을 때 건조연소가스량은 약 몇 Nm3인가? (공기 중의 산소는 21v%이다.)
1.
10
2.
16
3.
22
4.
30
정답 : [
3
] 정답률 : 65%
29.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체의 표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공기비는 연공비의 역수와 같다.
2.
연공비라 함은 가연 혼합기중의 공기와 연료의 질량비로 정의된다.
3.
공연비라 함은 가연 혼합기중의 연료와 공기의 질량비로 정의된다.
4.
당량비는 실제의 연공비와 이론 연공비의 비로 정의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42%
30.
폭발의 위험도 (H)를 옳게 표현한 것은? (단, U : 폭발상한값, L : 폭발하한값이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3%
31.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어느 열기관의 출력이 300kW이고 연료소비율이 매시간 1400kg일 때 이 열기관의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이 고체연료의 저위 발열량은 28MJ/kg이다.)
1.
28
2.
32
3.
36
4.
40
정답 : [
1
] 정답률 : 39%
32.
TNT 당량은 어떤 물질이 폭발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와 동일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TNT의 질량을 말한다. LPG 3톤이 폭발할 때 방출하는 에너지는 TNT당량으로 몇 kg인가? (단, 폭발한 LPG의 발열량은 15000kcal/kg이며, LPG의 폭발계수는 0.1TNT가 폭발 시 방출하는 당량에너지는 1125kcal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