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적이 48m3인 LPG저장탱크에 부탄 18톤을 충전한다면 저장탱크 내의 액체 부탄의 용적은 상용의 온도에서 저장탱크 내용적의 약 몇 %가 되겠는가? (단, 저장탱크의 상온온도에 있어서의 액체 부탄의 비중은 0.55로 한다.)
1.
68
2.
77
3.
86
4.
90
정답 : [
1
] 정답률 : 49%
53.
부피가 50L인 용기에 산소가스가 150atm으로 충전되어 있다면 충전된 가스의 질량은 약 몇 ㎏인가? (단, 온도는 0℃이다.)
1.
6.4
2.
8.6
3.
10.7
4.
12.5
정답 : [
3
] 정답률 : 50%
54.
다음 [그림]과 같은 공기액화분리장치는 무엇인가?
1.
압축기에서 압축된 가스가 열교환기로 들어가 팽창기에서 일을 하면서 단열 팽창하여 가스를 액화시키는 캐스케이드식 공기액화분리장치이다.
2.
증기압축기 냉동사이클에서 다원냉동 사이클과 같이 비등점이 낮은 냉매를 사용하여 낮은 비등점의 기체를 액화시키는 린데식 공기액화분리장치이다.
3.
압축공기가 흡착탑으로 들어가서 흡착제에 대한 가스의 흡착특성에 의해 산소와 질소가 분리·액화시키는 압력변동 흡착식 공기액화분리장치이다.
4.
대기 중의 공기를 초전온열교환기로 보내서 액화된 공기를 콜드박스라는 보온장치에서 상평형 원리에 따라 분리하는 심랭식 공기액화 분리장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40%
55.
나프타(naphtha)의 접촉분해(수증기 개질)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응 온도를 올리면 CH4 , CO2가 적고 CO, H2가 많이 생성된다.
2.
반응 압력을 올리면 CH4 , CO2가 많고 CO, H2가 적게 생성된다.
3.
일정온도, 압력에서 수증기비가 증가하면 CH4 , CO가 적고 CO2, H2가 많이 생성된다.
4.
저온, 고압, 저수증기로 하면 카본의 생성을 방지 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56.
카르노사이클이 27℃ 와 -23℃에서 작동될 때 냉동기의 성적계수(ɛR), 열펌프의 성적계수(ɛH)를 각각 구하면?
1.
ɛR=5, ɛH=7
2.
ɛR=7, ɛH=5
3.
ɛR=6, ɛH=5
4.
ɛR=5, ɛH=6
정답 : [
4
] 정답률 : 39%
57.
“철근콘크리트제 방호벽 설치 시 방호벽은 직경 ( )㎜ 이상의 철근을 가로, 세로 ( )㎜ 이하의 간격으로 배근 하여야 한다.” 다음 중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수치는?
1.
5, 300
2.
5, 400
3.
9, 300
4.
9, 400
정답 : [
4
] 정답률 : 44%
58.
가스 액화사이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팽창밸브를 통과시켜 저온을 얻는 방식을 주울-톰슨 효과에 의한 방식이라 한다.
2.
팽창기에 의해 외부일량을 주지 않고 단열팽창시키는 방식에 의해서도 저온을 얻을 수 있다.
3.
린데식 액화장치는 주울-톰슨 효과에 의해 저온을 얻는 방식이다.
4.
클라우드식 액화장치는 자유팽창효과에 의해 저온을 얻는 방식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39%
59.
“직류전철이 주행할 때에 누출전류에 의해서 지하 매몰배관에는 전류의 유입지역과 유출지역이 생기며, 이때 ( ⓐ )은(는) 부식이 된다. 이러한 지역은 전철의 운행상태에 따라 계속 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 ⓑ )의 전기방식을 선정한다.” 다음 중 ( )안에 들어갈 적당한 용어는?
1.
ⓐ : 유출지역 ⓑ : 배류법
2.
ⓐ : 유입지역 ⓑ : 배류법
3.
ⓐ : 유출지역 ⓑ : 외부전원법
4.
ⓐ : 유입지역 ⓑ : 외부전원법
정답 : [
1
] 정답률 : 35%
60.
펌프에서 발생되는 베이퍼록의 방지방법이 아닌 것은?
1.
회전수를 줄인다.
2.
펌프의 설치위치를 낮춘다.
3.
흡입관의 지름을 크게 한다.
4.
실린더 라이너의 외부를 가열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7%
4과목 : 가스안전관리
61.
공정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들과 공정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운전상의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는 정성적인 위험평가 기법으로 산업체(화학공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
Check list 법
2.
FTA 법
3.
ETA 법
4.
HAZOP 법
정답 : [
4
] 정답률 : 67%
62.
도시가스용 폴리에틸렌 배관이 도로에 매설되어 있다. 기밀시험 실시시기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설치 후 15년이 된 해 및 그 이후 5년마다
2.
설치 후 15년이 되는 해 및 그 이후 3년마다
3.
설치 후 15년이 되는 해 및 그 이후 1년마다
4.
설치 후 10년 마다
정답 : [
1
] 정답률 : 37%
63.
최고 충전압력 5MPa, 내경 60㎝의 용접제 원통형 고압설비의 동판의 두께는 최소 몇 mm가 되어야 하는가? (단, 재료의 허용응력(S)은 150N/mm2, 용접효율은 0.75, 부식여유는 1mm로 한다.)
부피 함량이 각각 C3H8 20%, H2 30%, CH4 50% 혼합가스의 폭발하한계 값은 약 몇 %인가? (단, 폭발하한계는 각각 C3H8 2.4%, H2 4.0%, CH4 5.0%이다.)
1.
3.9
2.
4.1
3.
4.4
4.
4.7
정답 : [
1
] 정답률 : 47%
65.
압축가스 100m3 충전용기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할 때 휴대하여야 할 소화설비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BC용, B10 이상 분말소화제를 2개 이상 비치
2.
B용, B-8 이상 분말소화제를 2개 이상 비치
3.
ABC용, B-10 이상 포말소화제를 1개 이상 비치
4.
ABC용, B-8이상 포말소화제를 1개 이상 비치
정답 : [
1
] 정답률 : 58%
66.
가스안전관리전문기관이 가스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와 기술을 이용하여 가스공급시설의 잠재된 위험요소와 원인을 찾아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밀안전진단
2.
위해방지조사
3.
가스안전영향평가
4.
안전성평가
정답 : [
1
] 정답률 : 40%
67.
차량에 고정된 탱크가 후부취출식 탱크인 경우에는 탱크주밸브 및 긴급차단장치에 속하는 밸브와 차량의 뒷범퍼와의 수평거리를 몇 ㎝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
1.
30
2.
40
3.
60
4.
100
정답 : [
2
] 정답률 : 57%
68.
고압가스 충전용기 운반 시 동일차량에 적재 운반할 수 있는 것은?
1.
염소와 아세틸렌
2.
염소와 암모니아
3.
염소와 질소
4.
염소와 수소
정답 : [
3
] 정답률 : 54%
69.
지식경제부령으로 정하는 고압가스 관련 설비가 아닌 것은?
1.
안전밸브
2.
세척설비
3.
기화장치
4.
독성가스배관용 밸브
정답 : [
2
] 정답률 : 58%
70.
특정고압가스사용시설에서 사용되는 경보기의 정밀도는 설정치에 대하여 독성가스용은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1.
±1%
2.
±5%
3.
±25%
4.
±30%
정답 : [
4
] 정답률 : 46%
71.
위험장소를 구분할 때 2종장소가 아닌 것은?
1.
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내에 밀봉된 가연성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 장소
2.
확실한 기계적 환기조치에 의하여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3.
상용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4.
1종장소의 주변 또는 인접한 실내에서 위험한 농도의 가연성가스가 종종 침입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답 : [
3
] 정답률 : 67%
7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시행규칙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로서 틀린 것은?
1.
“액화가스”라 함은 가압·냉각 등의 방법에 의하여 액체상태로 되어있는 것으로서 대기압에서의 끓는점이 섭씨 40도 이하 또는 상용온도 이하인 것을 말한다.
2.
“방호벽”이라 함은 높이 5미터 이상, 두께 10센티미터 이상의 철근콘크리트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벽을 말한다.
3.
“이음매 없는 용기”라 함은 동판 및 경판을 일체로 성형하여 이음매 없이 제조한 용기를 말한다.
4.
“접합 또는 납불임 용기”라 함은 동판 및 경판을 각각 성형하여 심(seam)용접 그 밖의 방법으로 접합하거나 납붙임하여 만든 내용적 1리터 이하인 1회용 용기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7%
73.
아세틸렌제조시설에서 고압건조기와 충전용 교체밸브사이의 배관에는 어떤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경보장치
2.
긴급차단장치
3.
역화방지장치
4.
역류방지장치
정답 : [
3
] 정답률 : 55%
74.
다음 중 가연성가스이면서 독성가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크릴로니트릴
2.
산화에틸렌
3.
시안화수소
4.
아세틸렌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시행 2024. 11. 14.]
1. "가연성가스"란 아크릴로니트릴ㆍ아크릴알데히드ㆍ아세트알데히드ㆍ아세틸렌ㆍ암모니아ㆍ수소ㆍ황화수소ㆍ시안화수소ㆍ일산화탄소ㆍ이황화탄소ㆍ메탄ㆍ염화메탄ㆍ브롬화메탄ㆍ에탄ㆍ염화에탄ㆍ염화비닐ㆍ에틸렌ㆍ산화에틸렌ㆍ프로판ㆍ시클로프로판ㆍ프로필렌ㆍ산화프로필렌ㆍ부탄ㆍ부타디엔ㆍ부틸렌ㆍ메틸에테르ㆍ모노메틸아민ㆍ디메틸아민ㆍ트리메틸아민ㆍ에틸아민ㆍ벤젠ㆍ에틸벤젠 및 그 밖에 공기 중에서 연소하는 가스로서 폭발한계(공기와 혼합된 경우 연소를 일으킬 수 있는 공기 중의 가스 농도의 한계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하한이 10퍼센트 이하인 것과 폭발한계의 상한과 하한의 차가 20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2. "독성가스"란 아크릴로니트릴ㆍ아크릴알데히드ㆍ아황산가스ㆍ암모니아ㆍ일산화탄소ㆍ이황화탄소ㆍ불소ㆍ염소ㆍ브롬화메탄ㆍ염화메탄ㆍ염화프렌ㆍ산화에틸렌ㆍ시안화수소ㆍ황화수소ㆍ모노메틸아민ㆍ디메틸아민ㆍ트리메틸아민ㆍ벤젠ㆍ포스겐ㆍ요오드화수소ㆍ브롬화수소ㆍ염화수소ㆍ불화수소ㆍ겨자가스ㆍ알진ㆍ모노실란ㆍ디실란ㆍ디보레인ㆍ세렌화수소ㆍ포스핀ㆍ모노게르만 및 그 밖에 공기 중에 일정량 이상 존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한 독성을 가진 가스로서 허용농도(해당 가스를 성숙한 흰쥐 집단에게 대기 중에서 1시간 동안 계속하여 노출시킨 경우 14일 이내에 그 흰쥐의 2분의 1 이상이 죽게 되는 가스의 농도를 말한다. 이하 같다)가 100만분의 5000 이하인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