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K인 공기가 15m/s의 속도로 매끈한 평판 위를 흐르고 있다. 평판 선단으로부터의 거리가 몇 m인 지점에서 층류에서 난류로의 천이가 일어나는가? (단, 천이레이놀즈 수는 5×105이고 동정성계수는 4.2×10-5m2/s이다.
1.
0.7
2.
1.4
3.
2.1
4.
2.8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이 문제는 천이레이놀즈 수와 동정성계수를 이용하여 풀이할 수 있습니다. 먼저, 천이레이놀즈 수를 구합니다. Re = (속도 × 길이) / 동점성계수 여기서 속도는 15m/s, 길이는 우리가 구해야 할 천이 지점까지의 거리이므로 L이라고 하겠습니다. 동점성계수는 4.2×10^-5m^2/s입니다. Re = (15m/s × L) / 4.2×10^-5m^2/s = 3.57×10^5L 이제 천이레이놀즈 수가 주어졌으므로, 천이 형태에 따라 층류에서 난류로의 천이 지점이 어디인지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평판 위를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일정하므로, 라미너 계층 내에서는 층류 형태가 유지되다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난류 형태로 전환될 것입니다. 보통 천이레이놀즈 수가 5×10^5 이상이면 층류에서 난류로의 천이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3.57×10^5L >= 5×10^5 L >= 1.4m 즉, 천이 지점까지의 거리 L은 1.4m 이상이어야 층류에서 난류로의 천이가 일어납니다. [해설작성자 : 몬스터]
2.
피토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피토관의 입구에는 동압과 정압의 합인 정체압이 작용한다.
2.
측정원리는 베르누이 정리이다.
3.
측정된 유속은 정체압과 정압 차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4.
동압과 정압의 차를 측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4%
3.
절대압력이 대기압력보다 높은 경우 계기압력과 절대압력과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1.
절대압력=대기압력+계기압력
2.
절대압력=대기압력 - 계기압력
3.
절대압력=표준대기압력+계기압력
4.
절대압력=표준대기압력 - 계기압력
정답 : [
1
] 정답률 : 73%
4.
유체의 점도(동정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체의 점도는 온도가 증가하면 일반적으로 상승한다.
2.
동점도(kinematic viscosity)는 절대점도와 밀도의 비이다.
3.
점도의 차원은 ML-1T-1이다.
4.
고압에서 기체의 점도는 무시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0%
5.
펌프에서의 공동현상(Cavitation)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2.
ⓑ
3.
ⓐ, ⓒ
4.
ⓐ, ⓑ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공동현상: 유수 중에 그 수온의 증기압력보다 낮은 부분이 생기면 물이 증발을 일으키고 기포를 다수 발생하는 현상 발생조건: 1.흡입양정이 지나치게 클 경우 2.흡입관의 저항이 증대될 경우 3.흡입거리가 길 때 4. 흡입관의 구경이 작을 때 5.관내의 물의 정압이 그때의 증기압보다 낮을 때 6.펌프의 임펠러속도가 클 때 [해설작성자 : 깊은동굴]
6.
단면적이 변하는 관로를 비압축성 유체가 흐르고 있다. 지름이 15㎝인 단면에서의 평균속도 4m/s이면 지름이 20㎝인 단면에서의 평균속도는 몇 m/s인가?
1.
1.05
2.
1.25
3.
2.05
4.
2.25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Q1=A1V2 Q2=A2V2 Q1=Q2 따라서 A1V1=A2V2 식을 이용해 푸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굳]
7.
100kPa, 25℃에 있는 어떤 기체를 등엔트로피 과정으로 135kPa까지 압축하였다. 압축 후의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이 기체의 정압비열 Cp는 1.213kJ/㎏·K이고 정적 비열 Cy는 0.821kJ/㎏·K이다.)
메탄 90v%, 에탄 6v%, 부탄 4v%의 혼합가스의 공기 중 폭발하한계는 얼마인가? (단, 각 성분의 폭발하한계는 메탄 5.0, 에탄 3.0, 부탄 1.8v%이다.)
1.
5.6%
2.
56%
3.
4.5%
4.
45%
정답 : [
3
] 정답률 : 68%
27.
액체상태의 프로판이 이론 공기연료비로 연소하고 있을 때 저발열량은 약 몇 kJ/㎏인가? (단, 이때 온도는 25℃이고, 이 연료의 증발엔탈피는 360kJ/㎏이다. 또한 기체상태의 C3H8의 형성엔탈피는 –103909kJ/kmol, CO2의 형성엔탈피는 –393757kJ/kmol, 기체상태의 H2O의 형성엔탈피는 –241971kJ/kmol이다.)
1.
23501
2.
46017
3.
50002
4.
2149155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C3H8+ 5O2 -> 3CO2+4H2O+Q 2. Q= [(3*393757)+(4*241971)-103909]/44 = 46482.86364kJ/kg *44: 프로판 분자량(C:12, H:1) 답: 가장 가까운 2번 [해설작성자 : 혁혁혁혁혁]
28.
엔트로피의 증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가역 과정의 경우 계와 외계의 에너지의 총합은 일정하고, 엔트로피의 총합은 증가한다.
2.
비가역 과정의 경우 계와 외계의 에너지의 총합과 엔트로피의 총합이 함께 증가한다.
3.
비가역 과정의 경우 물체의 엔트로피와 염원의 엔트로피의 합은 불변이다.
4.
비가역 과정의 경우 계와 외계의 에너지의 총합과 엔트로피의 총합은 불변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29.
다음 기체의 연소 반응 중 가스의 단위체적당 발열량(kcal/Nm3)이 가장 큰 것은?
1.
H2+(1/2)O2 → H2O
2.
C2H2+(5/2)O2 → 2CO2+H2O
3.
C2H6+(7/2)O2 → 2CO2+3H2O
4.
CO+(1/2)O2 → CO2
정답 : [
3
] 정답률 : 65%
30.
아세틸렌(C2H2)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소와 혼합하여 3300℃까지의 고온을 얻을 수 있으므로 용접에 사용된다.
2.
가연성 가스 중 폭발한계가 가장 적은 가스이다.
3.
열이나 충격에 의해 분해폭발이 일어난다.
4.
용기에 충전할 때에 단독으로 가압 충전할 수 없으며 용해 충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31.
카르노사이클(Carnot Cycle)이 ①100℃와 20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과 ②300℃와 400℃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이 있을 때, 이 경우 열효율은 다음 중 어떤 관계에 있는가?
1.
①은 ②보다 열효율이 크다.
2.
①은 ②보다 열효율이 작다.
3.
①과 ②의 열효율은 같다.
4.
②는 ①의 열효율 제곱과 같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32.
엔탈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량을 일정한 온도로 나눈 값이다.
2.
경로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상태함수이다.
3.
엔탈피의 측정에는 흐름열량계를 사용한다.
4.
내부에너지와 유동일(흐름일)의 합으로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33.
방폭전기기기에 사용되는 정션박스(junotion bo×), 푸울 박스(pull bo×), 접송함에 적합한 방폭구조의 표시기호는?
1.
p
2.
o
3.
d
4.
s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내압방폭구조 (d) [해설작성자 : 내d]
34.
가스의 폭발등급은 안전간격에 따라 분류한다. 다음 중 안전간격이 넓은 것부터 옳게 나열된 것은?
1.
수소>에틸렌>프로판
2.
에틸렌>수소>프로판
3.
수소>프로판>에틸렌
4.
프로판>에틸렌>수소
정답 : [
4
] 정답률 : 66%
35.
-5℃ 얼음 10g을 16℃의 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 kJ인가? (단, 얼음의 비열은 2.1J/g·k이고, 용해열은 335J/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