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름 200㎜, 높이 250㎜인 실린더 내에 20㎏의 유체가 차 있다. 유체의 밀도는 약 몇 ㎏/m3인가?
1.
6.366
2.
63.66
3.
636.6
4.
6366
정답 : [
3
] 정답률 : 59%
16.
밀도가 892㎏/m3인 원유가 단면적이 2.165×10-3m2인 관을 통하여 1.388×10-3m3/s로 들어가서 단면적이 각각 1.314×10-3m2로 동일한 2개의 관으로 분할되어 나갈 때 분할되는 관내에서의 유속은 약 몇 m/s인가? (단, 분할되는 2개 관에서의 평균유속은 같다.)
1.
1.036
2.
0.841
3.
0.619
4.
0.528
정답 : [
4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메인 관 a에서 분할 관 b으로 분할 시 b관의 크기가 같으므로 연속방정식 Q=AV를 이용하여 Vb=Qb/Ab=(1.388x10^-3*0.5)/1.314x10^-3=0.528 ※유량을 1/2로 하는 것이 포인트 [해설작성자 : 박종태]
17.
안지름 40cm인 관 속을 동점성계수 4stokes인 유체가 15cm/s의 평균속도로 흐른다. 이때 흐름의 종류는?
1.
층류
2.
난류
3.
플러그 흐름
4.
천이영역 흐름
정답 : [
1
] 정답률 : 66%
18.
구형입자가 유체 속으로 자유낙하할 때의 현상으로 틀린 것은? (단. μ는 점성계수, d는 구의 지름, U는 속도이다.)
1.
Stokes range에서 항력(drag force)은 3πμdU이다.
2.
입자에 작용하는 힘을 중력, 항력, 부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3.
항력계수(CD)는 레이놀즈 수가 증가할수록 커진다.
4.
종말속도는 가속도가 감소되어 일정한 속도에 도달한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19.
점도가 20poise인 기름이 채워진 두 개의 평행 평판 사이의 간격이 10㎜이다. 아래쪽 평판이 고정된 상태에서 위쪽의 평판을 5m/s 의속도로 이동시켰을 때 기름 속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은 몇 N/m2인가? (단, 유체의 속도분포는 선형이라고 가정한다.)
1.
1
2.
10
3.
100
4.
1000
정답 : [
4
] 정답률 : 35%
20.
축류펌프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체절상태로 운전하면 양정이 일정해진다.
2.
비속도가 크기 때문에 회전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3.
유량이 크고 양정이 낮은 경우에 적합하다.
4.
유체는 임펠러를 지나서 축방향으로 유출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2과목 : 연소공학
21.
위험도는 폭발가능성을 표시한 수치로서 수치가 클수록 위험하며 폭발상한과 하한의 차이가 클수록 위험하다. 공기 중 수소(H2)의 위험도는 얼마인가?
1.
0.94
2.
1.05
3.
17.75
4.
71
정답 : [
3
] 정답률 : 70%
22.
연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연료가 한번 착화하면 고온으로 되어 빠른 속도로 연소한다.
2.
환원반응이란 공기의 과잉 상태에서 생기는 것으로 이때의 화염을 환원염이라 한다.
3.
고체, 액체 연료는 고온의 가스분위기 중에서 먼저 가스화가 일어난다.
4.
연소에 있어서는 산화 반응뿐만 아니라 열분해반응도 일어난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23.
고압가스안전관리기준에 의한 안전간격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 ⓑ에 들어갈 적당한 말은?
1.
ⓐ 8리터, ⓑ 15㎜
2.
ⓐ 8리터, ⓑ 25㎜
3.
ⓐ 16리터, ⓑ 15㎜
4.
ⓐ 16리터, ⓑ 25㎜
정답 : [
2
] 정답률 : 51%
24.
압력이 1기압이고 과열도가 10℃인 수증기의 엔탈피는 약 몇 ㎉/㎏인가? (단, 100℃ 때의 물의 증발 잠열 539㎉/㎏이고, 물의 비열 1㎉/㎏·℃, 수증기의 비열 0.45㎉/㎏·℃, 기준 상태는 0℃와 1atm으로 한다. )
1.
539
2.
639
3.
643.5
4.
653.5
정답 : [
3
] 정답률 : 53%
25.
다음 중 연소범위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LFL(연소하한계)은 온도가 100℃ 증가할 때마다 8% 정도 감소한다.
2.
UFL(연소상한계)은 온도가 증가하여도 거의 변화가 없다.
3.
대단히 낮은 압력(<50㎜Hg)을 제외하고 압력은 LFL(연소하한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4.
UFL(연소상한계)은 압력이 증가할 때 현격히 증가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54%
26.
다음 그림은 어떤 냉매의 P-h 선도이다. 냉매의 증발 과정을 표시한 것은?
1.
A → B
2.
B → C
3.
C → D
4.
D → A
정답 : [
1
] 정답률 : 53%
27.
습증기의 엔트로피가 압력 2026.5kPa에서 3.22kJ/㎏·K이고 이 압력에서 포화수 및 포화증기의 엔트로피가 각각 2.44kJ/㎏·K 및 6.35kJ/㎏·K이라면, 이 습증기의 습도는 약 몇 %인가?
가압·냉각 등의 방법에 의하여 액체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대기압에서의 비점이 섭씨 40도 이하 또는 상용의 온도 이하인 것을 가연성가스라 한다.
4.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어 있는 가스를 압축가스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65.
공기나 산소 등이 없어도 압력이 상승하거나 온도가 높아지면 단일 가스의 분해에 의해서 폭발하는 성질을 가지는 가스가 아닌 것은?
1.
O3
2.
F2
3.
N2H4
4.
C2H40
정답 : [
2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분해폭발을 일으키는 물질 : 아세틸렌, 산화에틸렌(C2H4O), 히드라진(N2H4), 오존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66.
도시가스 공급관의 접합은 용접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 중 비파괴시험을 반드시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
1.
건축물 외부에 저압으로 노출된 호칭지름 100㎜인 사용자 공급관
2.
가스용 폴리에틸렌(PE) 배관
3.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저압으로 호칭지름 50㎜인 사용자 공급관(단, 환기가 불량하며 가스누출경보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음)
4.
샤시가 없는 개방된 복도식 아파트의 복도에 설치된 저압으로 호칭지름 32㎜인 사용자 공급관
정답 : [
3
] 정답률 : 55%
67.
고압가스 냉동시설에서 냉동능력의 합산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냉매가스가 배관에 의하여 공통으로 되어있는 냉동 설비
2.
냉매계통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설비가 1개의 규격품으로 인정되는 설비 내에 조립되어 있는 것
3.
1원(元) 이상의 냉동방식에 의한 냉동설비
4.
Brine을 공통으로 하고 있는 2 이상의 냉동설비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원 → 2원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68.
정전기 제거설비를 정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지상에서 접지저항치
2.
지상에서의 접속부의 접속 상태
3.
지상에서의 접지접속선의 절연여부
4.
지상에서의 절선 그밖에 손상부분의 유무
정답 : [
3
] 정답률 : 60%
69.
도시가스의 총 발열량이 10000㎉/m3, 도시가스의 공기에 대한 비중이 0.66일 때 이 가스의 웨베지수는?
1.
16100
2.
12309
3.
10620
4.
6600
정답 : [
2
] 정답률 : 64%
70.
LPG를 용기에 충전할 경우 냄새가 나는 물질(부취제)의 농도를 공기 중의 흔합비율 용량으로 얼마의 상태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설비를 하여야 하는가?
1.
1/100
2.
1/200
3.
1/500
4.
1/1000
정답 : [
4
] 정답률 : 65%
71.
용적 100L의 초저온용기에 200㎏의 산소를 넣고 외기온도 25℃인 곳에서 10시간 방치한 결과 180㎏의 산소가 남아 있다. 이 용기의 침입열량(㎉/h·℃·L)의 값과, 단열성능시험에의 합격여부를 판정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액화산소의 비점은 -183℃, 기화잠열은 51㎉/㎏이다.)
1.
0.02, 불합격
2.
0.05, 합격
3.
0.005, 불합격
4.
0.008, 합격
정답 : [
3
] 정답률 : 47%
72.
다음 ( )안에 들어갈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10m
2.
20m
3.
50m
4.
100m
정답 : [
2
] 정답률 : 44%
73.
고압가스 일반제조시설에서 역류방지밸브를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곳은?
1.
아세틸렌의 고압건조기와 충전용 교체 밸브 사이의 배관
2.
아세틸렌을 압축하는 압축기의 유분리기와 고압건조기와의 사이
3.
가연성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충전용 주관과의 사이
4.
암모니아 또는 메탄올의 합성탑 및 정제탑과 압축기와의 사이의 배관
정답 : [
1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1번은 역화방지장치 설치장소
* 역화방지장치 설치장소 가. 가연성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오토 클레이브와의 사이 배관 나. 아세틸렌의 고압건조기와 충전용 교체 밸브 사이 배관 다. 아세틸렌 충전용 지관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74.
가스사용시설에서 가스설비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스의 길이는 연소기까지 3m 이내로 하되, 호스는 T형으로 연결하지 아니한다.
2.
연소기는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고사용압력의 1.1배 또는 8.4kPa 중 높은 압력 이상에서 내압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3.
압력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그 압력조정기는 원칙적으로 실외에 설치한다.
4.
지하층에 설치된 가스사용시설에는 지상에서 가스의 공급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75.
허용농도를 초과하는 독성가스의 용기에 의한 운반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독성가스 중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는 동일차량 적재함에 운반하지 아니한다.
2.
차량의 앞뒤에 붉은 글씨로 “위험고압가스”, “독성가스”라는 경계표시를 하여야 한다.
3.
압축 독성가스 100m3 이상을 운반할 때는 운반책임자를 동승시켜야 한다.
4.
2000㎏ 이상의 액화 독성가스를 운반할 때는 운반책임자를 동승시켜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2%
76.
지름 4m의 원통형 저장탱크 2개를 지하에 인접하여 설치하는 경우 두 탱크 사이의 최소 안전거리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5
2.
1
3.
2
4.
3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저장탱크를 지하에 설치할 경우에는 탱크지름에 관계없이 유지거리는 1m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7.
저장능력이 500㎏ 이상인 액화염소사용시설의 저장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제1종 보호시설까지 몇 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