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차의 효율을 η, 수차의 실제 출력을 L[PS], 수량을 Q[m3/s]라 할 때 유효낙차 H[m]를 구하는 식은?
1.
H=L/(13.3ηQ) [m]
2.
H=QL/(13.3η) [m]
3.
H=Lη/(13.3Q) [m]
4.
H=η/(L×13.3Q) [m]
정답 : [
1
] 정답률 : 64%
3.
서징(surging)현상의 발생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펌프의 유량-양정곡선이 우향상승 구배 곡선일 때
2.
배관 중에 수조나 공기조가 있을 때
3.
유량조절밸브가 수조나 공기조의 뒤쪽에 있을 때
4.
관속을 흐르는 유체의 유속이 급격히 변화될 때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서징현상 : 맥동현상이라 하며 펌프 운전 중에 주기적으로 운동, 양정, 토출량이 규칙적으로 변동하는 현상으로 압력계의 지침이 일정범위 내에서 움직인다.
4.
공기의 비열비는 k이고 기체상수는 R일 때 절대온도가 T인 공기에서의 음속은?
1.
RT/k
2.
√(kRT)
3.
kR/T
4.
kRT
정답 : [
2
] 정답률 : 84%
5.
Reynolds 수의 물리적 개념에 해당하는 것은?
1.
관성력/점성력
2.
점성력/중력
3.
중력/관성력
4.
탄성력/압력
정답 : [
1
] 정답률 : 87%
6.
유체의 유동에서 에너지선(energy li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상 수평선이 되어야 한다.
2.
속도수두와 위치수두의 합이다.
3.
수력구배선과 최소 2점 이상에서 교차한다.
4.
수력구배선보다 속도수두 만큼 위에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7.
내경이 5㎝인 파이프 속에 유속이 3m/s이고 동점성계수가 2stokes인 용액이 흐를 때 레이놀즈수는?
1.
333
2.
750
3.
1000
4.
3000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RE=evd/u=(vd/c) [해설작성자 : 1]
8.
Mach 수의 정의로 옳은 것은? (단, u는 유체의 속도, d는 관의 직경, a는 음속, ρ는 밀도, μ는 점도이다.)
1.
(d u ρ)/μ
2.
u/a
3.
a/u
4.
μ/(d u ρ)
정답 : [
2
] 정답률 : 75%
9.
2개의 무한 수평 평판 사이에서의 층류 유동의 속도 분포가 u(y)=U[1-(y/H)2]로 주어지는 유동장(Poiseuille flow)이 있다. 여기에서 U와 H는 각각 유동장의 특성 속도와 특성길이를 나타내며, y는 수직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이다. 유동장에서는 속도 u(y)만 있고, 유동체는 점성계수가 μ인 뉴톤유체일 때 y=H/2에서의 전단 응력의 크기는?
1.
y=H/2
2.
y=(μU)/(2H2)
3.
y=(μU)/H
4.
y=(8μU)/(2H)
정답 : [
3
] 정답률 : 64%
10.
축소-확대 노즐의 확대부에서 흐름이 초음속이라면 확대부에서 증가하는 것을 옳게 나타낸 것은? (단, 이상기체의 단열흐름이라고 가정한다.)
1.
속도
2.
속도, 밀도
3.
압력
4.
압력, 밀도
정답 : [
1
] 정답률 : 72%
11.
유체는 분자들 간의 응집력으로 인하여 하나로 연결되어 있어서 연속물질로 취급하여 전체의 평균적 성질을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유체를 연속체로 취급할 수 있는 조건은? (단, ℓ은 유동을 특정지어 주는 대표길이, λ는 분자의 평균 자유행로이다.)
1.
ℓ≪λ
2.
ℓ≫λ
3.
ℓ=λ
4.
ℓ2=λ
정답 : [
2
] 정답률 : 69%
12.
온도 T0=4000K, Mach 수 M=0.5인 1차원 공기유동의 정체온도(stagnation temperature)는 몇 K인가? (단, 공기는 이상기체이며, 등엔트로피 유동이고 비열비 k는 1.4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해설> 연소속도에 압력의 영향을 받고 압력이 높을수록 연소속도가 빨라지지만, 압력에 의존성이 매우 큰 편은 아니며 고압에서 급격한 연소는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연소속도의 압력 의존성이 매우 큰 편이 아니며 고압에서 급격한 연소는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차화공]
36.
가연성 기체의 최소 착화에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가 높아질수록 최소 착화에너지는 높아진다.
2.
연소속도가 느릴수록 최소 착화에너지는 낮아진다.
3.
열전도율이 적을수록 최소 착화에너지는 낮아진다.
4.
압력이 낮을수록 최소 착화에너지는 낮아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64%
37.
다음 무차원수 중 열확산계수에 대한 운동량확산계수의 비에 해당하는 것은?
1.
Lewis number
2.
Nusselt number
3.
Grashof number
4.
Prandtl number
정답 : [
4
] 정답률 : 67%
38.
불활성화(inerting)가스로 사용할 수 없는 가스는?
1.
수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수증기
정답 : [
1
] 정답률 : 72%
39.
다음 중 사이클의 효율을 높이는 가장 유효한 방법은?
1.
고열원(급열) 온도를 높인다.
2.
저열원(배열) 온도를 높인다.
3.
동작 물질의 양을 많게 한다.
4.
고열원과 저열원 온도를 모두 높인다.
정답 : [
1
] 정답률 : 66%
40.
다음 중 표면연소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오일이 표면에서 연소하는 상태
2.
고체 연료가 화염을 길게 내면서 연소하는 상태
3.
화염의 외부 표면에 산소가 접촉하여 연소하는 상태
4.
적열된 코크스 또는 숯의 표면에 산소가 접촉하여 연소하는 상태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표면연소 = 고체연료가 연소할 때 반응으로. 일정한 온도에서 물질이 분해되고 이때 연소하면 분해 연소(Destructive Combustion) 그렇지 않고 고체 표면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연소하면 표면 연소(Surface Combustio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가스설비
41.
단열을 한 배관 중에 작은 구멍을 내고 이 관에 압력이 있는 유체를 흐르게 하면 유체가 작은 구멍을 통할 때 유체의 압력이 하강함과 동시에 온도가 변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독성가스인 염소 500kg을 운반할 때 보호구를 차량의 승무원수에 상당한 수량을 휴대하여야 한다. 다음 중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보호구는?
1.
방독마스크
2.
공기호흡기
3.
보호의
4.
보호장갑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공기호흡기는 운반하는 독성가스의 양이 압축가스 100m3 또는 액화가스 1,000kg 이상일 때 비치해야 한다. 주어진 문제에서 염소 500kg이라고 주었으므로 액화가스 기준을 준용하면 공기호흡기는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도시가스 제조소 신규 설치공사 시 공사 계획 승인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압송기 설치
2.
펌프 설치
3.
송풍기 설치
4.
관경 100mm인 고압배관 설치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가스발생설비 가스홀더 배송기 또는 압송기 액화가스용 저장탱크 또는 펌프 최고사용압력이 고압인 열교환기 가스압축기, 공기 압축기 또는 송풍기 냉동설비(유분리기, 응축기 및 수액기만을 말함)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66.
산소, 아세틸렌, 수소 제조 시 품질검사의 실시 횟수로 옳은 것은?
1.
1일 3회 이상
2.
1일 1회 이상
3.
가스제조 시 마다
4.
매시간 마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67.
지중에 설치하는 강재배관의 전기방식 효과 유지를 위하여 절연조치를 하여야 하는 도시가스시설이 아닌 것은?
1.
배관과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사이
2.
배관과 강재보호관 사이
3.
배관과 배관지지물 사이
4.
양극(Anode)과 배관 사이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절연이음애를 사용하여야 할 장소 ] 교량횡단 배관양단 배관등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사이 배관과 강재 보호관 사이 지하에 매설된 배관부분과 지상에 설치된 부분의 경계 타 시설물과 접근 교차지점 배관과 배관지지물 사이 저장탱크와 배관사이 기타 절연이 필요한 장소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68.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직각이 되도록 방파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방파판의 면적은 탱크 횡단면적의 몇 %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56%
69.
산소 및 독성가스의 운반 중 가스누출부분의 수리가 불가능한 사고 발생 시 응급조치사항으로 틀린 것은?
LPG를 사용하는 사용시설 중 자동절체기를 사용하여 용기를 집합하는 경우 저장능력이 얼마 이상인 때 용기에서 압력조정기 입구까지의 배관에 이상 압력 상승 시 압력을 방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00kg
2.
250kg
3.
500kg
4.
1000kg
정답 : [
3
] 정답률 : 52%
78.
액화가스를 충전하는 차량의 탱크 내부에 액면 요동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콕크
2.
긴급 탈압밸브
3.
방파판
4.
충전판
정답 : [
3
] 정답률 : 79%
79.
냉매가스 중 염화메탄 가스를 접하는 부분의 재료에 사용할 수 없는 금속재료는?
1.
탄소강
2.
모넬메탈
3.
동 및 동합금
4.
알루미늄합금
정답 : [
4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사용금속 제한> 암모니아 - 동 및 동합금(단, 동함유량 62%미만일 때 사용가능) 염화메탄 - 알루미늄합금 프레온 - 2%를 넘는 마그네슘을 함유한 알루미늄 합금 항상 물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순도가 99.7%미만의 알루미늄 사용금지(적절한 내식처리를 한 때는 제외)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80.
액화석유가스 저장탱크에 설치된 긴급 차단 장치의 차단 조작기구는 해당 저장탱크로부터 몇 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m
2.
5m
3.
7m
4.
10m
정답 : [
2
] 정답률 : 62%
5과목 : 가스계측기기
81.
캐스케이드 제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율제어라고도 한다.
2.
단일 루프제어에 비해 내란의 영향이 없으나 계전체의 지연이 크게 된다.
3.
2개의 제어계를 조합하여 제어량을 1차 조절계로 측정하고 그 조작 출력으로 2차 조절계의 목표치를 설정한다.
4.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계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6%
82.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기에서 FID(Flame Ionization Detector)검출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료를 파괴하지 않는다.
2.
대상 감도는 탄소수에 반비례한다.
3.
미량의 탄화수소를 검출할 수 있다.
4.
연소성 기체에 대하여 감응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탄화수소에서 감도가 최고이다. [해설작성자 : 독성SS400]
83.
단열형 열량계로 2g의 기체연료를 연소시켜 발열량을 구하였다. 내통의 수량이 1600g, 열량계의 수당량이 800g, 온도상승이 10℃ 이었다면 발열량은 약 몇 J/g인가? (단, 물의 비열은 4.19J/g·K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