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p(펌프일) : 펌프는 유체에 에너지를 추가하여 유체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2. Hf(마찰손실) : 유체가 파이프나 다른 설비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합니다. 4. ɳ(펌프효율) : 펌프는 이상적인 효율을 갖지 못합니다. 따라서 펌프 일에 펌프 효율을 곱하여 실제 펌프가 유체에 전달하는 에너지를 계산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전수두17.28m]
온도 계산 T=PVM/WR =1x1x24.761/10x0.082 =30.196K-273 =-242.803℃ [해설작성자 : 액화액화탱]
33.
실내화재 시 연소열에 의해 천정류(Ceiling Jet)의 온도가 상승하여 600℃ 정도가 되면 천정류에서 방출되는 복사열에 의하여 실내에 있는 모든 가연물질이 분해되어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게 됨으로써 실재 전체가 연소하게 되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발화(Ignition)
2.
전실화재(Flash Over)
3.
화염분출(Flame gushing)
4.
역화(Back Draft)
정답 : [
2
] 정답률 : 85%
34.
표준대기압에서 지름 10㎝인 실린더의 피스톤 위에 686N의 추를 얹어 놓았을 때 평형상태에서 실린더 속의 가스가 받는 절대압력은 약 몇 kPa인가? (단, 피스톤의 중량은 무시한다.)
1.
87
2.
189
3.
207
4.
309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실린더속 가스 압력=F/A=686N/(0.1^2*파이/4)=87344Pa=87.344KPa 절대압력=대기압+게이지압=101.325+87.344=189KPa [해설작성자 : 뿌빠삐]
35.
C : 86%, H2 : 12%, S : 2%의 조성을 갖는 중유 100㎏을 표준상태에서 완전 연소시킬 때 동일 압력, 온도 590K에서 연소가스의 체적은 약 몇 m3인가?
1.
296m3
2.
320m3
3.
426m3
4.
640m3
정답 : [
4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원자량 값이 %로 나왔을 때 연소가스의 체적(m^3) = 1.867C+11.2H+0.7S+0.8N 앞에 숫자는 원소1kg당 산소(o2)의 체적 22.4Nm^3임 연소생성물 : co2+h2o+so2+n2o2
2) 분자값으로 나왔을 때는 연소생성물의 몰수 더 하면 됨 (질소는 3.76*산소몰수)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36.
고발열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료가 연소될 때 연소가스 중에 수증기의 응축잠열을 포함한 열량이다.
2.
Hh=HL+HS=HL+600(9H+W)로 나타낼 수 있다.
3.
잔발열량이라고도 한다.
4.
총발열량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80%
37.
다음 반응 중 폭굉(detonation) 속도가 가장 빠른 것은?
1.
2H2+O2
2.
CH4+2O2
3.
C3H8+3O2
4.
C3H8+6O2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수소의 폭굉속도는 1400~3500m/s로 다른 가연성 가스에 비해 빠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38.
액체 프로판이 298K, 0.1MPa에서 이론공기를 이용하여 연소하고 있을 때 고발열량은 약 몇 MJ/㎏인가? (단, 연료의 증발엔탈피는 370kJ/㎏이고, 기체상태 C3H8의 생성엔탈피는 -103909kJ/kmol, CO2의 생성엔탈피는 -393757kJ/kmol, 액체 및 기체상태 H2O의 생성 엔탈피는 각각 -286010kJ/kmol, -2419171kJ/kmol이다.)
1.
44
2.
46
3.
50
4.
2205
정답 : [
3
] 정답률 : 52%
39.
메탄가스 1Nm3를 10%의 과잉공기량으로 완전 연소시켰을 때의 습연소 가스량은 약 몇 Nm3인가?
<문제 해설> 자동절체식 압력조정기 - 자동절체식 조정기는 가스 공급의 중단 없이 가스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고안된 조정기 입니다. 공급측 용기 내의 가스가 소진되면 자동적으로 예비측의 용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며, 절체식 표시창의 표시기가 적색을 나타내어 가스가 소진된 상태를 표시합니다. 가스 용기를 교체하고 수동으로 조정기 캡의 화살표 방향을 전환시키면 표시창의 적색 표시가 사라집니다. 자동 절체식 압력 조정기는 자동 절체부와 2차용 조정기를 일체화된 제품입니다. - 수동식에 비해 용기수량이 적어도됨 - 잔액이 거의 없어질때까지 소비함 - 용기 교환주기 폭을 넓힐 수 있다 - 분리형을 사용하면 단단 감압식보다 배관의 압력손실을 크게 해도 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47.
독성가스 제조설비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독성가스 식별표시 및 위험표시를 할 것
2.
배관은 용접이음을 원칙으로 할 것
3.
유지를 제거하는 여과기를 설치할 것
4.
가스의 종류에 따라 이중관으로 할 것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독성가스 제조설비의 기준 - 가스누출검지 경보장치 설치 - 저장탱크에 부착하는 배관 등에는 긴급차단장치 설치 - 저장능력 5톤 이상의 독성가스 액화가스 저장탱크 주위에 방류둑을 설치 - 제독설비 설치 - 중화설비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48.
나프타(Naphth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점 200℃ 이하의 유분이다.
2.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함량이 높은 것이 좋다.
3.
도시가스의 증열용으로 이용된다.
4.
헤비 나프타가 옥탄가가 높다.
정답 : [
4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황분이 적을 것 2. 카본 석출이 적을 것 3. 탄화물성 경향이 적을 것(탄화되었을 때 성질이 변하려는 성질) 4. 파라핀계 탄화수소가 많을 것 5. 유출온도 종점이 높지 않을 것 6. 비점 200도씨 유분이다 7. 도시가스 증열용 8. 헤비나프타는 증질분의 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가스화 원료로 부적당하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압력용기라 함은 그 내용물이 액화가스인 경우 35℃에서의 압력 또는 설계압력이 얼마 이상인 용기를 말하는가?
1.
0.1MPa
2.
0.2MPa
3.
1MPa
4.
2MPa
정답 : [
2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액화가스인 경우 0.2MPa 이상, 압축가스인 경우 1MPa 이상 [해설작성자 : 가온누리]
56.
가스와 공기의 열전도도가 다른 특성을 이용하는 가스검지기는?
1.
서머스태트식
2.
적외선식
3.
수소염 이온화식
4.
반도체식
정답 : [
1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서모스탯식 : 가스와 공기의 열전도도가 다른 특성을 이용한 가스검지기이다. [해설작성자 : 아반분흡]
57.
터보형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체흐름이 축방향으로 흐를 때, 깃에 발생하는 양력으로 에너지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2.
기체흐름이 축방향과 반지름방향의 중간적 흐름의 것을 말한다.
3.
기체흐름이 축방향에서 반지름방향으로 흐를 때, 원심력에 의하여 에너지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4.
한 쌍의 특수한 형상의 회전체의 틈의 변화에 의하여 압력에너지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터보형 압축기 : 임펠러의 회전운동(원심력)을 압력과 속도에너지로 전환하여 압력을 상승시키는 형식이다. 원심식,축류식, 혼류식으로 분류된다. [해설작성자 : 가공열서]
58.
가스배관 내의 압력손실을 작게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유체의 양을 많게 한다.
2.
배관 내면의 거칠기를 줄인다.
3.
배관 구경을 크게 한다.
4.
유속을 느리게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유체의 양을 적게 한다. [해설작성자 : 나치플]
59.
CNG충전소에서 천연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 차량을 이용하여 충전설비에 충전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은?
1.
Combination Fill
2.
Fast/Quick Fill
3.
Mother/Daughter Fill
4.
Slow/Time Fill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3.Mother/Daughter Fill 가스 배관망이 닿지 않는 지역이나 가스 공급이 불안정한 지역에 CNG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아반분흡]
60.
이음매 없는 용기와 용접용기의 비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음매가 없으면 고압에서 견딜 수 있다.
2.
용접용기는 용접으로 인하여 고가이다.
3.
만네스만법, 에르하르트식 등이 이음매 없는 용기의 제조법이다.
4.
용접용기는 두께공차가 적다.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용접은 비교적 저렴한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이음매 없는 용기가 용접용기에 비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해설작성자 : 터축원]
4과목 : 가스안전관리
61.
차량에 고정된 탱크의 내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PG 탱크의 내용적은 1만 8천L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2.
산소 탱크의 내용적은 1만 8천L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3.
염소 탱크의 내용적은 1만 2천L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4.
액화천연가스 탱크의 내용적은 1만 8천L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차량에 고정된 탱크 내용적 제한 - 가연성(LPG 제외) 및 산소 : 18000L 초과금지 - 독성가스(암모니아 제외) : 12000L 초과금지 [해설작성자 : 정확한해설부탁해요]
62.
위험장소를 구분할 때 2종 장소가 아닌 것은?
1.
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안에 밀봉된 가연성 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 장소
2.
확실한 기계적 환기조치에 따라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3.
상용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4.
1종장소의 주변 또는 인접한 실내에서 위험한 농도의 가연성가스가 종종 침입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0종, 1종, 2종 0종 : 상용상태에서 폭발분위기가 장기간, 빈번하게 조성되는 장소 → 용기, 장치, 배관 내부 1종 : 정상 작동상태에서 폭발위험 분위기가 조성 되는 곳 → 맨홀, 피트, 벤트 2종 : 정상작동상태에서 폭발 위험이 거의 없으나 존재할 경우 단시간, 빈도가 적음 → 개스켓 등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63.
용기보관장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용기보관장소의 주위 2m 이내에 화기 또는 인화성물질 등을 치웠다.
2.
수소용기 보관장소에는 겨울철 실내온도가 내려가므로 상부의 통풍구를 막았다.
3.
가연성가스의 충전용기 보관실은 불연재료를 사용하였다.
4.
가연성가스와 산소의 용기보관실은 각각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1. 용기보관장소의 주위 2m 이내에 화기 또는 인화성물질 등을 치웠다. 2. 수소용기 보관장소에는 항상 상부 통풍구가 개방되어야 하고 용기보관장소는 40도 이하 3. 가연성가스의 충전용기 보관실은 불연재료를 사용하였다. 4. 가연성가스와 산소의 용기보관실은 각각 구분하여 설치하였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64.
독성가스인 포스겐을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보호구 및 자재가 아닌 것은?
1.
방독마스크
2.
보호장갑
3.
제독제 및 공구
4.
소화설비 및 공구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 포스겐은 독성가스에 해당되지만 불연성가스이기 때문에 소화설비는 갖추지 않아도 된다. [해설작성자 : 터축원]
65.
아세틸렌을 용기에 충전할 때의 충전 중의 압력은 얼마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MPa 이하
2.
1.5MPa 이하
3.
2MPa 이하
4.
2.5MPa 이하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반응성이 대단히 크고 분해 시 흡열반응을 한다. 2. 탄화칼슘에 물을 가하여 만든다. 3. 액체 아세틸렌보다 고체 아세틸렌이 안정하다. 4. 폭발범위가 넓은 가연성 기체이다. 5. 충전 중 온도에 관계없이 2.5MPa 이하 6. 충전 후 15도씨에서 1.5MPa 이하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66.
액화석유가스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동차에 고정된 탱크는 저장탱크 외면으로부터 2m이상 떨어져 정지한다.
2.
소형용접용기에 가스를 충전할 때에는 가스압력이 40℃에서 0.62MPa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충전용 주관의 모든 압력계는 매년 1회 이상 표준이 되는 압력계로 비교 검사한다.
4.
공기 중의 혼합비율이 0.1v%상태에서 감지 할 수 있도록 냄새나는 물질(부취제)을 충전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자동차에 고정된 탱크는 저장탱크 외면으로부터 3m이상 떨어져 정지한다. 2. 소형용접용기에 가스를 충전할 때에는 가스압력이 40℃에서 0.52MPa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가스 성분은 프로판+프로필렌은 10mol% 이하, 부탄+부틸렌은 90mol% 이하여야 한다. 3. 충전용 주관의 모든 압력계는 매월 1회 이상, 그 밖에는 매년 1회 이상 표준이 되는 압력계로 비교 검사한다. 4. 공기 중의 혼합비율이 0.1v%상태에서 감지 할 수 있도록 냄새나는 물질(부취제)을 충전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67.
액화가스를 충전하는 차량의 탱크 내부에 액면 요동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콕크
2.
긴급 탈압밸브
3.
방파판
4.
충전판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방파판 설치기준 면적 : 탱크 횡단면적의 40% 이상 위치 : 상부 원호부 면적이 탱크 횡단면의 20% 이하가 되는 위치 두께 : 3.2mm 이상 설치 수 : 탱크 내용적 5m^3 이하마다 1개씩 [해설작성자 : 요동방파]
고압가스 냉동제조시설에서 냉동능력 20 ton 이상의 냉동설비에 설치하는 압력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축기의 토출압력 및 흡입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보기 쉬운 곳에 설치한다.
2.
강제윤활방식인 경우에는 윤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설치한다.
3.
강제윤활방식인 것은 윤활유 압력에 대한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압력계를 설치한다.
4.
발생기에는 냉매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설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압축기의 토출압력 및 흡입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보기 쉬운 곳에 설치한다. 2. 강제윤활방식인 경우에는 윤활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설치한다. 3. 강제윤활방식인 것은 윤활유 압력에 대한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압력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4. 발생기에는 냉매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74.
고압가스 충전용기의 차량 운반 시 안전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로프 등으로 결속한다.
2.
염소와 아세틸렌 충전용기는 동일차량에 적재, 운반하지 않는다.
3.
운반 중 충전용기는 항상 56℃ 이하를 유지한다.
4.
독성가스 중 가연성가스와 조연성가스는 동일 차량에 적재하여 운반하지 않는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3. 운반 중 충전용기는 항상 40℃ 이하를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75.
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폭발은 급격한 압력의 발생 등으로 심한 음을 내며, 팽창하는 현상으로 화학적인 원인으로만 발생한다.
2.
가스의 발화에는 전기불꽃, 마찰, 정전기 등의 외부발화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3.
최소 발화에너지가 큰 혼합가스는 안전간격이 작다.
4.
아세틸렌, 산화에틸렌, 수소는 산소 중에서 폭굉을 발생하기 쉽다.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폭발은 물리적인 원인으로도 발생 가능 2. 발화는 외부발화원 없이도 가능 3. 최소 발화에너지가 큰 혼합가스는 안전간격이 크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6.
액화석유가스 충전시설의 안전유지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장탱크의 안전을 위하여 1년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침하 상태를 측정한다.
2.
소형저장탱크 주위에 있는 밸브류의 조작은 원칙적으로 자동조작으로 한다.
3.
소형저장탱크의 세이프티커플링의 주밸브는 액봉방지를 위하여 항상 열어둔다.
4.
가스누출검지기와 휴대용 손전등은 방폭형으로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 저장탱크의 안전을 위하여 1년에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침하 상태를 측정한다. 2. 소형저장탱크 주위에 있는 밸브류의 조작은 원칙적으로 수동조작으로 한다. 3. 소형저장탱크의 세이프티커플링의 주밸브는 액봉방지를 위하여 항상 열어둔다. ※ 액봉현상 : 액화가스 주변에 달린 밸브를 폐쇄 시 주위 온도 상승으로 액화가스 팽창 현상하여 설비가 파열되는 현상 4. 가스누출검지기와 휴대용 손전등은 방폭형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77.
내용적이 50L이상 125L 미만인 LPG용 용접용기의 스커트 통기 면적은?
1.
100mm2 이상
2.
300mm2 이상
3.
500mm2 이상
4.
1000mm2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20L 이상 25L 미만 : 300mm^2 이상 2) 25L 이상 50L 미만 : 500mm^2 이상 3) 50L 이상 125L 미만 : 1000mm^2 이상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78.
충전된 가스를 전부 사용한 빈 용기의 밸브는 닫아두는 것이 좋다. 주된 이유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외기 공기에 의한 용기 내면의 부식
2.
용기 내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재충전 시 충전량 감소
3.
용기의 안전밸브 작동 방지
4.
용기 내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폭발성 가스의 형성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빈 용기는 내부에 가스가 없으므로 내부 압력 상승으로 안전밸브가 작동될 가능성은 적다. [해설작성자 : 소지오]
79.
고압가스 특정제조시설에서 배관을 지하에 매설할 경우 지하도로 및 터널과 최소 몇 m이상의 수평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1.
1.5m
2.
5m
3.
8m
4.
10m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건축물 : 1.5m 이상 - 지하도로, 터널 : 10m 이상 - 독성가스 배관은 수도시설과 300m 이상 -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80.
저장탱크의 긴급차단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장탱크의 주밸브와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저장탱크에 부착된 액배관에는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한다.
3.
저장탱크의 외면으로부터 2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4.
긴급차단장치는 방류둑 내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저장탱크의 긴급차단장치에 대한 설명 1. 저장탱크의 주밸브와 겸용하여 사용할 수 없다. 2. 저장탱크에 부착된 액배관에는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한다. 3. 저장탱크의 외면으로부터 5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4. 긴급차단장치는 방류둑 외측에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5과목 : 가스계측기기
81.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도(Resolution)와 컬럼 길이의 상관관계는?
1.
분리도는 컬럼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2.
분리도는 컬럼 길이에 비례한다.
3.
분리도는 컬럼 길이의 2승에 비례한다.
4.
분리도는 컬럼 길이의 3승에 비례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길이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 높이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82.
반도체식 가스누출 검지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을 옳은 것은?
1.
안정성은 떨어지지만 수명이 길다.
2.
가연성 가스 이외의 가스는 검지할 수 없다.
3.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며 응답속도가 빠르다.
4.
미량가스에 대한 출력이 낮으므로 감도는 좋지 않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안정성과 수명이 길다. 2. 독성가스, 가연성 가스 검지 가능 3. 반도체 소결온도 전후(300~400도)로 가열해준다 4. 농도가 낮은 가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고감도로 검지할 수 있다. 5. 소형·경량화가 가능하며 응답속도가 빠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83.
루트미터와 습식가스미터 특징 중 루트미터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유량이 정확하다.
2.
사용 중 수위조정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3.
실험실용으로 적합하다.
4.
설치공간이 적게 필요하다
정답 : [
4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루트형 가스미터의 특징 1) 대유량 가스측정에 적합하다. 2) 중압가스의 계량이 가능하다. 3) 설치면적이 적고, 연속흐름으로 맥동현상이 없다. 4) 여과기의 설치 및 설치 후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5) 0.5 m^3/hr 이하의 적은 유량에는 부동의 우려가 있다. 6)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7) 용도 : 대량 수용가능 8) 용량 범위 : 100 ~ 5000m^3/hr
습식가스미터 : 고정된 우너통 안에 4개로 구성된 내부 드럼이 있고, 입구에서 반은 물에 잠겨 있는 내부 드럼으로 가스가 들어가 압력으로 내부 드럼을 밀어올려 1회전하는 동안 통과한 가스체적을 환산한다.
특징 1) 유량이 정확하다. : 기준기로 사용된다. 2) 사용 중에 오차의 변동이 적다. 3) 사용 중에 수위조정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4) 설치면적이 크다. 5) 용도는 기준용, 실험실용에 사용한다. 6) 용량범위는 0.2~3000m^3/h 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84.
습한 공기 205㎏ 중 수증기가 35㎏ 포함되어있다고 할 때 절대습도[㎏/㎏]는? (단, 공기와 수증기의 분자량은 각각 29, 18로 한다.)
1.
0.206
2.
0.171
3.
0.128
4.
0.106
정답 : [
1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GW/(G-GW)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85.
단위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절대단위계
2.
실제단위계
3.
중력단위계
4.
공학단위계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단위계의 종류 1.절대단위계 2.공학(중력)단위계 3.미터단위계 4.야드단위계
정답 : 2번 실제단위계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86.
스프링식 저울로 무게를 측정할 경우 다음 중 어떤 방법에 속하는가?
1.
치환법
2.
보상법
3.
영위법
4.
편위법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편위법 - 측정량과 관계있는 다른 양으로 변환시켜 측정 - 부르동관 압력계, 스프링식 저울, 전류계
영위법 - 기준량과 측정하고자 하는 상태량을 비교 평형시켜 측정 - 천칭을 이용한 질량 측정
치환법 - 지시량과 미리 알고 있는 다른 양으로부터 측정량을 나타내는 방법 - 다이얼 게이지를 이용한 두께 측정
<문제 해설> *루트가스미터의 특징* 1. 설치면적이 작고, 맥동현상이 없다. 2. 대유량가스 측정에 적합하다 3. 중압가스 계량이 가능하다. 4.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 5. 용량범위는 100~500m3/h 이다.
정답: 4번 기준기로 사용되는 것은 '습식 가스미터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97.
제어기의 신호전송방법 중 유압식 신호전송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사용유압은 0.2~1㎏/cm2 정도이다.
2.
전송거리는 100~150m 정도이다.
3.
전송지연이 작고 조직력이 크다.
4.
조작속도와 응답속도가 빠르다.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유압식 신호전송 방법의 특징 - 조작속도와 응답속도가 빠르다 - 전송지연이 적고 조작력이 크다 - 녹이 발생하지 않는다 - 인화의 위험성이 있다 - 주위온도 영향이 있다 - 유압원을 필요로 한다 - 오일의 유동 저항을 고려해야 한다. - 전송거리는 300M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98.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열린관 컬럼 중 유연성이 있고, 화학적 비활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1.
충전 컬럼.
2.
지지체도포 열린관 컬럼(SCOT)
3.
벽도포 열린관 컬럼(WCOT)
4.
용융실리카도포 열린관 컬럼(FSWC)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열린관 컬럼 중 유연성이 있고, 화학적 비활성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용융실리카도포 열린관 컬럼(FSWC)이다. [해설작성자 : 유연용융]
99.
계측기의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확도와 정밀도
2.
감도
3.
견고성 및 내구성
4.
지시방식
정답 : [
4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계측기 선정시 고려사항 1.정확도와 정밀도 2.정도 및 감도 3.견고성 및 내구성 4.설치 장소의 주위여건 5.측정범위
정답: 4번 '지시방식'은 계측기 선정시 고려사항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지금달려]
100.
그림과 같이 원유 탱크에 원유가 채워져 있고, 원유 위의 가스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은 마노미터를 연결하였다. 주어진 조건하에서 Pg의 압력(절대압)은? (단, 수은, 원유의 밀도는 각각 13.6g/cm3, 0.86g/cm3, 중력가속도는 9.8m/s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