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비등액체팽창증기폭발(BLEVE) 가연성 액체 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기상부의 탱크가 국부적으로 가열되면 그 부분이 강도가 약해져 탱크가 파열된다. 이때 내부의 액화가스가 급격히 유출 팽창되어 화구를 형성하여 폭발하는 형태를 말한다. ㉠ 탱크가 파열되고 그 내용물이 폭발적으로 증발한다. ㉡ 액체가 들어있는 탱크의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한다. ㉢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하여 탱크의 벽이 가열된다. ㉤ 액위 이하의 탱크 벽은 액에 의하여 냉각되나, 액의 온도는 올라가고, 탱크 내의 압력이 증가한다. ㉣ 화염이 열을 제거시킬 액은 없고 증기만 존재하는 탱크의 벽이나 천장에 도달하면, 화염과 접촉하는 부위의 금속의 온도는 상승하여 탱크는 구조적 강도를 잃게 된다. [해설작성자 : 액화액화탱]
23.
이상기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인자 Z=1이 된다.
2.
상태 방정식 PV=nRT를 만족한다.
3.
비리얼방정식에서 V가 무한대가 되는 것이다.
4.
내부에너지는 압력에 무관하고 단지 부피와 온도만의 함수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이상기체 -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 온도에 관계없이 비열비는 일정하다 - 분자간의 충돌은 완전탄성충돌이다 - 분자와 분자 사이의 거리가 매우 멀다 - 분자 사이의 인력이 없다 - 압축성인자가 1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24.
엔탈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열량을 일정한 온도로 나눈 값이다.
2.
경로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상태함수이다.
3.
엔탈피의 측정에는 흐름열량계를 사용한다.
4.
내부에너지와 유통일(흐름 일)의 합으로 나타낸다.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열량을 일정한 온도로 나눈값은 엔트로피이다. [해설작성자 : 용본좌]
엔탈피란 어떤 물체가 갖는 단위질량당의 열량으로 내부에너지와 유동일에 해당하는 외부에너지의 합이다. [해설작성자 : 에수속위]
25.
압력 0.2MPa, 온도 333K의 공기 2㎏이 이상적인 폴리트로픽 과정으로 압축되어 압력 2MPa, 온도 523K로 변화하였을 때 그 과정에서의 일량은 약 몇 kJ인가?
1.
-447
2.
-547
3.
-647
4.
-667
정답 : [
1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GRT W = -----(1- (p2/p1)^((n-1)/n))) n-1 공기는 n = 1.3, 분자량 29
2kg x (8.314/29)x 333k = ------------------------ x (1 - (2/0.2)^(0.3/1.3)) 1.3-1
= -446.314kJ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폴리트로픽 변화 공식 P*V^n=C (C=상수) 압력,부피, 온도 중에 보통 하나는 고정값인데 폴리트로픽변화는 다 변한다고 보면됨 P1*V1^n= P2*V2^n= C P1/P2= (V2/V1)^n ....(ㄱ) or (P1/P2)^(1/n) =V2/v1 ...(ㄴ) n값부터 구해봅시다. 부피를 알아야하는데 PV=nRT에서 (R=8.314 KJ/kmol*mol) PV=(W/M)RT (W=질량, M=분자량) R을 단위전환해서 KJ/kmol*K => KJ/kg*K로 전환해주는데 우리가 알고있는 8.314가 KJ/'kmol'*K , 0.287이 KJ/'kg' K 임. 근데 공기분자량을 29나 28.84로 놓고 R을 M(분자량)으로 나눠준값이 흔히알고있는 0.287임. 즉 공기를 기준으로해서 R =8.314를 공기분자량29or 28.84로 나눴을때 값이 0.287인데 다행히 문제에서는 공기라고 했음. (이산화탄소였으면 R=8.314에서 44를 나눠야함) R단위전환= 8.314/29= 0.287 KJ/Kg*K PV=GRT (R=KJ/'kg'*K) 에서 V= GRT/P => V1=G*R*T1/P1= 2*0.287*333/200= 0.956 =V1 V2=G*R*T2/P2= 2*0.287*523/2000= 0.15 =V2 (P값은 Kpa로 환산) ㄱ이나 ㄴ을 사용하여 양변에 log씌워 n값 도출= n= log(2/0.2) /log(0.956/0.15)= 1.243 (분수값이어서 kpa로 환산안해도 계산값동일) 일량은 P*dV 니까 P*V^n= C에서 P=C/V^n , P1*V1^n= P2*V2^n =C ...(ㄷ) (C=상수) 적분(P dV)= 적분(C/V^n)dv = (C/1-n)*(V2^(1-n)- V1^(1-n) ) C자리에 ㄷ대입하면 (P2*V2-P1*V1)/1-n => (P1*V1-P2*V2)/n-1이됨 따라서 (200*0.956-2000*0.15)/(1.243-1) = -447 KJ
적분방법은 예를들어) 3x^3 <----> 9x^2 9x^2를 적분하면 9*(1/계수+1) *x^계수+1 위에서 C/V^n 에서 C는상수로 보고 1/V^n은 V^(-n)으로 보면됨 => C *(1/1-n)* V^(1-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6.
기체연료의 연소속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통의 탄화수소와 공기의 혼합기체 연소속도는 약 400~500㎝/s 정도로 매우 빠른 편이다.
2.
연소속도는 가연 한계 내에서 혼합기체의 농도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3.
연소속도는 메탄의 경우 당량비 농도 근처에서 최고가 된다.
4.
혼합기체의 초기온도가 올라갈수록 연소속도도 빨라진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탄화수소의 연소속도는 200cm/s 정도로 느린 편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보통의 탄화수소(CnHn)의 연소시 연소속도는 약 400~1000cm/s로 매우 빠른 편 [해설작성자 : 루피]
[오류신고 반론] 일반적으로 탄화수소의 연소속도는 200cm/s 전후로 느린 편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출판사:일진사]
27.
불활성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연성 혼합가스 중의 산소농도를 최소산소농도(MOC) 이하로 낮게하여 폭발을 방지하는 것이다.
2.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산소농도의 제어점은 최소산소농도(MOC)보다 약 4% 낮은 농도이다.
3.
이너트 가스로는 질소, 이산화탄소, 수증기가 사용된다.
4.
일반적으로 가스의 최소산소농도 (MOC)는 보통 10% 정도이고 분진인 경우에는 1% 정도로 낮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가연성 가스의 경우 10%, 탄화수소계의 가연물의 경우 15%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28.
열기관의 효율을 길이의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선도는?
1.
P-T선도
2.
T-S선도
3.
H-S선도
4.
P-V선도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증기사이클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H-S선도 : 세로축에 엔탈피(H),가로축에 엔트로피(S)로 잡고 에너지 수수량을 면적이 아닌 세로축상의 선분의 길이로서 계산할 수 있어 증기 사이클에서 가장 유용한 선도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노확속초]
다공버너법은 연료가 고체, 액체, 기체 중 어떤 상태이든 상관없이 연소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범용적인 방법이다. 연소실 내부에 다공성 버너를 설치하여 연료와 공기를 혼합시키고 연소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층류연소속도 측정법 중 다공버너법은 제외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차울지마]
하버-보시법에 의한 암모니아 합성 시 사용되는 촉매는 주 촉매로 산화철 (Fe3O4)에 보조촉매를 사용한다. 보조촉매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K2O
2.
MgO
3.
Al2O3
4.
MnO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하버법은 독일의 하버가 19세기 유럽에서 일어났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인 비료의 합성에 중요한 암모니아를 공업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주촉매 : 철 보조촉매 : 칼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암모니아 합성탑은 내압용기와 내부 구조물로 구성되며 암모니아 합성의 촉매는 주로 산화철(Fe3O4)에 Al2O3,K2O를 첨가한 것이나 CaO 또는 MgO 등을 첨가한 것을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여세원]
45.
부취제 주입방식 중 액체 주입식이 아닌 것은?
1.
펌프 주입방식
2.
적하 주입방식
3.
바이패스 증발식
4.
미터 연결 바이패스 방식
정답 : [
3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액체 : 펌프 / 적하 / 미터연결 바이패스 기체 : 바이패스 증발식 / 워크 증발식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46.
정압기의 운전 특성 중 정상상태에서의 유량과 2차 압력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1.
정특성
2.
동특성
3.
사용최대차압
4.
작동최소차압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정압기의 특성 - 정특성 : 정상상태에서 유량과 2차압력 사이의 관계 - 동특성 : 부하변동이 큰 신속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관계 - 유량특성 : 밸브개도율과 유량의 관계 - 사용최대차압 : 1차압과 2차압의 최대 차압 - 작동최소차압 : 파일롯트 정압기가 작동할 수 있는 1차압력과 2차압력의 최소차압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47.
펌프의 특성 곡선상 체절운전(체절양정)이란 무엇인가?
1.
유량이 0일 때의 양정
2.
유량이 최대일 때의 양정
3.
유량이 이론값일 때의 양정
4.
유량이 평균값일 때의 양정
정답 : [
1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① 체절운전점 소화수의 외부 사용없이 펌프가 가동되는 상태로서 이때 양정은 정격양정의 140%이내 이어야 한다. 체절운전은 펌프의 정상적인 운전이 아니나 소방법규상으로 체절운전을 규정하는 것은 펌프 성능곡선의 경사도의 완급을 결정하는 요인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체절운전(체절양정) : 유량이 0일 때 양정이 최대가 되는 운전상태로 토출측 밸브를 폐쇄하고 가동했을 때 압력계에 지시되는 압력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KMgA]
소화기를 비치하여야 할 대상 : 가연성가스,산소를 운반하는 차량 * 염소 : 독성가스,조연성가스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69.
암모니아를 실내에서 사용할 경우 가스누출 검지경보장치의 경보농도는?
1.
25ppm
2.
50ppm
3.
100ppm
4.
200ppm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경보농도 설정 값 암모니아 NH3를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 50ppm 가연성가스 : 폭발하한계의 1/4 이하 독성가스 : TLV-TWA 기준농도 이하 [해설작성자 : 노독중]
70.
이동식부탄연소기(카세트식)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기장착부 이외에 용기가 들어가는 구조이어야 한다.
2.
연소기는 50% 이상 충전된 용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 기울여도 20°이내에서는 넘어지지 아니 하여야 한다.
3.
연소기는 2가지 용도로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한다.
4.
연소기에 용기를 연결할 때 용기 아랫부분을 스프링의 힘으로 직접 밀어서 연결하는 방법 또는 자석에 의하여 연결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용기장착부 이외에는 용기가 들어가지 아니하는 구조로 한다. 2. 그릴의 경우 상시 내부공간이 용이하게 확인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3. 연소기는 50% 이상 충전된 용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 기울여도 15도 이내에서는 넘어지지 아니하고, 부속품의 위치가 변하지 아니한 것으로 한다. 4. 연소기에 용기를 연결할 때 용기 아랫부분을 스프링의 힘으로 직접 밀어서 연결하는 방법이 아닌 구조로 한다. 다만, 자석으로 연결하는 연소기는 비자성 용기를 사용할 수 없음을 표기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문제 해설> 2개 이상 탱크의 설치 기준 : 2개 이상의 탱크를 동일한 차량에 고정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다음 기준에 적합하게 한다. - 탱크마다 탱크의 주밸브를 설치한다. - 탱크 상호간 또는 탱크와 차량과의 사이를 단단하게 부착하는 조치를 한다. - 충전관에는 안전밸브, 압력계, 긴급탈압밸브를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73.
다음 중 가연성가스이지만 독성이 없는 가스는?
1.
NH3
2.
CO
3.
HCN
4.
C3H6
정답 : [
4
] 정답률 : 64%
74.
공급자의 안전점검 기준 및 방법과 관련하여 틀린 것은?
1.
충전용기의 설치 위치
2.
역류방지장치의 설치 여부
3.
가스 공급 시 마다 점검 실시
4.
독성가스의 경우 흡수장치 · 제해장치 및 보호구 등에 대한 적합 여부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2번 역류방지장치의 설치 여부 X 역화방지장치의 설치 여부 O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5.
용기에 의한 액화석유가스 사용시설에 설치하는 기화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대 가스소비량 이상의 용량이 되는 기화장치를 설치한다.
2.
기화장치의 출구배관에는 고무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열차단이 되게 하는 조치를 한다.
3.
기화장치의 출구측 압력은 1MPa 미만이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거나, 1MPa 미만에서 사용한다.
4.
용기는 그 외면으로부터 기화장치까지 3m 이상의 우회거리를 유지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기화장치를 전원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비상전력을 보유하거나 예비용기를 포함한 용기집합설비의 기상부에 별도의 예비 기체라인을 설치하여 정전 시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 가열방식이 액화석유가스 연소에 의한 방식인 경우, 파일럿버너가 꺼지는 경우 버너에 대한 액화석유가스 공급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자동안전장치를 부착한다. - 기화장치는 콘크리트 기초 등에 고정하여 설치한다. - 기화장치는 옥외에 설치한다. 다만, 옥내에 설치하는 경우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은 불연성 재료로 하고 통풍이 되어야 한다. - 기화장치를 방폭형으로 하는 경우 3M 이내로 기화장치와 용기를 유지할 수 있다. - 기화장치의 설치장소에는 배수구나 집수구로 통하는 도랑이 없어야 한다. - 기화장치에는 정전기 제거조치를 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기화장치의 출구 배관에는 고무호수를 직접 연결하면 안된다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76.
고압가스 충전용기 퉁의 적재, 취급, 하역 운반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교통량이 많은 장소에서는 엔진을 켜고 용기 하역작업을 한다.
2.
경사진 곳에서는 주차 브레이크를 걸어놓고 하역작업을 한다.
3.
충전용기를 적재한 차량은 제 1종 보호시설과 1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4.
차량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정차하는 경우는 적색표지판 등을 설치하여 다른 차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사람이 많은 장소에는 주차하지 않는다. 2. 차바퀴를 고정목으로 고정시킨다. 3. 1종 보호시설과 15M 이상 거리를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에이치백]
77.
고압가스 저장탱크에 아황산가스를 충전할 때 그 가스의 용량이 그 저장탱크 내용적의 몇 %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충전방지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가?
1.
80%
2.
85%
3.
90%
4.
95%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저장탱크 과충전 방지조치 아화산가스,암모니아,염소,염화메탄,산화에틸렌,시안화수소,포스겐 또는 황화수소의 저장탱크에는 그 가스의 용량이 그저장탱크 내용적의 90%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충전 방지조치를 강구한다. [해설작성자 : 노독중]
78.
액화석유가스 고압설비를 기밀시험하려고 할 때 가장 부적당한 가스는?
1.
산소
2.
공기
3.
이산화탄소
4.
질소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고압설비와 배관의 기밀시험은 원칙적으로 공기 또는 위험성이 없는 기체의 압력으로 실시함. 산소는 조연성가스이므로 기밀시험에 사용x [해설작성자 : 가스탈출]
79.
내용적이 3000L인 차량에 고정된 탱크에 최고 충전압력 2.1MPa로 액화가스를 충전하고자할 때 탱크의 저장능력은 얼마가 되는가? (단, 가스의 충전정수는 2.1MPa에서 2.35MPa이다.)
1.
1277㎏
2.
142㎏
3.
705㎏
4.
630㎏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충전정수C가 문제에 제시되어있으니 저장능력 G=V/C=3000/2.35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80.
가스사고를 사용처별로 구분했을 때 가장 빈도가 높은 곳은?
1.
공장
2.
주택
3.
공급시설
4.
식품접객업소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017년 가스관련 사고 사용처별 구분 : 한국가스안전공사 자료
1. 공장 3.3% 2. 주택 38.8% 3. 공급시설 5.0% 4. 식품접객업소 16.5% [해설작성자 : 노독중]
5과목 : 가스계측기기
81.
산소(O2)는 다른 가스에 비하여 강한 상자성체이므로 자장에 대하여 흡인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가스분석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