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같이 길이 100cm의 외팔보에 2개의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C점에서의 굽힘모멘트는 몇 Nㆍm 인가?
1.
250
2.
500
3.
750
4.
1000
정답 : [
1
] 정답률 : 54%
2.
그림에서 A는 고압 증기 터빈, B는 저압 증기 터빈이고 내경 60cm, 외경 65cm인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20℃에서 연결하고 운전 중 300℃ 증기가 중공축 내에 흐른다. 이 때 파이프에 발생하는 평균 열응력은 약 몇 MPa 인가? (단, E = 200GPa, α=1.2×10-5/℃, A, B는 이동되지 않음)
1.
205
2.
230
3.
354
4.
672
정답 : [
4
] 정답률 : 7%
3.
그림과 같이 길이 2ℓ인 보에 균일분포 하중 ω가 작용할 때 중앙 지지점을 δ만큼 낮추면 중앙점에서의 반력은? (단, 보의 굽힘강성 EI 는 일정하다.)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12%
4.
보의 자중을 무시할 때 그림과 같이 자유단 C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할 때 B점에서 처짐 곡선의 기울기각 θ을 탄성계수 E, 단면 2차모멘트 I로 나타내면?
1.
2.
3.
4.
정답 : [
2
] 정답률 : 14%
5.
원형 단면의 길이 2m인 잠주가 양단 회전으로 지지되고 25kN의 압축하중을 받을 때 좌굴에 대한 안전계수를 5로 하면 기둥의 직경은 몇 cm로 해야 되겠는 가? (단, Euler 공식을 적용하고, 탄성계수는 10 GPa이다.)
1.
10.08
2.
8.08
3.
12.08
4.
14.08
정답 : [
1
] 정답률 : 19%
6.
다음 그림에서 A지점의 반력 RA 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알수없음
7.
길이가 L이고 반경 r0인 원통형의 나사를 끼워 넣을 때 나사의 단위 길이 당 t0의 토크가 필요하다. 나사 재질의 전단 탄성계수가 G일 때 나사 끝단 간의 비틀림 회전량은 얼마인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24%
8.
지름 D = 3 cm의 환봉이 P = 25kN의 전단하중을 받아서 0.00075의 전단 변형률을 발생시켰다. 이 때 재료의 전단탄성계수는 약 몇 GPa 인가?
1.
87.7
2.
97.7
3.
47.2
4.
57.2
정답 : [
3
] 정답률 : 36%
9.
폭이 2cm이고 높이가 3cm인 단면을 가진 길이 50cm의 외팔보의 고정단에서 40cm 되는 곳에 800N의 집중하중을 작용시킬 때 자유단의 처짐은 약 몇 mm 인가? (단, 탄성계수는 E = 2.1×107 N/cm2이다.)
1.
5.5
2.
4.5
3.
3.5
4.
2.5
정답 : [
4
] 정답률 : 29%
10.
원형 단면에 전단력 V가 그림과 같이 작용할 때 원주상에 작용하는 전단응력이 0 이 되는 지점은?
1.
A, B
2.
A, B, C, D
3.
A, C
4.
B, D
정답 : [
3
] 정답률 : 27%
11.
폭 90mm, 두께 18mm 강판에 세로(종) 방향으로 50kN 전단력이 작용할 때, 전단 탄성계수가 G =80GPa이면 전단 변형률은?
1.
1.9×10-4
2.
2.6×10-4
3.
3.8×10-4
4.
4.8×10-4
정답 : [
3
] 정답률 : 24%
12.
바깥지름 40cm, 안지름 20cm의 속이 빈 축은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며 같은 재질의 원형축에 비하여 약 몇 배의 비틀림 모멘트에 견딜 수 있는가?
1.
0.9배
2.
1.2배
3.
1.4배
4.
1.6배
정답 : [
3
] 정답률 : 27%
13.
지름 3cm인 강축이 회전수 1590rpm으로 26.5kW의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 축에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약 몇 MPa 인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 : [
1
] 정답률 : 24%
14.
평면 응력상태의 한 요소에 σx> = 100MPa, σy = 50MPa, τxy = 0을 받는 평판에서 평면 내에서 발생하는 최대 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
1.
25
2.
50
3.
75
4.
0
정답 : [
1
] 정답률 : 28%
15.
그림과 같이 W = 200N의 강구가 판 사이에 끼여 있을 때, 접촉점 A에서의 반력 RA는 약 몇 N 인가?(단, 접촉점에서의 마찰은 무시한다.)
1.
231
2.
323
3.
415
4.
502
정답 : [
1
] 정답률 : 6%
16.
그림과 같은 단면의 중립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는?
1.
21.76 × 106 mm4
2.
35.76 × 106 mm4
3.
217.6 × 106 mm4
4.
357.6 × 106 mm4
정답 : [
1
] 정답률 : 18%
17.
그림과 같은 외팔보에서 허용 굽힘응력 σa= 50kN/cm2 이라 할 때, 최대 하중 P는 약 몇 kN 인가?(단, 보의 단면은 10cm × 10 cm이다.)
1.
110.5
2.
100.0
3.
95.6
4.
83.3
정답 : [
4
] 정답률 : 7%
18.
그림과 같은 단붙이 봉에 인장하중 P가 작용할 때, 축의 지름은 d1 : d2 = 3 : 2 로 하면 d1 부분에 발생하는 응력 σ1과 d2 부분에 발생하는 응력 σ2의 비는?
1.
σ1 : σ2 = 3 : 2
2.
σ1 : σ2 = 2 : 3
3.
σ1 : σ2 = 9 : 4
4.
σ1 : σ2 = 4 : 9
정답 : [
4
] 정답률 : 36%
19.
반경 r, 압력 P, 두께 t인 실린더형 압력용기에서 발생되는 절대 최대 전단응력(3차원 응력상태에서의 최대 전단응력)의 크기는?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23%
20.
다음 그림에서 2kN의 힘을 전달하는 키(15 × 10× 60mm)가 있다. 이 키(Key)에 생기는 전단응력은 몇 MPa 인가?
1.
66.7
2.
44.4
3.
22.2
4.
12.3
정답 : [
3
] 정답률 : 8%
2과목 : 기계열역학
21.
어떤 기체가 5 kJ의 열을 받고 0.18 kN ㆍ m의 일을 하였다. 이때의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은?
1.
3.24 kJ
2.
4.82 kJ
3.
5.18 kJ
4.
6.14 kJ
정답 : [
2
] 정답률 : 39%
22.
다음 중 냉동기의 성능계수를 높이는 것으로 틀린것은?
1.
증발기의 온도를 높인다.
2.
증발기의 온도를 낮춘다.
3.
압축기의 효율을 높인다.
4.
증발기와 응축기에서 마찰압력손실을 줄인다.
정답 : [
2
] 정답률 : 16%
23.
공기가 등온과정을 통해 압력이 200kPa, 비체적이 0.02 m3/kg인 상태에서 압력이 100 kPa인 상태로 팽창하였다. 공기를 이상기체로 가정할 때 시스템이 이 과정에서 한 단위 질량 당 일은 약 얼마인가?
1.
1.4 kJ/kg
2.
2.0 kJ/kg
3.
2.8 kJ/kg
4.
8.0 kJ/kg
정답 : [
3
] 정답률 : 19%
24.
T-S선도에서 어느 가역 상태변화를 표시하는 곡선과 S축 사이의 면적은 무엇을 표시하는가?
1.
힘
2.
열량
3.
압력
4.
비체적
정답 : [
2
] 정답률 : 39%
25.
브레이턴 사이클(Braytom Cycle)은 다음 무슨 사이클에 가장 가까운가?
1.
정적연소사이클
2.
정압연소사이클
3.
등온연소사이클
4.
합성연소사이클
정답 : [
2
] 정답률 : 36%
26.
압력이 일정할 때 공기 5 kg을 0℃에서 100℃까지 가열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약 몇 kJ 인가?(단, 공기비열 Cp(kJ/kgㆍ℃) = 1.01+0.000079t(℃) 이다.)
1.
102
2.
476
3.
490
4.
507
정답 : [
4
] 정답률 : 30%
27.
10℃에서 160℃까지의 평균 정적비열은 0.7315 kJ/kg℃이다. 이 온도변화에서 공기 1kg의 내부에너지 변화는?
1.
109.7 kJ
2.
120.6 kJ
3.
107.1 kJ
4.
121.7 kJ
정답 : [
1
] 정답률 : 32%
28.
비열이 0.475 kJ/kgㆍK인 철 10kg을 20℃에서 80℃로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은 몇 kJ인가?
1.
222
2.
232
3.
285
4.
315
정답 : [
3
] 정답률 : 25%
29.
피스톤-실린더로 구성된 용기 안에 들어 있는 100kPa, 20℃ 상태의 질소 기체를 가역 단열압축하여 압력이 500 kPa 이 되었다. 질소의 정적 비열은 0.745 kJ/kgㆍK 이고, 비열비는 1.4이다. 질소 1kg당 필요한 압축일은 약 얼마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