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화석유가스 집단공급사업자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수요자의 가스사용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의 항목이 아닌 것은?
1.
배기통의 막힘 여부
2.
가스계량기 출구에서의 마감조치 여부
3.
연소기마다 퓨즈콕 등 안전장치 설치 여부
4.
연소기의 입구압력을 측정하고 그 이상 유무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배기통의 막힘 여부, 가스계량기 출구에서의 마감조치 여부, 연소기마다 퓨즈콕 등 안전장치 설치 여부는 모두 가스 사용시설에서 중요한 안전 점검 항목입니다. 이러한 항목들은 가스 누출 방지, 화재 예방, 가스의 안전한 사용 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연소기의 입구압력을 측정하고 그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일반적인 가스사용시설의 안전 점검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주로 가스 장비의 성능 검토나 설치 시에 필요한 절차일 수 있지만, 정기적인 안전 점검 항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부ENG]
3.
에어졸 제조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내용적이 100cm3 를 초과하는 용기는 그 용기제조자의 명칭 또는 기호가 표시되어 있어야 한다.
2.
에어졸 충전용기 저장소는 인화성 물질과 8m 이상의 우회거리를 유지한다.
3.
내용적이 30cm3 이상인 용기는 에어졸 제조에 재사용하지 아니한다.
4.
40℃ 에서 용기안의 가스압력이 1.5배의 압력을 가할 때 파열되지 아니하여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용기는 50°C에서 용기안의 가스 압력이 1.5배의 압력을 가할때에 변형되지 아니하고 50°C 용기안의 가스 압력이 1.8배의 압력이 가할때에는 파열되지 아니한것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네잇]
4.
황화수소의 저장탱크에는 그 가스의 용량이 저장탱크 내용적의 몇 % 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충전 방지조치를 강구하여야 하는가?
액화산소 5L 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다음 중 어느 경우에 공기액화분리기의 운전을 중지하고 액화산소를 방출해야 하는가?
1.
탄화수소의 탄소의 질량이 500mg 을 넘을 때
2.
탄화수소의 탄소의 질량이 50mg을 넘을 때
3.
아세틸렌이 2mg 을 넘을 때
4.
아세틸렌이 0.2mg 을 넘을 때
정답 : [
1
] 정답률 : 89%
38.
가스배관의 설계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하중 중 주하중(主荷重)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압(內壓)
2.
토압(土壓)
3.
온도변화의 영향
4.
자동차의 하중
정답 : [
3
] 정답률 : 80%
39.
서로 어긋나서 각을 이루며 만나는 두 축을 유니버셜조인트(훅크 조인트)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동축의 각속도는 원동축의 각속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2.
중간축을 이용하여 양쪽에 유니버셜조인트를 하면 각속도는 일치하게 된다.
3.
각속도는 서로 불일치 하지만 전달토크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
4.
두 축이 어긋난 정도가 너무 크면(약30℃ 이상) 사용이 곤란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유니버셜조인트는 각도가 변할 때 각속도의 비일치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각속도의 변동을 초래하고, 이러한 변동이 전달 토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각속도의 불일치가 발생하면 토크 전달에도 영향을 주어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계적 부하와 진동이 증가하며, 유니버셜조인트의 효율성과 내구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속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토크 전달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다부ENG]
40.
도시가스사업자가 전기방식시설의 유지관리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방식시설의 관대지전위(管對地電位) 등을 1년에 1회 이상 점검한다.
2.
외부전원법에 따른 전기방식시설은 외부전원점 관대지전위, 정류기의 출력, 전압, 전류, 배선의 접속상태 및 계기류 확인 등을 3개월에 1회 이상 점검한다.
3.
배류법에 따른 전기방식시설은 배류점 관대지전위, 배류기의 출력, 전압, 전류,배선의 접속상태 및 계기류 확인 등을 3개월에 1회 이상 점검한다.
4.
절연부속품, 역전류방지장치, 결선(bond) 및 보호절연체의 효과는 3개월에 1회 이상 점검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절연부속품,역전류방지장치,결선 및 보호절연체의 점검은 6개월에 1회 잇상 [해설작성자 : 네잇]
3과목 : 임의 구분
41.
포스겐의(COCl2)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독성가스이다.
2.
소량의 수분과 반응하여 중합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3.
일산화탄소의 염소를 활성탄 촉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4.
재해제로는 알칼리성인 가성소다 또는 소석회가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시안화수소 산화에틸렌 [해설작성자 : 기관사]
포스겐은 소량의 수분과 반응하여 염산(HCl)과 이산화탄소(CO2)를 생성하지만, 중합폭발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포스겐은 수분과 반응할 때 폭발적인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염산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면서 분해됩니다. [해설작성자 : 다부ENG]
42.
일반도시가스공급소에서 중압 이하의 배관과 고압배관을 매설하는 경우 서로간의 거리를 최소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1m
2.
2m
3.
3m
4.
4m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중합이하의 배관과 고압배관을 매설하는 경우 서로간의 거리를 2m 이상으로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네잇]
43.
어떤 기체 A, B, C를 동일 고압가스 용기에 압력을 각각 PA, PB, PC로 충전할 때 이 혼합기체의 전체압력(Pr)은 어떻게 표시되는가?
1.
Pr=PA+PB+PC
2.
Pr=PA×PBPC
3.
Pr=1/PA+1/PB+1/PC
4.
Pr=1/PA×1/PB×1/PC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달톤의 분압 법칙: 혼합기체가 나타나는 전압은 각 성분의 기체 분압의 성분과 같다 [해설작성자 : 네잇]
44.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서 정의한 액화석유가스 충전사업에 대한 가장 적정한 설명은?
1.
액화석유가스를 일반수요자에게 배관을 통하여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2.
저장시설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를 용기에 충전하여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3.
액화석유가스를 사업용으로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4.
액화석유가스를 연료가스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액화석유가스충전사업: 저장시설에 저장된 액화석유가스를 용기에 충전 하거나 자동차에 고정된 탱크에 충전하여 공급하는 사업 [해설작성자 : 길]
45.
다름 원심펌프의 배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흡입관은 펌프구멍보다 굵은 것이 좋으므로 1번과 같이 배관하였다.
2.
토출관을 2번과 같이 설치하였다.
3.
흡입관에 부득이 밸브를 부착할 경우 3번 같이 손잡이가 위로 가도록 하였다.
4.
흡입관을 4번 같이 구배를 주어 배관하였다.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흡입관은 1/50~1/100 상향구배를 준다 [해설작성자 : 네잇]
46.
내용적 40L 의 고압용기를 100atm 의 압력으로 산소를 충전한 후 2kg에 해당하는 가스를 사용하였다면 용기의 압력은 악 몇 atm 이 되는가? (단, 온도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
50
2.
55
3.
60
4.
65
정답 : [
4
] 정답률 : 38%
47.
고압용 밸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조품을 깍아서 만든다.
2.
글로브밸브는 기밀도가 크다.
3.
슬루스밸브는 난방배관용으로 적합하다.
4.
밸브시트는 내식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단조품을 절삭하여 제조 [해설작성자 : 기]
48.
도시가스사업법상 보호시설에 대한 구분이 잘못된 것은?
1.
학교 - 제1종
2.
공동주택 - 제2종
3.
문화재로 지정된 건축물 - 제1종
4.
연면적이 500m2인 사람을 수용하는 건축물 - 제1종
정답 : [
4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연면적이 1000m2인 사람을 수용하는 건축물 [해설작성자 : 네잇]
49.
배관 설계도면 작성 시 종단면도에 기입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기울기 및 포장종류
2.
교차하는 타매설물 구조물
3.
설계 가스배관 계획 정상높이 및 깊이
4.
설계 가스배관 및 기 설치된 가스배관이 위치
정답 : [
4
] 정답률 : 75%
50.
다음 응력변형율선도에서 하부 항복점을 나타내는 점은?
1.
A
2.
D
3.
E
4.
F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참고 : 인장강도는 E [해설작성자 : 기술사들]
51.
섭씨온도 -40℃ 는 화씨온도 약 몇 ℉ 인가?
1.
-20
2.
-40
3.
-50
4.
-60
정답 : [
2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섭씨 온도 -40℃는 화씨 온도에서도 동일하게 -40℉이다 - 온도환산식 - °C = 5/9(°F - 32) ↔ °F = 9/5°C + 32 - K = °C + 273 , °R = °F +460= K * 1.8 [해설작성자 : 다부ENG]
52.
액화석유가스 소형용기 충전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조 후 10년이 경과하지 않은 용접용기인 것이어야 한다.
2.
캔 밸브는 부착하지 3년이 경과하지 않아야 하며, 부착연월이 각인되어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소형용접용기의 상태가 관련법에서 정하고 있는 4급에 해당하는 찍힌흠, 부식, 루그러짐 및 화염에 의한 흠이 없는 것 이어야 한다.
4.
충전사업자는 소형용접용기의 표시사항을 확인하고 표시사항이 훼손된 것은 다시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2. 3년 -> 2년 [해설작성자 : 기술사들]
53.
고압가스 제조허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고압가스 충전
2.
고압가스 일반제조
3.
냉동제조
4.
공조제조
정답 : [
4
] 정답률 : 83%
54.
저온취성(메짐)을 일으키는 원소는?
1.
Cr
2.
Si
3.
S
4.
P
정답 : [
4
] 정답률 : 82%
55.
품질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 중 계수치 데이트에 속하는 것은?
1.
무게
2.
길이
3.
인장강도
4.
부적합품률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무게, 길이, 인장강도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계량치 데이터입니다. 이들은 특정 단위로 측정할 수 있으며, 무게는 kg, 길이는 m, 인장강도는 N/m2 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부적합품률은 개별 항목을 세어서 측정하는 계수치 데이터입니다. 이는 제품의 총 수량 중 부적합한 제품의 비율을 계산한 것으로, 비율이나 퍼센트로 표현됩니다. 계수치는 주로 불량품 수, 결함 개수 등과 같이 개별 항목을 세는 데이터입니다. [해설작성자 : 다부ENG]
56.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ork sampling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자료법
정답 : [
1
] 정답률 : 84%
57.
200개 들이 상자가 15개 있을 때 각 상자로부터 제품을 랜덤하게 10개씩 샘플링할 경우, 이러한 샘플링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층별 샘플링
2.
계통 샘플링
3.
취락 샘플링
4.
2단계 샘플링
정답 : [
1
] 정답률 : 76%
58.
어떤 공장에서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이 다음 표와 같은 때 비용구배는? (단, 활동시간의 단위는 일(日)로 계산한다.)
관리도에서 측정한 값을 차례로 타점했을 때 점이 순차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run)
2.
주기(cycle)
3.
경향(trend)
4.
산포(dispersion)
정답 : [
3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연(run): 관리도에서 연은 데이터 점들이 중앙선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같은 방향(위 또는 아래)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run)은 중앙선을 기준으로 같은 쪽에 일정한 수 이상의 점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패턴입니다. 이는 프로세스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주기(cycle): 주기는 데이터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패턴을 나타냅니다. 이는 데이터가 주기적인 변동을 보이는 경우에 사용되며, 계절적 변화나 기계의 주기적인 동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향(trend): 경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패턴을 말합니다. 점들이 연속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경우, 이는 데이터에 일정한 경향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산포(dispersion): 산포는 데이터 값들이 중앙값이나 평균값 주변에 퍼져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이는 데이터의 변동성을 보여주며, 변동이 클수록 산포가 크다고 합니다. 산포는 프로세스의 안정성과 일관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부ENG]